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 suecica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수온, 염분 및 먹이에 따른 기수산 cyclopoid 요각류, Apocyclops royi의 생산력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Diet on the Productivity of the Cyclopoid Copepod, Apocyclops royi)

  • 이균우;권오남;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2-59
    • /
    • 2005
  • 본 연구는 Apocyclops royi를 양식에서 초기 먹이생물로 적용시키기 위해 이들의 대량배양을 위한 수온과 염분의 최적범위 및 최적 성장을 위한 먹이를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A. royi 성체 암컷의 총 nauplius 생산력은 수온 $32^{\circ}C$에서 188 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체 암컷 당 일간 nauplius 생산수도 총 생산수와 같은 경향을 보여 $32^{\circ}C$에서 13.4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auplius 부화 후 최초 포란할 때까지 발달 기간은 $32^{\circ}C$가 7.2일로 가장 빠른 발달을 보였으며 수온이 감소할수록 발달기간이 느린 경향을 보였다. A. royi 성체 암컷의 총 nauplius 생산력은 염분 10 ppt에서 169 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체 암컷 당 일일 평균 nauplius 생산수는 10 ppt가 9 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auplius 부화 후 최초 포란할 때까지 발달 기간은 10 ppt와 15 ppt이 각각 7.1일, 7.7일로 빠른 발달을 보였으며 염분이 높을수록 발달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A. royi 성체 암컷의 총 nauplius 생산력은 I. galbana와 T. suecica 공급구에서 각각 142, 127 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체 암컷 당 일일 평균 nauplius 생산수는 I. galbana 공급구가 8.2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auplius 단계에서 copepodid 단계까지의 발달 기간은 I. galbana, T. suecica, P. tricornutum 공급구가 각각 3.4, 3.6, 3.7일로 담수산 농축 Chlorella와 빵 효모 공급구보다 빠른 발달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cyclopoid 요각류인 A. royi는 대량배양의 잠재성이 있으며 최적 대량배양을 위해서는 수온 $32^{\circ}C$, 염분 10 ppt에서 먹이로 I. galbana를 공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부착성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최적배양환경 (Optimum Culture Environment of th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박흠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47-157
    • /
    • 1993
  • 부착성 요각류중 Tigriopus japonicus는 어류의 종묘 생산시 먹이생물로서 매우 중요한 동물성 플랑크톤이다. 본 연구는 T. japonicus의 염분 내성과 최적 배양 환경 (염분, 온도, 빛)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대량 배양을 하기 위한 2종류의 효모와 6종의 식물성 플랑크톤에 대한 먹이 가치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T. japonicus의 염분 내성 실험에 있어서 배양 5일 후 포란 암컷의 생존율은 $0%o$$90%o$에서 각각 $40\%$$70\%$로 나타났다. 그러나 $2-80\%o$에서$85\%$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어 이 종은 매우 광염성이라고 생각된다. T. japonicus의 최적 배양 환경은$24^{\circ}C,\;24\%o$, 3,000 lux 24 L : 0D였고, 이 때 한마리 암컷의 평균 산란수는 38마리였으며 평균 산란 간격일은 2.05일이었다. T. japonicus의 가장 좋은 먹이생물은 P. tircornutum였고 T. suecica는 먹이 가치가 매우 낮았다. 그리고 유지 효모의 먹이 효율은 빵 효모 보다 높았고, Amphora sp., C. ellipsoida N. oculata와 비슷하게 나타나서 T. japonicus의 대량 배양시 좋은 먹이라고 생각된다.

  • PDF

Chloramine-T의 넙치에 대한 독성과 어병세균 및 Blue Green Algae에 대한 살균 효과 (Toxicity of Chloramine-T on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Bactertcidal Activity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and Blue Green Algae, Tetraselmis suecica)

  • 황은아;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4
    • /
    • 2000
  • 강한 산화력에 의하여 살균력을 나타내는 CT(Sodium N-chloro-para toluenesulfonamide, Chloramine-T)의 어류에 대한 독성과 수서 미생물에 대한 살균력을 분석함으로서 우리나라 해산어 양식현장에서 새로운 수산용 소독제로서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주 양식어종인 넙치는 해수에서 16 ppm 이상의 CT 농도에 계속 노출되면 48시간 이내에 폐사되는 급성독성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CT의 세균사멸 효과는 매우 탁월하여 2ppm농도로 15분 이상 해수를 처리하였을 때 인위적으로 첨가시킨 어류질병관련 세균을 모두 사멸시킬 수 있었고 이러한 사멸효과는 세균의 종과는 큰 연관 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므로 CT는 사육수를 통한 세균감염 방지 또는 병어로부터 유출된 병원균의 확산 방지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blue green algae(Tetraselmis suecica)에 대한 사멸효과는 10 ppm이상의 농도에서 24시간동안 처리하였을 때 나타남으로서 어류에 대한 급성독성을 나타내는 농도와 매우 근접하였으므로 동 식물성 플랑크톤의 효과적 제거를 위하여서는 상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더구나 CT는 해수중에 유기물질의 농도가 10ppm 정도만 존재하고 있어도 그 살균효과는 급격하게 감소하므로 현장 적용 시에는 이에 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수온, 염분, 사육밀도 및 먹이공급이 왕우럭(Tresus keenae) 유생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Rearing Density and Food Supply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the Surf Clam, Tresus keenae Larvae)

