• 제목/요약/키워드: TDN, Dry matter yield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4초

파종방법 및 혼파비율이 호밀-헤어리베치 혼파시 사료가치 및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Method and Mixing Ratio on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Rye-Hairy Vetch Mixture)

  • 김종근;윤세형;정의수;임영철;서성;서종호;김시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3-240
    • /
    • 2002
  • 겨울피복작물로 재배되는 헤어리베치는 토양과 동반작물에 질소를 공급한다. 본 시험은 겨울철에 헤어리베치와 사료작물을 혼파할 때 수량 및 사료가치의 개선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3년간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호밀-헤어리베치 혼파시 호밀의 초장은 다소 감소하였으며 혼파에 따른 호밀 출수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건물 함량은 헤어리베치의 비율이 늘어날수록 낮아졌으나 파종방법에 따른 유의 적인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도 베치가 21.7∼21.8%로 호밀의 15.3∼15.8%에 비해 높았으며 혼파시 헤어리베치 비율의 증가에 따라 조단백 함량이 더 높아졌다. ADF, NDF 함량은 혼파구에서 호밀단파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건물소화율 및 TDN 함량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건물수량은 호밀단파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호밀단파구와 호밀 2/3+베치 1/3 구와의 유의 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조 단백질 수량에서도 호밀단파구와 호밀 2/3+베치 1/3구는 유의성이 없었다. 토양중의 총 질소 함량은 재배후 0.06∼0.08% 정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호밀 2/3+베치 1/3구는 호밀 단파구에 비해 생산성 및 품질이 우수하여 토양보존과 생산성측면에서 권장되는 재배방법으로 판단되었다.

혼파재배 토양이 옥수수 생육특성 및 영양수량에 미치는 영향 (Efect of Mixed-Culture Soil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Silage Corn)

  • 이상무;문상호;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83-290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il condition that previous crop cultivated after [TO: Soil of corn cultivated, T1 : Soil of rye monoculture cultivated(l50kg/ha), T2 : Soil of mixedculture cultivated(Rye : Red clover = 120 : 3koa). T3 : Soil of mixed-culture cultivated(Rye : Red clover = 90 : 6kg/ ha), T4 : Soil of mixedculture cultivated(Rye : Red clover = 60 : 9kg/ha), T5 : Soil of mixedculture cultivated (Rye: Red clover = 30 : 12kg/ha), T6 : Soil of red clover monoculture cultivated(l5kgha))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yield of silage cor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lant length of silage corn was high in order of T6>T5>T4 treatment. In the leaf length, T5 and T6 treatment showed short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but they were wider than the other treatments in leaf width. In the number of leaf, T6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14 leaves per plant, while T1 treatment showed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as 12.6 leaves per plant. 2. In the stem hardness, ear length, ear width and ear full degree, soil treatment of red clover mono-culture cultivation(T6) showed higher than the other treatment as 5.1 1kg/$cm^2$, 20.8~~1, 7.7cm and 97%. respectively (P<0.01, 0.05). Ihe leaf of summer depression did not many occurrence, but T6 treatment was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 as 0.8 leaf per plant. 3. ADF and NDF composition were not affected by soil condition. Crude protein composition of T6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7.8%. while TI treatment was the lowest as 6.9%. Fresh weight yield(59,083kg/ha), dry matter yield(21,743kg/ha), crude protein yield(l,369kg/ha) and TDN yield(15,800kg/ha) at T6 treatment were much more increased by 41.9, 47.5, 57.4 and 49% than TI treatment(39,410, 14,259, 827 and 10,056kg/ha).

  • PDF

논에서 적응성이 우수한 Vetch류 품종 선발 (Selection of Promising Vetch Cultivars on Paddy Field)

  • 김원호;서성;김맹중;신재순;전병수;정민웅;안병석;윤봉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5-160
    • /
    • 2007
  •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 도입된 벳치류를 나주지역과 천안지방에서 재배하여 수량 및 생육특성 조사를 통하여 월동성이 높은 품종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06까지 축산과학원과 전라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주지역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빨랐으며 Sander2 품종이 5월 20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함량은 21.7%로 낮게 나타났다. 벳치류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Oregon com. 품종의 건물 수량이 5,406 kg/ha로 가장 높았으며 Ostsaat 품종은 4,882 kg/ha를 보여 생산성이 떨어졌다. 두 번째 천안지역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빨랐으며 Sander2 품종이 5월 25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함량은 16.9%로 낮게 나타났다. 벳치류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Welta과 Ostsaat 품종의 건물 수량이 각각 2,173 kg/ha과 1,883 kg/ha로 높았으며 VV4712 품종은 1,079 kg/ha를 보여 생산성이 떨어졌다. 그리고 나주지역과 천안지역에서 재배되었던 벳치류의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1.5%를 나타내었으며 Sander2 품종이 14.4%로 높았고 자운영의 경우는 19.30%로 가장 높았다.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평균 26.8%, 42.2% 그리고 67.8% 이었다. 따라서 벳치류 도입은 월동성에 따른 생산성의 차이가 많아 우선적으로 월동성이 고려된 후에 벳치류의 도입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Evaluation of Feed Value of IRG in Middle Region Using UAV

