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EBAEKSAN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1초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표지 및 내지의 비파괴적 특성 연구 (Non-Constructive analysis for the cover and inner paper in the Taebaeksan volume of Joseon Dynasty annals)

  • 조정혜;김강재;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3호
    • /
    • pp.28-36
    • /
    • 2010
  • Today We have three full series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Taebaeksan volume which is one of them shows comparatively good maintenance but Taebaeksan volume also decomposed in patches. The size of cover and inner paper were increased in late Joseon Dynasty, but the weight, thickness and basis weight bears no relation to each other. The oxidation index of paper in annals of pre-periods of King Sunjo shows very high value. After the annals of King Sunjo, the oxidation index of paper is very similar to today's Hanji. L.a.b values of inner paper in the Taebaeksan volume are similar generally. The average length of fiber using image analysis soft ware is 8.08~9.92 mm, that like immediate value of measurement. The air fraction of fiber's range is 1.20~2.12%. It lower than today's Hanji. After considering the factors of the length of fiber, air fraction and FE-SEM, we reached that no difference between raw material of inner paper in the Taebaeksan volume.

Bryophyte flora of Taebaeksan Mountain National Park in Korea

  • BUM, Hyun Min;PARK, Seung Jin;BAKALIN, Vadim A.;CHOI, Bongsu;SIM, Sun Hee;HYUN, Chang Woo;CHOI, Seung S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62-278
    • /
    • 2020
  • We investigated the bryophyte flora of Taebaeksan Mountain National Park in Korea by conducting a total of ten field surveys from April of 2017 to October of 2019 at various mountainous sites in the park. During the surveys, we recorded 274 taxa belonging to 68 families, 143 genera, 267 species, 3 subspecies, and 4 varieties. Among these, 92 species were reported as new to the flora of the Taebaeksan Mountains. A checklist based on a study of 990 specimens is provided as well. The most remarkable species were Sphagnum capillifolium (Ehrh.) Hedw, Sphagnum girgensohnii Russow, Buxbaumia punctata P.-C. Chen et X.-J. Li, Pleuroziopsis ruthenica (Weinm.) Kindb., Ptilium crista-castrensis (Hedw.) De Not., and Douinia plicata (Lindb.) Konstant. et Vilnet.

Temperature and Timing of the Mylonitization of the Leucocratic Granite in the Northeastern Flank of the Taebaeksan Basin

  • Kim, Hyeong-Soo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34-449
    • /
    • 2012
  • The Mesozoic leucocratic granite in the northeastern margin of the Taebaeksan Basin was transformed to protomylonite and mylonite. Mylonitic foliations generally strike to NWWNW and dip to NE with the development of a sinistral strike-slip (top-to-the-northwest) shear sense. Grain-size reduction of feldspar in the mylonitized leucocratic granite occurred due to fracturing, myrmekite formation and neocrystallization of albitic plagioclase along the shear fractures of K-feldspar porphyroclasts. As the deformation proceeded, compositional layering consisting of feldspar-, quartz- and/or muscovite-rich layers developed in the mylonite. In the feldspar-rich layer, fine-grained albitic plagioclase and interstitial K-feldspar were deformed dominantly by granular flow. On the other hand, quartz-rich layers containing core-mantle and quartz ribbons structures were deformed by dislocation creep. Based on calculations from conventional two-feldspar and ternary feldspar geothermometers, mylonitization temperatures of the leucocratic granite range from 360 to $450^{\circ}C$. It thus indicates that the mylonitization has occurred under greenschist-facies conditions. Based on the geochemical features and previous chronological data, the leucocratic granite was emplaced during the Middle Jurassic at volcanic arc setting associated with crustal thickening. And then the mylonitization of the granite occurred during the late Middle to Late Jurassic (150-165 Ma). Therefore, the mylonitization of the Jurassic granitoids in the Taebaeksan Basin wa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Honam shear zone.

