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 aestivum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초

다양한 잡곡 추출물의 살균.살충활성 (Fungicidal and insecticidal activities of various grain extracts against five insect pests and six phytopathogenic fungi)

  • 이회선;최경자;조광연;이상길;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7-14
    • /
    • 2000
  • 21종 잡곡류의 메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기주식물상의 온실실험조건에서 6종의 주요 식물병원균의 방제효과 및 5종의 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효과는 잡곡류의 종류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21종의 공시시료를 5 mg/pot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개보리 (E. sibiricus)와 늘보리 (H. vulgare var. nudum)는 벼도열병 및 보리흰가루병, 참깨 (S. indicum (W))와 밀 (T. aestivum)은 밀녹병과 보리흰가루병에 대하여 8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5종의 주요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2,50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 메밀 (F. esculentum)은 복숭아혹진딧물, 쇠보리 (I. crassipes), (O. sativa var. glutinosa), 기장 (P. miliaceum), 조 (S. italica), 수수 (S. bicolor) 및 밀 (T. aestivum)은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실험에 사용된 잡곡류는 토마토역병, 배추좀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해서는 거의 활성이 없거나 활성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벼도열병, 밀녹병 및 보리흰가루병 등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인 상기 잡곡 추출물들은 식물병 방제제로서 사용 가능성이 예상되었으며, 또한 복숭아혹진딧물 및 점박이응애에 강한 살충효과를 보인 추출물은 해충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Comparative RFLP Analysis of Chromosome 2M of Aegilops comosa Sibth et Sm. Relative to Wheat (T. aestivum L.)

  • Park, Y. J.;Shim, J. W.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0-123
    • /
    • 1998
  • Based on the co-linearity in the Triticeae, comparative RFLP analysis of 2M chromosome of Ae. comosa Sibth et Sm. was performed with 2MS and 2M additional lines of Triticum aestivum L. cv. Chinese Spring. Among the wheat RFLP probes conserved in the short arms of wheat chromosome 2, those above psr912 were located on the long arms of 2M in Aegilops comosa. The rest probes on the short arm and all the probe sequences on the long arm of group 2 chromosome in wheat were conserved on the equivalent chromosomal position in Aegilops comosa. So, it is apparent that some chromosomal segment from the short arm had been transferred to long arm while reconstructing 2M chromosome relative to wheat chromosomes. The break-point was located between psr912 and psr131 of the short arm. This rearrangement of chromosome 2M might be a molecular evidence of the M genome speciation from an ancestral type.

  • PDF

AFLPs에 의한 Aegilops의 계통발생학적 재평가 (Application of AFLPs to Phylogenetic Analysis of Aegilops)

  • 박용진;심재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90-799
    • /
    • 1997
  • 각 게놈형간의 근연관계 및 배수체종의 게놈분석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자, Aegilops 19종 및 재배밀(T. aestivum)을 공시하여 AFLP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FLPs를 이용한 Aegilops종들간 근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7개의 primer 조합에서 총 207개의 다형 band를 조사하였으며 조합당 평균 다형 band수는 29.8개 이었다. 2. 각 게놈간 유연관계로 보아 Ae. heldreichii ($M^h$) 는 Ae. comosa (M)와 Ae. uniaristate(N)의 중간위치의 게놈으로 나타났고, UM게놈을 가진 4배체종의 M게놈 공여종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Ae. squarrosa는 재배밀의 D게놈 공여종임을 확인하였다. 3. 6배체성 Ae. triaristate(UMN)는 4배체성 Ae. triaristate(UM)보다는 Ae. columnaris(UM)와 더 근연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e. ventricosa(DN)은 U게놈이 N게놈보다 더 근연인 것으로 나타났다. 4. AFLPs에 의한 군집형성은 5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고 이는 기본적으로 Gihara의 Section군과 일치하였고, 다양성분석, 게놈분석 등에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더덕에서 Aluminum Induced Protein (ClAIP) 유전자의 분리 및 발현분석 (Isolation and Expression of Aluminum Induced Protein(ClAIP) Gene from Codonopsis lanceolata)