  • Na, Sang-Il;Kim, Young-Jin;Park, Chan-Won;So, Kyu-Ho;Park, Jae-Moon;Lee, Kyung-D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91-400
    • /
    • 2017
  • Italian ryegrass (IRG)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grasses available to farmers. It offers rapid establishment and starts growing early in the following spring and has fast regrowth after defoliation. So, IRG can be utilized as the dominant/single species of grass used in a farming system, or to play a role as a large producing pasture and sacrificial paddoc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 (UAV) for the evaluation of feed value of IRG. For this study, UAV imagery was taken on the Nonsan regions two times during the IRG growing seas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NDVI_{UAV}$ and feed value parameters such as fresh matter yield, dry matter yield,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and crude protein at the season of harve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NDVI_{UAV}$ and feed value parameters of IRG revealed that $NDVI_{UAV}$ correlated well with crude protein (r = 0.745), and fresh matter yield (r = 0.655).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the variation of $NDVI_{UAV}$ was significant to interpret feed value parameters of IRG. Eight different regression models such as Linear, Logarithmic, Inverse, Quadratic, Cubic, Power, S, and Exponential model were used to estimate IRG feed value parameters. The S and exponential model provided more accurate results to predict fresh matter yield and crude protein than other models based on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p- and F-value. The spatial distribution map of feed values in IRG plot was in strong agreement with the field measurements in terms of geographical variation and relative numerical values when $NDVI_{UAV}$ was applied to regression equation. These lead to the resul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ariations in feed value of IRG according to $NDVI_{UAV}$ were well reflected in the model.

Dietary effects of protected fat, glycerol, and soybean meal on performance, physiological parameters,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measurements of late-fattening Hanwoo steers under heat stress conditions

  • Jun Sik Woo;Gyeong Rim Ryu;Jeong Hoon Kim;Sun Sik Jang;Hong Gu Lee;Keun Kyu Park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7호
    • /
    • pp.1303-1315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creasing energy and protein levels in diets by including protected fat (PF), glycerol (GL), and soybean meal (SBM) on growth performance, physiological parameters,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measurements of late-fattening Hanwoo steers under heat stress conditions. Methods: Thirty-six steers (initial body weight, 724.9±58.3 kg; age, 25.5±0.4 month) were assigned into control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76%, crude protein [CP] 15%), PF (TDN 83.6%, CP 15%), PF+GL (TDN 83.6%, CP 15%) and PF+GL+SBM (TDN 83.6%, CP 16.5%) by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for a total of 16 weeks with division of 4-week periods. The average temperature-humidity index was 87.0 (1st period; severe), 82.8 (2nd; moderate), 71.4 (3rd; comfort), and 68.1 (4th; comfort). Results: The dry matter intake (DMI) showed no treatments differences during the whole experiment. However, DMI in 1st and 2nd period decreased by approximately 30% and 10% compared to 4th period, respectively. Higher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noted for treatments compared to control at both 1st and 2nd period (p<0.05). There were no treatment effects on rectal temperature (RT), cortisol, and behaviors during the entire experiment. However, both RT and cortisol in 0, 1st and 2nd period were higher than those of 3rd and 4th period (p<0.05). Carcass yield and grade remained unaffected by increasing TDN and CP levels. Behavioral changes in the hot season (1st period) included reduced lying (43%), increased standing (48%), decreased walking (62%), and decreased eating (38%) (p<0.05), with an increase in drinking by 54%. Rumination during standing was 53% higher, while rumination during lying was about 33% lower compared to the post-hot season (3rd period) (p<0.05). Conclusion: Dietary supplementation of protected fat in late-fattening Hanwoo steers under heat stress had a positive effect on preventing a reduction in performance.