Newly Recorded Macrofungi from Taebaeksan National Park in Korea

  • Jae Young Park;Jin Sung Lee;Minkyeong Kim;Hyun Lee;Changmu Kim;Nam Kyu Kim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13-334
    • /
    • 2023
  • Mt. Taebaeksan extends from Gangwon-do Province (Taebaek-si, Youngwon-gu, and Jeongseon-gun) to Gyeongsangbuk-do Province (Bongwha-gun), South Korea. Indigenous fungi present in the park were investigated between 2019 and 2022. All collected specimens were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using sequences from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large subunit (LSU) of ribosomal DNA. Among them, 17 species-Cyanosporus bifarius, Dacryobolus angiospermarum, Entoloma sericeum, Flammulina rossica, Fuscopostia leucomallella, Homophron helvolescens, Hygrophorus queletii, Hymenochaete huangshanensis, Inocybe albodiscoides, Lactarius fulvihirtipes, Lepiota ignivolvata, Physisporinus eminens, Ramaria gracilis, Russula albolutea, Russula cremicolor, Stropharia lignicola, and Tengioboletus subglutinosus-were newly recorded macromycota in Korea.

평안누층군의 재조명: 송림 조산운동의 변성작용과 변형작용 (Reassessment of the Pyeongan Supergroup: Metamorphism and Deformation of the Songrim Orogeny)

  • 김형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5호
    • /
    • pp.367-379
    • /
    • 2019
  • 태백산분지에 분포하는 평안누층군은 고생대 말-중생대 초기 동안 한반도 형성에 영향을 미친 송림 조산운동의 지구조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지질학적 증거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번 논문은 기존에 발표된 평안누층군의 변성-변형작용과 쇄설성 저어콘의 연령측정 결과들을 바탕으로 송림 조산운동의 특성을 알아보고, 평안누층군의 지질학적 중요성과 연구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평안누층군의 쇄설성 저어콘의 Th/U 비와 연령분포 결과는 고생대 말 태백산분지의 퇴적환경은 능동적 대륙연변부의 화산호 형성으로 인해 만들어진 대륙전호분지와 후호 대륙전면분지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된 화성활동은 펜실베니안 초기와 페름기 중기에 발생하였고, 따라서 평안누층군의 퇴적작용과 화성활동은 거의 동시기에 발생하였다. 송림 조산운동 동안 평안누층군은 저온-중압(M1)과 중온-중압(M2)의 광역변성작용에 영향을 받았다. M1 동안 경녹니석, 홍주석, 남정석 반성변정을 함유한 점판암과 천매암은 동-서 방향의 압축작용과 함께 수반된 습곡/전단운동에 의해 심하게 변형되어 산출되며, M2와 함께 수반된 남-북 방향의 최대 압축작용 동안 석류석과 십자석이 반상변정으로 형성되었다. 이런 평안누층군의 변성작용은 약 220-270 Ma 동안에 변형작용이 집중되는 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향후 고생대 태백산분지의 진화와 송림 조산운동의 지구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평안누층군에 발달한 변성대의 광역적인 분포와 지질구조들의 특성과 형성 시기 그리고 고생대 말 태백산분지의 고지리 위치 등과 같은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백두대간 태백산, 함백산, 금대봉 및 매봉산지역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Taebaeksan, Hambaeksan, Geumdaebong(Peak) and Maebongsan in the Baekdudaegan)

  • 김용식;임동옥;오현경;신현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3-318
    • /
    • 2002
  • As one of the botanical hot spot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the areas of Taebaeksan, Hambaeksan, Geumdaebong(Peak) and Maebongsan were summarized as 694 taxa, 89 families, 302 genus, 579 species. 102 varieties and 13 forms. Based on the list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from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2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Thuja koraiensis(Cupressaceae), Arisaema heterophyllum(Araceae), Disporum ovale(Liliaceae), Tricyrtis dialata(Liliaceae), Lilium distichum(Liliaceae), Anemone koraiensis(Ranunculaceae), Rodgersia podophylla(Saxifragaceae), Rosa marretii(Rosaceae), Viola diamantica(Violaceae), Viola albida(Violaceae), Echinopanax horridum(Araliaceae), Acanthopanax chiisannensis(Araliaceae), Lysimachia coreana(Prinmulaceae), Syringa velutina var. kamibayashii, Halenia corniculata(Gentianaceae), Partrinia saniculaefolia(Valerianaceae), Adenophora grandiflora(Campanulaceae), Cacalia pseudo-taimingasa(Compositae) Iris odaesanensis(Iridaceae), Leontice microrhyncha(Berberidaceae), Rpdgersia tabularis(Saxifragaceae), and Acanthopanax sentico년(Araliaceae), Among them the four species were recorded from the lis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most of the species were recorded from the mountain-trails, the long-term habitat monitoring for the species is required .

