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2

검색결과 51,158건 처리시간 0.066초

대상회 피질, 편도체, 해마체, 도피질의 T2 이완시간: 1.5테슬러와 3.0테슬러 자기공명영상장치의 비교 (T2 Relaxation Times of the Cingulate Cortex, Amygdaloid Body, Hippocampal Body, and Insular Cortex: Comparison of 1.5 T and 3.0 T)

  • 이호준;김응엽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5권1호
    • /
    • pp.67-71
    • /
    • 2011
  • 목적 : 1.5T와 3.0T MRI에서 대상회 피질, 편도체, 해마체, 도피질의 T2 이완시간 (T2)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강한 12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1.5T와 3.0T에서 해마에 대해 수직으로 FLAIR와 CPMG 펄스열 영상을 같은 조건으로 획득하였다. 대상회 피질, 편도체, 해마체, 도피질에서 T2를 측정하였고, 해마와 나머지 부위의 T2 비를 1.5T와 3.0T 사이에서 비교하였다. 결과 : 1.5T에서 측정한 평균 T2는 대상회 피질, 편도체, 해마체, 도피질에서 각각 $109.5{\pm}3.1$, $117.0{\pm}7.1$, $114.7{\pm}2.4$, $111.3{\pm}2.4$, 3.0T에서 측정한 값은 각각 $99.7{\pm}3.8$, $100.7{\pm}4.3$, $97.9{\pm}3.4$, $96.2{\pm}2.0$ 이었다. 1.5T와 3.0T 사이의 T2 변화 백분율은 각각 -8.9%, -13.5%, -14.6%, -13.5% 이었다. 1.5T와 3.0T 사이에서 해마체에 대한 대상회 피질, 편도체, 도피질의 T2 비는 각각 0.96 과 1.02 (p=0.003), 1.02 과 1.03 (p > 0.05), 0.97 과 0.98 (p > 0.05) 이었다. 결론 : 3.0T에서 대상회 피질의 T2 감소는 편도체, 도피질, 해마체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적었고, 대상회 피질과 해마체의 T2 이완시간비는 1.5T와 3.0T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간작재배가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1, 2, 3차 예취시 생육특성, 생산성 및 기호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Cropping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Palatability of Sorghum X Sudangrass Hybrid in 1st, 2nd and 3rd Cutting Time.)

  • 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32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palatability in mono-cropping(T1; sorghum $\times$ sudagrass hybrid, T2; soybean) and inter-cropping[T3; sorghum $\times$ sudagrass hybrid(1) + soybean(2)].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s follows; In plant length. leaf length, leaf width and stem diameter of sorghum $\times$ sudagrass hybrid(SSH). T3(1) was lower than T1 at 1st cutting time. But in 2nd and 3rd cutting time. T3(1) was higher than T1 Stem diameter of T2 was higher than soybean of T3(2). but plant leng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of T2 were higher than T3(1). The leaf ratio of SSH in T3(1) was higher than T1 in the first cutting time, but T3(1) was higher than T1 at 2nd and 3rd cutting time. The number of tiller of T1 was higher than SSH of T3(1) at 1st cutting time, but T3(1) was higher than T1 at 2nd and 3rd cutting time. Dead stubble rate of SSH in T3(1) showed a little lower value than T1. Dry matter and fresh yield of T1 was higher than T2 and T3. But protein yield of T3 was higher than T1 The palatability of 1st cutting time was 100.0. 76.8 and $18.5\%$ on T2, T3 and T1, respectively.

오일과 토코페롤 급여가 돈육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Dietary Different Oil and Tocopherol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 진상근;김일석;송영민;정기화;이성대;하경희;김회윤;박기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5-121
    • /
    • 2003
  • 우지가 5% 첨가되어 있는 일반적인 비육후기사료를 급여한 돈육(C), 우지 3%에 들깨유 2%를 대체 급여한 돈육(T1), T1에 비타민 E를 250 ppm 첨가한 돈육(T2), 우지 3%에 오징어유 2%를 대체 급여한 돈육(T3), T3에 비타민 E를 첨가 급여한 돈육(T4), 우지 3%에 CLA 2%를 우지 대체 급여한 돈육(T5)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일만 급여한 처리구들간(C, T1, T3, T5)에 근절길이, 염용성 및 총단백질의 함량은 T1이 다른 세 처리구들보다 낮았으며, 동일한 오일 급여구에서 비타민 첨가구들(T2, T4)이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들(T1, T3)보다 염용성 및 총단백질의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pH및 보수성의 경우 대조구가 다른 세 처리구들(T1, T3, T5)보다 높았으며, 비타민 첨가한 처리구들이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들보다 보수성은 높게 나타났다. 오일간에 육색의 L값과 지방색의 a값의 경우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3)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선육의 경도, 부착성, 점착성의 경우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3)보다 높게 나타났다. 오일간에 가열육의 부착성의 경우 T3가, 탄력성은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첨가에 따라 경도는 T3가 T4보다 높은 반면 응집력과 탄력성은 반대로 낮게 나타났다.