보리와 헤어리 베치의 단, 혼파 재배 시 우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의 평가 (The Assessment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of Barley and Hairy Vetch Influenced by Sowing Methods)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9-230
    • /
    • 2008
  • 본 실험에서는 답리작으로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단파 혹은 혼파 재배 시 가축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양질의 유기 조사료 자원을 확보하고자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답리작으로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에 연 건물과 TDN 수량이 각각 ha 당 6.8과 4.4톤 및 4.5와 2.7톤으로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혼파해서 재배하는 경보리와 헤어리 베치의 단, 혼파 재배 시 우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의 평가 229 우의 연 건물과 TDN 수량 ha당 8.0 및 4.8톤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또한 보리 단파구의 조단백질 함량은 6.5%이었고 헤어리 베치의 단파구는 16.7%로 가장 높았으나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혼파 재배한 구가 13.8%로 보리 단파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상대조사료가치도 모든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2. 보리 재배 시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에서는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ha 당 각각 7.3과 4.6톤으로 인산과 칼리만 시비한 구(6.5와 4.3톤/ha)와 무비구(5.4와 3.7톤/ha) 보다 높았으며(p<0.05), 화학비료 대비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84와 82%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3.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혼파재배 시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에서는 질소, 인산 및 칼리질 비료의 화학비료 시비구 대비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90과 94%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액상우분뇨 시용구에서 $14.2{\sim}15.9%$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TDN 함량과 RFV도 각각 $60.7{\sim}61.8%$$112.2{\sim}118.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헤어리 베치의 연 건물과 TDN 수량은 액상우분뇨를 100% 시용한 구에서 ha 당 각각 5.3과 3.2톤을 나타내어 가장 높았고 또한 조단백질 함량(18.7%), TDN 함량(59.8%) 및 RFV(108.8)도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보리나 헤어리 베치를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까지 고려하여 보리와 헤어리 베치 등을 혼파재배하고 가축분뇨를 시용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며 유기 가축사양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유기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초지에 대한 인산질비료의 시용에 관한 연구 I. 초지조성 및 관리시에 인산질비료의 시용이 목초의 수량 및 에너지축적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hosphatic fertilizer Application Grassland I. Effect of phosphatic fertilizer at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grassland on the yield and energy value of grasses)

  • 박근제;이필상;최기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04
    • /
    • 1993
  •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s of phosphatic fertilizer application at the grassland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n the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grasses, a field experiment was arranged with four treatments as a randomized complcte block design and lasted from September, 19 89 to October, 1991 in hilly area near Suw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early plant growth. winter hardiness. growth vigour and coverage of grasses of the plots with phosphatic fertilizer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plots without $P_2O_5$. and the effect of application at the management was much better than that at the establishment of grassland. 2. The effect of phosphatic fertilizer on DM yield of legume was higher than of grass. Total DM yield with phosphatic fertilizer at the only establishment (5.688 kg/ha). at the only management (8.014 kg/ha) and at both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grassland (1 1,082 kg/ha) was much more increased by 38, 95 and 169% than that without phosphatic fertilizer (4.1 19 kg/ha), respectively. 3. The chemical component of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ith phosphatic fertilizer was a little higher, on the other hand, content of NFE was lower than that without $P_2O_5$ fertilization, but the contents of crude fiber and crude ash did not tend to differentiate between treatments. 4. Production of encrgy(TDN, StE and NEL) with phosphatic fertilization at the establishment and the management of grassland was appeared to increase by 34 to 390h and 72 to 99% than that without $P_2O_5$, respectively. Production of curde protein with $P_2O_5$ tended to be similar to production of energy.

  • PDF

제초제 처리가 애기수영 ( Rumex acetosella ) 우점초지의 수량 및 양분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icide Teatments on the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 Productivity in Rumex acetosella Dominated Pasture)