  • 양덕춘;김종학;인준교;이범수;이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9-296
    • /
    • 2004
  • 더덕의 뿌리로부터 aluminum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aluminum induce protein(ClAIP)유전자를 분리하였다. ClAIP 유전자의 염기서열를 분석한 결과 906 bp 길이로, 236개의 아미노산으로 번역되는 711bp의 ORF를 가지고 있으며, A. marina(84%), G. hirsutum(84%), V. radiata(83%), A. thaliana(80%), B. hapus(78%), T. aestivum(68%) 등 다른 식물에서 밝혀져 있는 aluminum induce protein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고, N-terminal에는 Asn synthetase영역이 존재하고 있다. 더덕에서 분리한 aluminum induced protein(ClAIP)을 aluminum처리 농도와 시간에 따른 ClAIP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알아보고자 50uM $Al^{3+}$ 를 처리 후 시간대별로 RT-PCR을 수행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ClAIP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염 , 온도에 대한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 해 50uM CdCl,$_2$, 20 uM CuSO$_4$, 50uM Fe$_2$O$_3$, 100 uM NaCl를 2일과 42$^{\circ}C$에서 4시간 처리 후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카드뮴(Cd)에 대해서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은콩, 밀, 쌀겨 추출물이 모발의 성장과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xperimental studies of Glycine max Merr. (black bean), Triticum aestivum L. (wheat) and Oryza sativa L. (rice bran) extracts on the effects of hair growth a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 박혜윤;김수나;강병하;이존환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67-173
    • /
    • 2010
  • Objects : Glycine max Merr. (black bean), Triticum aestivum L. (wheat) and Oryza sativa L. (rice bran) have been widely used for treatment of relaxion of smooth muscle, gastrointestinal hemorrhage and alopecia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n this research,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extracts, obtained from EtOH extracts of 3 kinds of traditional plants, on hair growing activity of the DP6 and C3H10T1 cell and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and Methods :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three traditional plants were selected and we extracted them with ethanol. We evaluated their hairy dermal papillar cell proliferation activity and mouse mesenchymal stem cell in vitro model. Also, 3 herbal extracts were added to the normal shampoo formulation in ranges of 0.1% and we validated tensile properties and physical changes using aged hair. In this research, we compared the tensile strength, shine and color appearance between the hair (general formulation) and the hair after applying shampoo with natural extracts. To analyze the luster and color image, we use the SAMBA hardware and software made by Bossa Nova Technologies. Results : In the comparative test for tensile characteristic between the hair treated general formulation(control) and the hair applying special formulation including 3 kinds of extracts, tensile distance and energy of the latter are larger than control on average. The shine and color appearance were also increased after using shampoo including natural extracts(shine : 10.9%, color appearance: 24.12%). We observed the enhancement of hair growth activity in the DP6 and C3H10T1 cell. Especially black bean extracts had the most powerful effect in the dermal papillar cell proliferation. Conclusion : These experiments suggest that extracts of Glycine max Merr. (black bean), Triticum aestivum L. (wheat) and Oryza sativa L. (rice bran) stimulate the hair growth activity and can improve physical activities of aged hair. Shampoo product, which contains 3 kinds of natural extracts, would be used for the treatment for aged hair.

발아시간에 따른 국산밀(Triticum aestivum L.)의 페놀성분 및 라디칼 소거활성 (Phenolic Compoun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Korean Wheat (Triticum aestivum L.) according to Germination Times)

  • 함현미;최인덕;박혜영;윤순덕;오세관;김욱한;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37-7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산밀 품종에 대해 발아시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발아시간에 따른 국산밀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등 페놀성분의 함량은 발아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처리 금강밀, 조경밀, 백중밀 및 고소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3.74, 15.05, 16.84 및 13.02 mg GAE/100 g이었으며,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11, 6.72, 6.28 및 5.43 mg CE/100 g이었으며,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총 탄닌 함량은 각각 9.19, 8.86, 8.93 및 8.66 mg TAE/100 g이었으며,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금강밀, 조경밀, 백중밀 및 고소밀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30.77, 23.88, 25.35 및 18.73 mg TE/100 g이었으며, $25^{\circ}C$에서 72시간 발아 시료가 각각 47.47, 44.17, 38.22 및 42.85 mg TE/100 g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83.42, 88.53, 88.87 및 79.97 mg TE/100 g이었으며,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 국산밀의 발아를 통하여 페놀성분 및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진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체 내에서 Strontium의 대사 : 밀(Triticum aestivum L.)의 발아과정중 Polyamine 생합성에 미치는 Strontium의 영향 (Strontium Metabolism in Higher Plants: Effect of Strontium of the Polyamine Biosynthesis during Germination of Wheat(Triticum aestivum L.))

