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3N0

검색결과 3,901건 처리시간 0.03초

단전류-다층 솔레노이드 방법을 사용한 저자장 표준시스템 제작 (Construction of Low Magnetic Standard System using a Multi-layer Solenoid with Single-current)

  • 박포규;김영균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8-44
    • /
    • 2001
  • 저자장 영역(1 mT 이하)에서 국가 표준시스템을 분해능 0.26 nT 수준으로 확립하였다. 비자성 재료로 건축하여 자성체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비자성동에서 세슘 광펌핑 마그네토미터, 3-축 헬름홀츠 코일 등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지자장을 상쇄시키는 장치를 만들었다. 그 특성은 대역폭 10 Hz에서 0.1 nT/10 min이었다. 지자장이 상쇄된 공간에 최적 설계한 단전류-다층 솔레노이드(길이 1.02 m, 평균반경 0.l1467 m, 단위길이당 권선수 1000 turns/m)를 설치하고, 솔레노이드에 정밀 전류를 홀려 자장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저자장 표준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솔레노이드 중심에서 자장의 안정도는 $\pm$ 1 cm 범위에서 1.0$\times$$10^{-7}$ T이었다. 핼륨 광펌핑 마그네토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솔레노이드의 코일상수는 1.231 058 9 mT/A이고, 온도계수는 0.38 nT/$^{\circ}C$이었다. 저자장 표준시스템은 저자장 측정기의 교정 및 저자장관련 시험검사 등에 사용된다.

  • PDF

Aspergillus oryzae 유래의 리파제 Lipolase-100T에 의한 물고기 기름의 가수분해 특성 규명 (Investigation of the Hydrolysis Characteristics of Fish Oil by Means of Aspergillus oryzae Lipase Lipolase-100T)

  • 우동진;조귀준;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59-263
    • /
    • 1999
  • 물고기 기름에 대한 Aspergillus oryzae 유래의 Lipolase-100T의 가수분해 특성을 규명하였다. Lipolase-100T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1과 3의 위치에 작용하여 이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아실 체인을 유리지방산으로 가수분해시키는 1,3-위채특이성을 보였다. 또한 Lipolase-100T는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는 다중불포화지방산 보다 포화지방산을 쉽게 가수분해시키는 특성도 나타내었다. 이 특성으로 인하여 가수분해 시간에 따라서 생성되는 글리세라이드 혼합물내의 다중 불포화 지방산중 n-3 PUFAs인 C16:4, C20:5 및 C22:6의 농도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C22:6의 농도증가가 가장 뚜렷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는 n-3 PUFAs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2번 위치에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방산의 결합위치특이성과 Lipolase-100T 1,3-위치특이성으로 인하여 Lipolase-100T를 반응물의 0.4 wt%사용하여 물고기 기름을 120시간 가수분해 시켰을 때 생성된 글리세라이드 혼합물내의 n-3 PUFAs농도는 50 wt%까지 상승하였다.

  • PDF

흉벽침습이 있던 T3 비소세포암환자의 완전절제후의 결과 (Result of Complete Resection of T3 Non-Small Cell Lung Cancer Invading the Chest Wall)

  • 최창휴;임수빈;김재현;조재일;백희종;박종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24-929
    • /
    • 2001
  • 배경 : 흉벽을 침습한 비소세포암의 외과적 절제후의 장기 생존율에는 현재까지 림프절 전이, 완전 절제, 흉벽침습 깊이 등이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완전절제후의 예후에 관련된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부터 1998년까지 원발성 비소세포암으로 수술을 받은 680명중, 벽측늑막과 흉벽을 침범한 경우에 완전절제를 실시한 55예(8.0%)에 대해 후향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29예(47.3%)에서 총괄절제를 시행하고 26예(52.7%)에서 늑막외절제를 실시하였다. 늑막외절제를 시행한 모든 예에서 침습정도는 벽측늑막에 국한되어 있었고, 총괄절제군에서는 9예(31.0%)에서 벽측늑막에 나머지 20예(69.0%)에서는 흉벽에의 침습이 병리학적으로 판명되었다. 수술사망은 3명에서 발생해 5.4%였으며, 추적은 100%에서 가능하였다. 전체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26%였으며, T3N0M0군의 생존율이 29%로 T3N2M0군의 18% 보다 높기는 하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35) 흉벽침습 깊이정도에 따른 생존율은 림프절 전이의 유무에 관련없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99) 결론 : 흉벽을 침습한 T3 비소세포암에 대해 완전절제를 실시해 만족할 만한 생존율을 보였다. 림프절 전이 여부는 완전절제후의 생존율에 관여하는 바가 크나, 침습 깊이는 관여하는 정도가 덜하다.