외부공기 유입방식에 따른 느타리버섯 생육실의 온도변화 및 자실체의 생육특성 (Heating and cooling properties in cultivation room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according to type of air exchange)

  • 장명준;이윤혜;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14-218
    • /
    • 2013
  • 외부공기 유입방식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생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3가지 처리구를 두어 실험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재배기간 중 온도편차가 발생하였고, 처리구 모두 1, 2, 8월에 가장 높았으며, T2(열교환기)와 T3(기밀실)에서 T1(외부공기 직접유입) 보다 온도편차가 작은 경향이었다. 재배기간 중 냉방시간은 T1(외부공기 직접유입)은 1,090.3시간, T2(열교환기)는 661.1시간, T3(기밀실)은 865.0시간이었고, 평균 냉방절감율은 T1(외부공기 직접유입) 대비 T2(열교환기)는 21%, T3(기밀실)은 11%이었다. 재배기간 동안 난방기의 년중 가동시간은 T1(외부공기 직접유입)은 1,506.9시간, T2(열교환기)는 875.6시간, T3(기밀실)은 1,054.2시간으로 T2의 가동시간이 가장 작았고, 년중 평균 난방절감율은 T1(외부공기 직접유입) 대비 T2(열교환기)는 22%, T3(기밀실)은 16%이었다. 외부공기 유입방식에 따른 냉방정도(CD-H)는 T1(외부공기 직접유입)>T3(기밀실)>T2(열교환기)의 순이었고, 난방정도(HD-H)도 냉방정도(CD-H)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수량은 T2(열교환기)와 T3(기밀실)에서 T1(외부공기 직접유입) 보다 4, 9, 10월을 제외한 전 기간에서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시설재배사에서 느타리버섯 병재배시 열교환기 또는 기밀실을 설치하여 재배할 경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수량 및 고품질의 느타리버섯을 수확할 수 있어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랫드에서 난황의 경구투여가 간 지방산의 산화, 에스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egg yolk on oxidation and esterification of hepatic fatty acid in rats)

  • 김창현;엄경환;신종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98-40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달걀의 섭취가 랫드의 간에서 합성, 분비되는 간 지방산의 산화, 에스터화 사이의 대사적 분할 메커니즘을 구명하는 것이었다. 동물은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30일 동안 난황을 경구투여 하였다: 대조군 (CON, control, 생리식염수 1.0 g), T1 (삼겹살 기름 1.0 g), T2 (난황 1.0 g), T3 (삼겹살 기름 1.0 g, 난황 1.0 g을 각각 1주일씩 교체 투여군). 간에서 [14C]-labelled lipid의 축적율은 모든 처리구 가운데 T2가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인지질 분비량은 T2가 기타 처리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중성지방 분비량은 T1이 가장 높았으며 CON, T3, T2 순서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총 glycerolipid로부터 인지질의 대사적 분할율은 T2가 가장 높았고 T3, CON, T1 순서로 높았다 (P<0.05). 총 glycerolipid로부터 14CO2 방출은 T2에서 가장 높았으며 CON, T1, T3과 비교할 때 높은 산화율을 보여 주었다 (P<0.05). 간으로부터 glycerolipid의 대사적 분할은 중성지방의 경우 T2가 CON, T1, T3와 비교할 때 감소하였으나 인지질은 T2에서 증가했다 (P<0.05).

재배방식과 예취시기가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일리지 채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ultivation Method and Cutting Tim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Voluntary Intake in Sorghum X Sudangrass Hybrid)