태백산 장군봉지역 주목림의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and Struxture of Taxus cuspidata Forest at Janggunbong Arae in Taebaeksan)

  • 김갑태;백길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
    • /
    • 1998
  • 대백산 장군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주목의 생육현황과 주목림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주목이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18개의 방형구(20m$\times $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주목과 함께 생육중인 수종들로는 당단풍, 나래회나무, 귀룽나무, 분비나무 등이었다. 수종간의 상관성은 잣나무와 분비나무, 사스래나무와 함박꽃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H')는 고사목이었고 생육상태가 불량하였으며 치수도 매우 적었다. 본 조사지의 주목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쇠최원인의 구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적극적인 숲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태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매미류의 생물음향 및 서식환경 분석 (Bioacoustics and Habitat Environment Analysis of Cicadas in Taebaeksan National Park)

  • 김윤재;정태준;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64-676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고산지대인 태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매미류의 생물음향 및 서식환경 분석에 목적이 있다. 매미 번식울음 녹음 데이터는 2018년 7월부터 9월까지 약 3개월간 태백산국립공원 내 대덕산계곡과 백천계곡에 녹음장치를 설치하여 24시간 매일 녹음하였다. 매미 서식분포 데이터는 2018년 8월에 태백산국립공원 탐방로에 위치한 111개소에서 소리를 녹음하였다. 기상 데이터는 기상청 태백시 기상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태백산국립공원에 출현한 매미류는 소요산매미, 참깽깽매미, 호좀매미, 참매미, 애매미 5종이었다. 매미별 출현 시기는 소요산매미는 7월 초순부터 7월 중순까지 울었으며, 참깽깽매미, 호좀매미, 참매미, 애매미는 7월 중순부터 9월 초순까지 울었다. 매미별 일주기 패턴은 참깽깽매미, 호좀매미, 참매미가 06~07시에 번식울음을 시작하였고, 울음 종료 시각은 3종 모두 19시 전후로 나타났다. 울음 피크 시간대는 참깽깽매미 11시, 참매미 12시, 호좀매미 13~14시경으로 나타났다. 태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매미 번식울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깽깽매미, 호좀매미는 평균기온이 1도 높아질수록 울 가능성이 1.192배, 1.279배 높아졌다. 참깽깽매미, 참매미는 일조량이 1시간 길어질수록 울 가능성이 4.366배, 2.624배 높아졌다. 종간영향은 참깽깽매미는 참매미가 1번 울면 울 가능성이 14.620배 증가하며, 호좀매미는 참매미가 1번 울면 울 가능성이 2.784배 증가하였다. 참매미는 참깽깽매미가 울면 울 가능성이 11.301배 증가하며 호좀매미가 울면 울 가능성이 2.474배 증가하였다. 참깽깽매미와 호좀매미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 않았다. 종별 서식환경 분석 결과, 각 매미가 서식하는 지점의 평균 해발고도(Altitude)는 참깽깽매미 1,046m(780~1,315m), 호좀매미 1,072m(762~1,361m), 참매미 976m(686~1,245m)으로 나타났다. 호좀매미와 참깽깽매미는 낮은 고도에서 발견되는 참매미와 달리 700m 이하 해발고도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각 매미가 서식하는 평균 방향(Aspect)는 참깽깽매미가 166°(125~207°) 방향에서 발견되었고, 호좀매미가 100°(72~128°) 방향에서 발견되었으며, 참매미가 173°(118~228°) 방향에서 발견되었다. 매미별 분포도를 확인하였을 때, 태백산 문수봉을 기준으로 동남향 능선 밑 경사지에서 매미가 주로 분포하고 있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태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참깽깽매미와 호좀매미는 한반도 전역에서 서식하는 참매미보다 높은 해발고도에서 서식하였다. 또한 매미가 주로 서식하는 방향은 일조량 확보가 용이한 동남쪽(100~173°) 지형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