  • 강한승;김철원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7-73
    • /
    • 2018
  • 본 연구는 수온, 염분, 사육밀도 및 혼합 먹이생물 공급량과 같은 환경요인이 왕우럭 Tresus keenae의 유생사육 시 생존 및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왕우럭 유생사육의 최적 조건은 수온 20℃에서 24℃, 염분 30 psu, 사육밀도 1 ml당 5개체 및 먹이생물 I. galbana, C. simplex 및 T. suecica 혼합 공급량 10×104 세포/ml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진 왕우럭 유생 최적의 사육 환경요인은 빠른 성장 및 높은 생존을 통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의 실내채묘 및 치패의 성장 (Studies on the Collection and Growth of Spat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in the)

  • 이정용;김완기;이채성;박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1-117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북방대합의 안정적인 인공 종묘생산을 위한 기초지식을 얻고자 채묘방법과 치패의 성장 및 사육 방법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채묘는 모래저질이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모래입자가 250 $\mu\textrm{m}$이하의 초미세사질에서 높은 성장과 생존율을 보였다. 각장 1.4 mm의 치패는 30일째에 4.6 mm로, 50일째에 8.2 mm로 성장하였으며, 각장(SL)에 대한 각고(SH), 각폭(SB), 전중(TW) 및 각중(SW)의 상대성장식은 아래와 같았다. 각고의 상대성장식 SH : 0.7351SL+0.2272 (r$^2$ : 0.9600) 각폭의 상대성장식 SB : 0.4037SL+0.2112 (r$^2$ : 0.9452) 전중의 상대성장식 W : 0.2824SL$\^$2.7020/ (r$^2$ : 0.9820) 각중의 상대성장식 SW : 0.4021SL$\^$2.0217/ (r$^2$ : 0.6169) 치패 사육을 위한 저질은 미세사질이 효과적이었으며,1∼2개체/$\textrm{cm}^2$의 밀도에서 성장과 생존율이 양호하였다. 먹이생물은 C. calcitrans가 가장 빠른 성장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혼합구와 I. galbana, P. lutheri, T. suecica 순 이었다.

기수산 물벼룩(Diaphanosoma celebensis)의 대량생산을 위한 대체 먹이원의 효과 (Relative Effectiveness of Replacement Diets for Mass Production of the Brackish Water Flea Diaphanosoma celebensis)

  • 박진철;권오남;박흠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6-153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ormulated diets (composed of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or $Schizochytrium$ sp., $Crypthecodinium$ sp., and EPA oil sources derived from baker's yeast) on the population growth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brackish water flea ($Diaphanosoma$ $celebensis$) to determine diet effectiveness for mass produc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st maximum density, fecundity, and population specific growth rate (SGR) of the flea were observed using a diet of $Tetraselmis$ $suecica$ (control). However, results using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and the mixed treatment of $Schizochytrium$ sp.+$Crypthecodinium$ sp.+EPA oil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control treatment ($P$>0.05). Thus, $T.$ $suecica$ could be replaced with a combination diet of $Schizochytrium$ sp., $Crypthecodinium$ sp., and EPA oil in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without growth interruption of $D.$ $celebensis$. As the percentage of combination diet (mix of $Schizochytrium$ sp., $Crypthecodinium$ sp., and EPA oil) in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increased, the level of ARA, EPA, DHA, and n-3 HUFA in $D.$ $celebensis$ also increased. However, the population density of $D.$ $celebensis$ sharply decreased with the use of treated supplements C5M5 (CHL [50%] and $Crypthecodinium$ sp.+ $Schizochytrium$ sp. + EPA oil [MIX 50%]). The optimum proportions of CHL and MIX for $D.$ $celebensis$ within the mixture were 70% and 30%,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the combination of $Schizochytrium$ sp., $Crypthecodinium$ sp., and EPA oil in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appears to be a stable and effective food source for mass production of $D.$ $celebensis$.

Cryopreserved Marine Microalgae Grown Using Different Freezing Methods

  • Youn, Joo-Yeon;Hur, Sung-Bum
    • ALGAE
    • /
    • 제24권4호
    • /
    • pp.257-265
    • /
    • 2009
  • Marine microalgae are a key diet component in finfish and shellfish aquaculture. Cryopreservation of the microalgae is suggested by many other studies as the best method for long-term storage. To test cryopreservation efficacy, 19 taxas of marine microalgal species were examined. In the first experiment we compared dimethylsulfoxide ($Me_2SO$) and glycerol, which are most widely used as cryoprotectant agents (CPAs). The cryopreservation comprised two freezing procedures. Firstly, the samples containing the CPAs were kept at $4^{\circ}C$ for 10 min before being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196^{\circ}C$). Secondly, samples containing CPAs were pre-cooled ($-1^{\circ}C$ $min^{-1}$ to $-80^{\circ}C$ before being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Most of the species were successfully cryopreserved using $Me_2SO$, whereas the Prasinophyceae (T. striata and T. suecica) were successfully cryopreserved using glycerol. In general, the cooling method had no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the microalgae except in the case of the Tetraselmis species.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cultured solution was divided before cryopreservation into concentrated and non-concentrated groups to identify the effect of cell density during cryopreservation. After 12 months of storage, the samples were again divided into centrifugation and non-centrifugation groups to learn the effect of $Me_2SO$ on the culture. Viability and growth of the microalgae were not influenced by cell density or the centrifugal removal of the $Me_2SO$ after thaw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