  • 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6
    • /
    • 2005
  • Thi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voluntary intake of silage according to growth stage of Sorghum$\times$sudangrass(SSH) hybrid in mono-cropping and inter-cropping(C; com, T1; cutting of SSH at milk stage. T2; cutting of SSH at dough stage, T3; cutting of SSH at yellow ripe stage, T4; cutting of SSH and soybean at milk stage, T5; cutting of SSH and soybean at dough stage, T6: cutting of SSH and soybean at yellow ripe stag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experiments are as follows; Plant length and leaf length of SSH(T2, T3, T4. T5 and T6)) were higher than C. T1 treatment was lower than it. C showed $2.3\~2.9$ times higher stem diameter as 29.5mm compare to SSH(T1, T2, T3, T4, T5 and T6). soybean(T4, T5 and T6) was lower in $4.3\~5.4$ times. But SSH of inter-cropping treatment(T4, T5 and T6) showed highly comparing with mono-cropping(T1, T2 and T3) at the same maturity. Leaf rate and stem hardness of SSH(T1, T2, T3, T4, T5 and T6) were lower than C. The fresh yield was high line with T2(72,320kg/ha), T1(69,103kg/ha), T3(68,333kg/ha) and C(57,988kg/ha), dry matter yield was high in line with T3(22.413kg/ha), T2(21,479kg/ha), C(19,252kg/ha) and T6(18,175kg/ha), (P<0.05). Protein dry matter yield was higher in T3(1,434kg/ha), C(1,386kg/ha)T5 and T6(1,345kg/ha) it was lower in T1(872kg/ha), (P<0.05). Crude protein of silage of T4 and T5 was higher than C, T2 and T3 were lower than it(P<0.05), while NDF content was not different. ADF content of T6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 The highest hemi-cellulose among treatments was shown in T1 whereas T6 showed the lowest. Fresh intake of silge was 160.4, 155.8, 168.7, 172.9, 132.9, 158.7 and 185.2 g/BW for C, T1, T2, T3, T4, T5 and T6, respectively. Dry matter intake was high in line with T6(60.3g), C(153.8g), T3(53.6g), T5(47.8g), T2(46.8g), T4(35.2g) and T1(34.48g/BW), (P<0.05). Crude protein intake was high in line with T6(3.9g), T5(3.4g), C(3.4g), T2(2.9g), T3(2.9g), T4(2.6g) and T1(2.3g/BW), (P<0.05).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mono-cropping(T3) and inter-cropping(T5 and T6) could be recommended as increasing method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silage utilization when silage intake of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were considered.

Teosinte (Zea mays ssp. mexicana) 신품종 극동 6호에 관한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Nutritive Values of New Teosinte, 'Geukdong 6')

  • 최영;김은중;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0-158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되어 국내에 보급하고 있는 Teosinte 품종인 극동 6호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Teosinte 신품종 재배 및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옥수수(T1)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T2)을 대조구로 하고 Teosinte 신품종인 극동 6호(T3)를 처리구로 한, 3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초장은 T2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엽폭, 엽수, 경의 굵기, 경경도, 건물수량은 T1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엽장, 분얼수, 생초수량은 T3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T3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조지방은 T1구가 가장 높았으며(p<0.05), ADF와 NDF에서는 T2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Brix degree를 비롯하여 Fructose, Glucose, Dextran, Isomerose, Inverted sugar와 같은 당 종류별 함량에 있어서는 T2 > T3 > T1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총 무기물 함량은 T3 > T2 > T1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사일리지에 있어서 pH는 T1구가 3.82로 가장 높았으며 lactate 함량은 T3 > T2 > T1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청예작물에 대한 기호성은 한우에서는 T1 > T3 > T2구 순으로 나타났고, 꽃사슴에서는 T3 > T1 > T2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재래염소에서는 T1 > T2 > T3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고 사일리지를 제조하여 급여시 기호성을 보게 되면 한우, 꽃사슴, 재래염소에서 T1 > T3 > T2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Teosinte 신품종인 극동 6호는 대조 작물에 비하여 경이 부드럽고, 엽수가 많아 단백질 함량이 높았지만, 기호성은 사일리지용 옥수수 보다는 떨어지고,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보다는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하여 건물수량은 적지만 생초 수량이 높아 청예용으로 유리한 작물로 생각 된다. 그러나 Teosinte 신품종인 극동 6호에 대한 파종시기, 재식밀도, 비료량 및 수확시기 등에 체계적인 재배 방법에 대한 규명이 이루어진 후 Teosinte 신품종인 극동 6호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생육단계별 예취 시기가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이용회수, 생육특성, 수량 및 조단백질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Times according to Growth Stage in Sorghum X Sudangrass Hybrid on Frequence of Use,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Crude Protein Yield)