  • 박근제;김영진;이종경;김맹중;윤세형;최선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7-284
    • /
    • 1997
  •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influences of herbicide treatment method on the forage yield, nutrient productivity, weed control, and persistency in the Rumex acetosella dominated pasture, this trial was arranged as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six treatments[1.Seeding(control), 2. Lime+seeding 3. glyphosate 4 $\scr{l}$ + dicamba 2 $\scr{l}$ /ha+seeding 4. glyphosate 4$\scr{l}$ +dicamba 2$\scr{l}$ /ha+lime+seeding 5. glyphosate 4$\scr{l}$ +dicamba 21 / ha+seeding+dicamba 4 $\scr{l}$ /ha and 6. glyphosate 4 $\scr{l}$ +dicamba 2 $\scr{l}$ /ha+ lime+ seeding+dicamba 4 $\scr{l}$ /ha], and conducted in Hwasung Kyonggi Province and in Youngam, Jeonnarn Province from June, 1992 to October, 1995. In the Rumex acetosella dominated pasture, the treatments of glyphosate 4$\scr{l}$ +dicamba 21 /ha+lime+ seeding+dicamba 4 $\scr{l}$/ha controlled 88-98% of the weed (Rumex acetosella), increased 88- 173% of forage yield, and were high 82- 175% of energy (TDN and NEL) productivity than those of the control(seeding),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herbicide treatment was effective for the control of Rumex acetosella, and good renovation of grassland and higher DM yield of forage could be obtained by twice application of glyphosate 4 $\scr{l}$+ dicamba 2 $\scr{l}$ /ha and dicamba 4 $\scr{l}$ /ha.

  • PDF

총체 벼의 직파시기에 따른 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 of Yield and Quality of Direct-Seeded Whole Crop Rice)

  • 김종근;정의수;이종경;임영철;윤세형;김맹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5-30
    • /
    • 2009
  • 본 시험은 직파시기가 총체 벼의 수량 및 사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5년부 터 2006년까지 축산과학원 초지사료연구센터 시험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총체 벼 품종은 남일벼로 하였고 4월 25일부터 6월 4일까지 15일 간격으로 직파하였고 5월 25일 이앙구를 대조구로 하였다. 출수기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지연되었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되었다. ADF 및 NDF 함량은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평균 TDN 함량은 61.5%이었고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건물수량은 4월 25일 직파 및 5월 25일 이앙구에서 각각 15,185 및 15,815kg/ha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직파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량적인 감소가 있지만 답리작 수확과 연계할 때 5월 중순경 직파를 하는 것이 연중 조사료 생산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중서부 평야지에서 재배조건에 따른 청보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변화 (Changes of Dry Matter Productivity and Feed Value of Forage Barley and Italian Ryegrass According to Cultivation Conditions in Mid-west Plain of Korea)

  • 서종호;권영업;조가옥;한옥규;구자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4-90
    • /
    • 2018
  • 본 연구는 중서부 평야의 천안과 안성의 논과 밭에서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및 청보리를 동계에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 각각 앞작물, 배수조건 및 토양관리 등 재배조건이 다른 상태에서 이루어졌는데 논에서는 IRG를 기본으로 하여 IRG 단파와 IRG+청보리 혼파를, 밭에서는 청보리를 기본으로 하여 청보리 단파, 청보리+IRG 혼파 처리를 두어 재배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논에서는 안성의 입모중 파종(IRG 단파)에서 월동률이 감소하였고 벼 수확 후 경운 등 토양 관리를 추가하고 파종한 곳(IRG+청보리 혼파)은 파종기가 늦었지만 월동률이 증가하였다. 천안 논에서는 파종지연, 배수불량에 의해 월동 및 생육이 나빴는데, 특히 배수불량에 따라 IRG+청보리 혼파의 청보리 생육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배수상태가 좋았던 안성(고삼)의 IRG+청보리 혼파가 IRG의 생육 증대에 따라 $7.75MT\;ha^{-1}$로 논에서 건물수량이 가장 높았다. 청보리 위주의 밭에서는 파종이 빨랐던(10월 1일) 천안(성남)에서 IRG의 월동률 및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파종이 늦었던(10월 15일) 안성(미양)은 IRG의 월동률 및 생육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밭의 사료 건물수량은 논에 비해 높았는데 $10MT\;ha^{-1}$ 내외의 수량성을 얻었다. 파종이 빨랐던 천안은 혼파 재배 시 IRG의 건물 증가에 의해 수량이 증가하였고 파종이 늦었던 안성은 혼파시 IRG 건물중은 $0.52MT\;ha^{-1}$로 건물수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현저히 낮았다. 생산된 사료맥류의 조단백 함량, NDF, ADF 등 사료가치가 우수하였는데, 대체적으로 IRG 단파 시 조단백 함량이 높았으며 IRG와 청보리를 혼파했을 때 청보리에 의해 상대사료가 치 및 TDN 함량이 증대하였다. IRG와 청보리의 혼파에 의한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논에서는 배수관리에 의해, 밭에서는 조기파종에 의해 IRG의 건물수량 및 전체건물에서 IRG 건물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사료가치의 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