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BC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3초

초음파 C-scan을 이용한 터빈 블레이드 열차폐코팅의 등온열화에 의한 박리 평가 기법 (Delamination Evaluation of Thermal Barrier Coating on Turbine Blade owing to Isothermal Degradation Using Ultrasonic C-scan Image)

  • 이호걸;김학준;송성진;석창성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53-362
    • /
    • 2016
  • 가스터빈 블레이드는 고온 고압의 환경 아래 장시간 가동하기 위하여 초합금 모재에 세라믹 코팅으로 이루어진 열차폐코팅(thermal barrier coating, TBC)은 필수요소이다. 하지만 TBC 또한 가스터빈 가동 중 일정 열화온도 및 가동시간에서 top coat의 박리현상이 일어난다. TBC의 박리는 블레이드의 손상과 직결되므로 가스 터빈의 안정적인 가동을 위해서 TBC의 박리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 비파괴평가 기법 연구는 산화알루미늄층(thermally grown oxide, TGO)의 생성 유무 또는 완전 박리의 정성적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TBC 박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초음파검사의 C-scan기법을 이용한 TBC의 부분박리손상 map을 구현하였다. 시편들은 $1,100^{\circ}C$로 등온열화하여 각각 열화시간을 변화시킨 시편들을 사용하였다. 단일 탐촉자를 이용한 펄스-에코법으로 C-scan을 수행하였고 TBC 내 부분박리를 검출하기 위해 초음파를 수침법으로 시편에 수직 탐상하였다. 그리고 Rogers-Van Buren과 Kim의 이론 반사식을 이용하여 부분박리영역 지름이 1 mm부터 6 mm까지 부분박리지수를 도출했다. 이를 적용하여 각 부분박리지수에 따른 부분박리 손상 map을 영상화하였다. TBC는 열화시간이 증가할수록 부분박리지수에 관계없이 부분박리영역이 모두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일 시편 내에서 부분박리지수가 증가할수록 부분박리영역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분박리손상 map의 부분박리영역에 따른 분포를 이용하여 TBC의 완전박리 기준과 잔여 수명을 또한 도출할 수 있었다.

FGM-TBC의 열충격 특성에 미치는 진공 플라즈마 용사조건의 영향

  • 정영훈;변응선;남욱희;이구현;강정윤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524-524
    • /
    • 2012
  • Thermal Barrier Coating (TBC)은 미사일, 로켓발사체와 같이 고온에 노출되는 장비를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코팅이다. 일반적인 Thermal Barrier Coating (TBC)은 모재와 코팅층간의 낮은 접합력과 높은 열충격으로 인한 박리가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 접합력을 높이고, 열충격을 줄이기 위해 모재와 코팅층 사이에 본드코팅층을 만든 Duplex - Thermal Barrier Coating (Duplex-TBC)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Duplex - Thermal Barrier Coating (Duplex-TBC)은 금속재료인 본드코팅층과 세라믹재료인 탑코팅층 사이에서 박리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분말을 동시에 코팅하여 본드코팅과 탑코팅의 경계가 없는 Functional Gradient Material - Thermal Barrier Coating (FGM-TBC)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Functional Gradient Material - Thermal Barrier Coating (FGM-TBC)의 열충격 특성에 미치는 진공 플라즈마 용사 조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Functional Gradient Material - Thermal Barrier Coating (FGM-TBC)는 진공 플라즈마 용사장치를 사용하여 Cu-Cr 합금위에 코팅하였다. 거리, Carrier gas flow, 그리고 챔버 내부의 압력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사용한 분말은 본드코팅용으로 Amdry 962와 내열 세라믹코팅을 위해 204NS를 사용하였고, 각각 분말 공급조건을 조절하여 두 분말의 비율을 달리하였다. 제조한 Functional Gradient Material - Thermal Barrier Coating (FGM-TBC) 코팅은 전기로에서 50분간 가열한 후, 수조에서 10분간 냉각하는 열충격 실험을 통해 열차폐 성능을 평가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진공 플라즈마 용사 조건 및 FGM 조성과 비율이 내열충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세조직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 PDF