  • 전병태;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3-42
    • /
    • 2005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crude protein yield according to cutting time of Soghum ${\times}$ Sudangrass Hybrid, and decide ideal harvesting time for use of soiling and silage. Experiment design was arranged with 7 different treatment T1(150 m), T2(200 cm), T3(boot), T4(heading), T5(milk), T6(dough) and T7(yellow stage), as a randomized block design. The results were as fellows : Cutting times of utilization during the course of a year was 4 times at T1 and T2, 3 times at T3 and T4, and 2 times at T5, T6 and T7. Accumulative plant length was the highest at T2(666cm), but T3 was the lowest as 402 cm. Mean Leaf length was the highest at T5(82.1 m) and lowest at T7(T1.8 m). Mean leaf width was the highest at T2 and lowest at T6. Stem diameter was orderly ranked as T3(10.7 mm)>T1(9.5)>T2, T5(9.3>T6(8.9)>T7(8.6)>T4(8.5). Stem hardness was orderly ranked as $T7(3.2 kg/cm^2$>T5, T6(2.3)>T3, T4(1.5)> T2(0.6)>T7(8.6)>T1(0.5). Mean of leaf number and leaf ratio was the highest at $T3(8.1\%)$ and $T2(45.3\%)$, respectively. The highest yield of fresh and dry matter was obtained at T4 and T6 as 113,246 and 24,249 kg/ha, respectively(P<0.05), and e lowest at T7 and T1 as 82,675 and 13,006 kg/ha, respectively(P<0.05). Crude protein yield was highest at T6(1.456 kg/ha) and lowest at T3 as 1,189 kg/ha.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 T1, T2 and T3 could be recommended as use of soiling, and T5, T6 and T7 as silage.

OSCILLATION OF HIGHER-ORDER NEUTRAL DIFFERENTIAL EQUATIONS WITH POSITIVE AND NEGATIVE COEFFICIENTS AND MIXED ARGUMENTS

  • Sun, Yuangong;Liu, Zhi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1권1_2호
    • /
    • pp.199-209
    • /
    • 2013
  • In this paper, we study the oscillation problem of the following higher-order neutral differential equation with positive and negative coefficients and mixed arguments $$z^{(n)}(t)+q_1(t)|x(t-{\sigma}_1)|^{\alpha-1}x(t-{\sigma}_1)+q_2(t)|x(t-{\sigma}_2)|^{\beta-1}x(t-{\sigma}_2)=e(t)$$, where $t{\geq}t_0$, $z(t)=x(t)-p(t)x(t-{\tau})$ with $p(t)$ > 0, ${\beta}&gt;1&gt;{\alpha}&gt;0$, ${\tau}$, ${\sigma}_1$ and ${\sigma}_2$ are real numbers. Without imposing any restriction on ${\tau}$, we establish several oscillation criteria for the above equation in two cases: (i) $q_1(t){\leq}0$, $q_2(t)&gt;0$, ${\sigma}_1{\geq}0$ and ${\sigma}_2{\leq}{\tau}$; (ii) $q_1(t){\geq}0$, $q_2(t)&lt;0$, ${\sigma}_1{\geq}{\tau}$ and ${\sigma}_2{\leq}0$. As an interesting application, our results can also be applied to the following higher-order differential equation with positive and negative coefficients and mixed arguments $$x^{(n)}(t)+q_1(t)|x(t-{\sigma}_1)|^{\alpha-1}x(t-{\sigma}_1)+q_2(t)|x(t-{\sigma}_2)|^{\beta-1}x(t-{\sigma}_2)=e(t)$$. Two numerical examples are also given to illustrate the main results.

닭가슴살 Surimi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pH 조절의 영향 (Effect of pH Control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icken Breast Surimi)

  • 진상근;김일석;허선진;박기훈;하지희;강석모;최영준;김진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4-69
    • /
    • 2006
  • 닭가슴살을 이용하여 pH를 2.5(T1), 3.0(T2), 10.5(T3) 및 11.0(T4)으로 조절하여 제조한 수리미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 함량은 T4>T1>T3>T2 순이었으며,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알칼리 처리한 구들이 산 처리한 구들에 비하여 높았으며, 염용성 단백질 추출성, 보수력 및 육색 $L^*$값은 동일한 산과 알칼리 처리구 내에서 pH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수율은 T1이 가장 높았고 T4가 가장 낮았다(p<0.05). pH는 T4가 가장 높았으며, T2, T3가 낮았고, 전단가는 알칼리 처리구들이 산 처리구들에 비하여 높았다(p<0.05). 파괴강도 및 변형값은 T1이 다른 세 처리구들에 비하여 높았다(p<0.05). 육색 $a^*$값은 T3>T2>T4>T1 순이었고, $b^*$값은 T4가 다른 세 처리구들에 비하여 낮았다(p<0.05). 조직감 중 씹힘성은 T2, T3가 T1과 T4에 비하여 높았으며, 경도는 T2>T3>T4>T1 순이었고, 응집성과 검성은 T1이 다른 세 처리구들에 비하여 낮았으며, 탄력성은 T4가 가장 높고 T2가 가장 낮았다(p<0.05). 표면경도는 T3가 가장 높고 T1이 가장 낮았다(p<0.05). 관능검사의 외관은 T2가 가장 높고 T3가 가장 낮은 것(p<0.05)을 제외하고는 전 항목에서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종합적으로 볼 때 pH 11.0으로 조절한 알칼리 처리구인 T4가 다른 세 처리구들에 비하여 수리미의 이화학적 품질이 양호한 결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