  • PDF

SCALE TRANSFORMATIONS FOR PRESENT POSITION-INDEPENDENT CONDITIONAL EXPECTATIONS

  • Cho, Dong Hyun
    • 대한수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709-723
    • /
    • 2016
  • Let C[0, t] denote a generalized Wiener space, the space of real-valued continuous functions on the interval [0, t] and define a random vector $Z_n:C[0,t]{\rightarrow}{\mathbb{R}}^n$ by $Zn(x)=(\int_{0}^{t_1}h(s)dx(s),{\cdots},\int_{0}^{t_n}h(s)dx(s))$, where 0 < $t_1$ < ${\cdots}$ < $t_n$ < t is a partition of [0, t] and $h{\in}L_2[0,t]$ with $h{\neq}0$ a.e. In this paper we will introduce a simple formula for a generalized conditional Wiener integral on C[0, t] with the conditioning function $Z_n$ and then evaluate the generalized analytic conditional Wiener and Feynman integrals of the cylinder function $F(x)=f(\int_{0}^{t}e(s)dx(s))$ for $x{\in}C[0,t]$, where $f{\in}L_p(\mathbb{R})(1{\leq}p{\leq}{\infty})$ and e is a unit element in $L_2[0,t]$. Finally we express the generalized analytic conditional Feynman integral of F as two kinds of limits of non-conditional generalized Wiener integrals of polygonal functions and of cylinder functions using a change of scale transformation for which a normal density is the kernel. The choice of a complete orthonormal subset of $L_2[0,t]$ used in the transformation is independent of e and the conditioning function $Z_n$ does not contain the present positions of the generalized Wiener paths.

STABILITIES IN DIFFERENTIAL SYSTEMS

  • Park, Sung-Kyu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579-591
    • /
    • 1994
  • We consider the nonlinear nonautonomous differential system $$(1) x' = f(t,x), x(t_0) = x_0,$$ where $f \in C(R^+ \times R^n, R^n)$ and $R^+ = [0, \infty}$. We assume that the Jacobian matrix $f_x = \partail f/\partial x$ exists and is continuous on $R^+ \times R^n$ and that $f(t,0) \equiv 0$. The symbol $$\mid$\cdot$\mid$$ denotes arbitary norm in $R^n$.

  • PDF

Second Order Derivations on Cn[0, 1]

  • Park, Dal-Won
    • 충청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1-48
    • /
    • 1990
  • Let D' : $C^n$[0, 1] ${\rightarrow}$ M be a second order derivation from the Banach algebra of n times continuously differentiable functions on [0, 1] into a Banach $C^n$[0, 1]-module M and let D be the primitive of D'. If D' is continuous and D'(z) lies in the 1-differential subspace, then it is completely determined by D(z) and D'(z) where z(t)=t, $0{\leq}t{\leq}1$.

  • PDF

한국인 모유의 수유단계별 트랜스지방산 함량 (Trans Fatty Acids of Breast Milk Lipids of Korean Women from Week 1 to 6 Months of Postpartum)

  • 공경아;임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3-234
    • /
    • 2007
  •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trans fatty acid (tFA) composition of human milk from postpartum to sixth months after delivery, to investigate the tFA intake of lactating women, and to estimate the intakes of tFA by infants exclusively fed breast milk. A total of 27 lactating Korean women participated to this study voluntarily, gave their breast milk, and responded to an investigation of their diets. The lactating women consumed 2.3-2.8 g/d of tFAs over the period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sixth months postpartum, which was 3.4-4.9% of the total fat intake and 0.8%-1.2% of the total energy intake. The proportions of tFAs in the breast milk were 1.89% in colostrum, 1.78% in transitional milk, and 1.78-2.25 in mature milk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sixth months postpartum. The tFAs of the breast milk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C16:1n9t, C18:1n9t, C18:2n6t12t, C18:2n6t12c, C18:2n6t12t and C18:2n6t11t. Among them, C18:1n9t was predominant, which made up 59.26% of all tFAs in cob strum, 62.36% in transitional milk, and 64.42% in mature milk. The proportion of total tFA was unchanged with time, although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for individual tFAs. The percentages of C18:2n6t12c and C18:2n6c12t decreased over the study period. Estimated tFA intake of the exclusively breast-fed infants was 0.18 g/d when fed colostrum, 0.29 g/d when fed transitional milk, and 0.53 g/d when fed mature milk until the sixth month of postpartum. Those were 0.5%, 0.8%, and 1.1% of the total energy intake. The result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lactating Korean women consume not a large quantity of tFAs, secrete breast milk not containing much tFA, and the estimated intake of tFAs by infants fed exclusively breast milk is not great.