  • 김태완;게오르그하인리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5-71
    • /
    • 1995
  • 소맥 종자의 발아 과정중 strontium의 생리적 작용을 규명하기 위해 초엽, 종근 및 배유에서의 free amine의 함량변화가 측정되었다. $GA_3$를 포함한 배양액에 strontium 농도의 증가는 종근에서의 putrescine과 초엽에서의 spermidine의 축적을 현저히 유발하였다. $10\;{\mu}M$ 정도의 저농도에서도 strontium에 의한 putrescine 증가는 뚜렷한 반면, spermidine 증가는 10 mM의 고농도 처리에서 현저했다. 종근 생장을 억제하는 1mM 내지 10mM의 strontium 농도에서, g 생체중당 putrescine 수준은 동일농도 calcium 처리에서 보다 각각 22.4배와 15.3배 높았다. 특히 putrescine과 spermidine 증가에 의한 총 free amine 수준의 중가는 생체중 대비 뿐만이 아닌 RNA 함량 대비에서도 중요한 생리적 반응으로 보여졌다. Strontium과 대조적으로 고농도 calcium (10 mM) 처리는 초엽과 종근에서의 agmatine과 cadaverine 함량의 증가를 유발했다. Cadaverine은 calcium을 처리했을 경우에만 검출되었다. 그러나 $1\;{\mu}M$ 에서 1 mM 수준의 calcium 처리는 총 free amine 함량의 감소를 가져왔다. Strontium과 calcium 존재하에서의 발아과정중 축적되는 amine 종류의 차이와 총 free amine 중 diaminine 비율과 총 free amine 중 Polyamine 비율의 변화는 strontium과 calcium 간의 생리적 대사반응의 차이중 하나로 판단되었다.

  • PDF

Correlative Changes between Photosynthetic Activities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in Wheat Chloroplast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 Young-Nam Ho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37-42
    • /
    • 1994
  • Correlative changes between photosynthetic O2 exchange rates and room temperature Chl fluorescence were investigated in wheat (Triticum aestivum L.) chloroplasts treated with high temperature for 5 min. With increasing treatment temperature, photosynthetic O2 evolution rate mediated by PSII was decreased, showing 50% inhibition at 38$^{\circ}C$ (I50). But PSI activity measured by O2 uptake rates was stimulated as a function of increasing temperature. Dark level fluorescence (Fo)-temperature (T) analysis showed that fluorescence rising temperature (Tr), critical temperature (Tc), and peak temperature (Tp) was 38, 43, and 52$^{\circ}C$, respectively. Quenching analysis of Chl fluorescence showed that both the oxidized fraction of plastoquinone (qQ) and degree of thylakoid membrane energization (qNP) increased up to 4$0^{\circ}C$ and then declined dramatical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 is correlated with temperature showing a 50% of inhibition of photosynthesis and under mild high temperature stress, qNP is worth regarding as indicator for heat-induced damage of photosynthesis.

  • PDF

Growt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in Response to Elevated Temperature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Korean Bread Wheat

  • Chuloh Cho;Han-Yong Jeong;Yulim Kim;Jinhee Park;Chon-Sik Kang;Jong-Min Ko;Ji-Young Sh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4-124
    • /
    • 2022
  • Wheat (Triticum aestivum L.) is the major staple foods and is in increasing demand in the world. The elevated temperature due to changes in climat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s a major factor affecting wheat development and grain quality. The optimal temperature range for winter wheat is between 15~25℃,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of wheat according to the elevated temperature. This study presents the effect of elevated temperature on the yield and quality of two Korean bread wheat (Baekkang and Jokyoung) in a temperature gradient tunnel (TGT). Two bread wheat cultivars were grown in TGT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i.e. TO control (near ambient temperature), T1 control+1℃, T2 control+2℃, T3 control+3℃. The period from sowing to heading stage has accelerated, while the growth properties including culm length, spike length and number of spike, have not changed by elevated temperature. On the contrary, the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grain yield was reduced under T3 condition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condition. In addition, the. The grain filling rate and grain maturity also accelerated by elevated temperature (T3). The elevating temperature has led to increasing protein and gluten contents, whereas causing reduction of total starch content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reduced expression of starch synthesis genes and increased gliadin synthesis or gluten metabolism genes during late grain filling period.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levated temperature (T3) leads to reduction in grain yield regulating number of grains/spike, whereas increasing the gluten content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starch and gliadin-related genes or gluten metabolism process genes expression. Our results should be provide a useful physiological information for the heat stress response of whea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