실물형 연소기의 추력측정용 노즐확장부에 대한 열/구조적 건전성 평가 (Thermo-Structural Survivability Evaluation of a Thrust-Measuring Nozzle Extension in a Full-scale Combustor)

  • 김홍집;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7-23
    • /
    • 2009
  • 정확한 추력 및 비추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액체로켓엔진용 연소기에 추가적으로 임시 노즐확장부를 장착함에 있어, 그 열/구조적 건전성을 파악하였다. 이 열/구조적 건전성은 재질 및 차폐막(TBC)의 두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검토하였다. TBC가 없는 경우에는 열/구조적 건전성을 유지할 수 없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TBC의 두께에 따라서 노즐확장부 벽면에서의 최대온도는 많이 감소하였다. 노즐확장부를 steel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TBC를 적용해야만 연소시험동안 확장부의 열/구조적 건전성이 보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열차폐 코팅 두께를 고려한 핀틀의 열전달 해석 (Analysis of Heat Transfer considering thickness of Thermal Barrier Coating)

  • 장한나;이지훈;곽재수;조진연;김재훈;고준복;허준영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92-3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가변 추력기 3D 모델에 대해 CFD를 이용하여 고온 고압 환경에서의 추력 조절기 표면 열전달 계수를 예측하였다. 추력 조절기 표면에 열차폐코팅(TBC)을 모델링하였고, TBC 코팅의 두께가 추력조절기 내부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TBC층의 두께는 $100{\mu}m{\sim}500{\mu}m$로 변화시켰다. 해석 결과, TBC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추력 조절기 표면과 내부 온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VVC의 화면 내 예측에서 적응적 TBC를 사용하는 방법 (Adaptive TBC in Intra Prediction on Versatile Video Coding)

  • 이원준;박광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09-112
    • /
    • 2020
  • VVC는 화면 내 예측에서 67가지의 모드를 사용한다. 이때 화면 내 예측 모드 표현을 위한 데이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MPM(Most Probable Mode)을 사용한다. 시그널링 되는 모드가 MPM 후보 내에 존재하는 경우 MPM 리스트의 해당 index를 송신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MPM 후보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TBC 부호화를 적용한다. 화면 내 예측에서 TBC가 적용될 때 MPM 후보를 제외하고 낮은 번호의 모드 순서대로 3가지가 선택되어 5비트로 부호화되고 나머지 모드는 6비트로 부호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VVC의 화면 내 예측에서 사용하는 TBC 기술의 한계점을 알아보고 화면 내 예측에서 TBC를 사용할 때 기존의 방법보다 효율적으로 부호화 할 수 있는 적응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그 결과 기존의 부호화 방법과 비교해서 overall 부호화 성능이 AI와 RA에서 각각 0.01%, 0.04%의 부호화 효율이 증대되었다.

고로(高爐)슬래그 미분말(微粉末)과 플라이애쉬를 이용(利用)한 3성분계(性分系) 콘크리트의 기초물성(基礎物性)에 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ernary System Concrete Using Blast-furnace Slag and Fly-ash)

  • 이화중;홍창우;김경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4호
    • /
    • pp.31-3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쉬 혼입률에 따른 3성분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과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플라이애쉬 혼입률 변화(0%, 10%)와 고로슬래그 혼입률 변화(0%, 10%, 20%, 30%)를 실험변수로 하였으며, OPC와 TBC의 특성분석을 위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그리고 내약품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압축강도와 휨강도에서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이 장기재령에서 강도 증진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플라이애쉬 10%와 고로슬래그 30%의 3성분계 콘크리트 사용은 매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TBC의 특수저항성은 재령 90일에서 매우 낮은 등급으로 나타났다. 또한 OPC에 혼입되는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투수저항성 및 화학저항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분계 혼합시멘트 모르타르의 조기강도 향상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Improving the Early Strength of Ternary Blended Cement Mortar)