유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atty acids composition by latent fingerprint deposition)

  • 최미정;하재호;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1권3호
    • /
    • pp.212-221
    • /
    • 2008
  • 사건현장에 잔류하는 잠재지문의 효과적인 탐색 및 감식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비다공성 증거물에 잔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 조성분석을 실시하고 7개월간의 지문유류에 따른 조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문시료는 한국인 29-50 세 남성 8인과 여성(36 세) 1명으로부터 제공받았다. 모든 지문에서는 lauric acid (C12:0), myristic acid (C14:0),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elaidic acid (C18:1n9t), oleic acid (C18:1n9c), linoleic acid (C18:2n6c),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와 docosadienoic acid (C22:2)의 11종의 지방산이 검출됨을 확인하였고, palmitic acid (35.45-48.37%), oleic acid (14.84-28.49%), stearic acid (9.71-24.96%)와 linoleic acid (7.68-18.85%)가 확인된 지방산조성의 75%이상을 차지하여 주요 구성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개월간 온도 $20-25^{\circ}C$, 습도 40-50%의암실환경에서의장기간유류에따라총지방산의함량이 12-25% 감소하였으며, 이는 elaidic acid (C18:1n9t),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 docosadienoic acid (C22:2)의 장쇄지방산들의 소실과 단쇄지방산인 myristic acid (C14:0), myristoleic acid (C14:1), pentadecanoic acid (C15:0)의 생성에 따른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강우시 도로지역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rom Road Area During Rainfall Events)

  • 박운지;이수인;이해승;이영준;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3-40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강우시 도로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 유출 및 수질특성을 살펴보고자 도로지역(국도 46호선)을 대상으로 총 16회의 강우사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기간(2014년 5월~9월)동안 연구대상지역에는 3.2~80.3 mm의 강우가 발생하였으며, 강우강도는 0.39~11.29 mm/hr의 범위로 나타났다. 선행무강우일수는 0.3~20.1일이며, 총 유출량은 0.1~6.8 ㎥, 유출율은 0.24~0.85(평균 0.6)의 범위로 나타났다. 강우 모니터링 결과, 유량가중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는 TOC 4.9~56.2 mg/L(평균 18.0 mg/L), BOD 3.1~21.5 mg/L(평균 7.5 mg/L), COD 6.7~58.6 mg/L(평균 23.6 mg/L), SS 2.1~281.9 mg/L(평균 59.4 mg/L), T-N 1.07~13.46 mg/L(평균 4.89 mg/L) 그리고 T-P 0.065~0.680 mg/L(평균 0.23 m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강우계급별로 살펴보면 0~10 mm일 때 BOD 9.3 mg/L, COD 30.5 mg/L, SS 84.1 mg/L, T-N 5.42 mg/L, T-P 0.27 mg/L로, 10~30 mm일 때 BOD 6.6 mg/L, COD 22.0 mg/L, SS 29.0 mg/L, T-N 4.9 mg/L, T-P 0.20 mg/L로, 50 mm 이상의 강우에서는 BOD 3.6 mg/L, COD 7.1 mg/L, SS 46.4 mg/L, T-N 3.42 mg/L, T-P 0.10 mg/L로 강우계급별 EMC는 대부분 수질항목에 있어 10 mm 이하 계급의 평균 EMC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강우사상에 대한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TOC 0.06~3.5 kg/ha, $BOD_5$ 0.03~1.6 kg/ha, CODMn 0.09~4.74 kg/ha, SS 0.09~35.99 kg/ha, T-N 0.012~2.600 kg/ha, T-P 0.001~0.062 kg/ha의 범위로 산정되었다. 도로지역은 불투수층 면적비율이 높아 누적강우량 10 mm 이하에서도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작은 강우에도 초기유출이 발생하고 유출되는 오염물질 농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