  • 배준영;장영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110-116
    • /
    • 2012
  • 최근 대규모 토목구조물의 내구성 향상 및 수화열 저감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1종 보통포틀랜드시멘트에 고로슬래그미 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혼합 치환한 삼성분계 혼합시멘트(TBC)의 개발 및 현장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건설사를 중심으로 공사비용 절감 등을 이유로 공사기간 단축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를 위해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성능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조기강도 발현이 느린 TBC의 성능 보완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TBC 모르타르의 조기강도 발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고로슬래그미분말 및 무수석고의 분말도와 첨가율을 조절하여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SO_3$ 함량 및 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TBC 모르타르는 분말도 약 $4,200cm^2/g$의 고로슬래그미분말을 사용하고 분말도 약 $10,000cm^2/g$의 무수석고 3.5%를 첨가하고 $SO_3$함량을 3.72% 내외로 관리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조기강도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차폐 코팅의 두께에 따른 추력 조절기의 열전달 특성 연구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ruster Controller According to Thickness of Thermal Barrier Coating)

  • 장한나;이지훈;곽재수;조진연;김재훈;고준복;허준영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5-2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가변 추력기 3D 모델에 대해 상용 CFD 코드를 이용하여 고온 고압 환경에서의 추력 조절기 표면 열전달 계수를 예측하였다. 추력 조절기 표면에 열차폐코팅(TBC)을 모델링하였고, TBC 코팅의 두께가 추력조절기 내부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TBC층의 두께는 $100{\mu}m{\sim}500{\mu}m$로 변화시켰다. 해석 결과, TBC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추력 조절기 표면과 내부 온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linical Features of Fracture versus Concussion of the Temporal Bone after Head Trauma

  • Kong, Tae Hoon;Lee, Jae Woo;Park, Yoon Ah;Seo, Young Joon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3권2호
    • /
    • pp.96-102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emporal bone fracture (TBF) is a common occurrence in cases of head trauma. Although the incidence of temporal bone concussion (TBC) has increased in cases of head trauma, it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We assessed the characteristics of TBF and TBC in patients with head trauma. Subject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432 patients with head injury who visited our hospital between January 2011 and April 2016. Of these patients, 211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causes of injury, and hearing function were analyzed. Results: Among the 211 patients, 157 had TBFs and 54 had TBCs. Ear symptoms were more common among patients with TBF than among those with TBC. Car accidents were the most common cause of both TBF and TBC, but assault and sports injuries were more common among patients with TBC than among those with TBF. The occurrence of facial palsy in both cases of TBF and TBC. Hearing loss was observed among 35 patients with TBF and 11 patients with TBC. However, patients with TBF showed conductive hearing loss with an air-bone gap. Hearing function of these patients with TBF recovered with a reduced air-bone gap, but the patients with TBC showed little recovery. Conclusions: Emergency physicians should focus more on temporal bone injury in patients with head trauma. Therefore, an early complete diagnostic battery, which includes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audiometric tests, neurologic examination, and vestibular tests, be performed in patients with head trauma.

Clinical Features of Fracture versus Concussion of the Temporal Bone after Head Trauma

  • Kong, Tae Hoon;Lee, Jae Woo;Park, Yoon Ah;Seo, Young Joon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6-102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emporal bone fracture (TBF) is a common occurrence in cases of head trauma. Although the incidence of temporal bone concussion (TBC) has increased in cases of head trauma, it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We assessed the characteristics of TBF and TBC in patients with head trauma. Subject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432 patients with head injury who visited our hospital between January 2011 and April 2016. Of these patients, 211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causes of injury, and hearing function were analyzed. Results: Among the 211 patients, 157 had TBFs and 54 had TBCs. Ear symptoms were more common among patients with TBF than among those with TBC. Car accidents were the most common cause of both TBF and TBC, but assault and sports injuries were more common among patients with TBC than among those with TBF. The occurrence of facial palsy in both cases of TBF and TBC. Hearing loss was observed among 35 patients with TBF and 11 patients with TBC. However, patients with TBF showed conductive hearing loss with an air-bone gap. Hearing function of these patients with TBF recovered with a reduced air-bone gap, but the patients with TBC showed little recovery. Conclusions: Emergency physicians should focus more on temporal bone injury in patients with head trauma. Therefore, an early complete diagnostic battery, which includes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audiometric tests, neurologic examination, and vestibular tests, be performed in patients with head trau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