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세포

검색결과 3,148건 처리시간 0.035초

진피 에탄올 추출물이 Alloxan에 의해 유도된 HIT-T15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from Citrus Peels on Oxidative Damage in Alloxan-induced HIT-T15 Cell)

  • 정희경;정유석;박치덕;박창호;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02-1106
    • /
    • 2010
  • 본 연구는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alloxan에 의해 유도된 HIT-T15 세포의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생존율 및 인슐린분비 조절능에 대해 조사하였다.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57.00{\pm}2.91\;mg/g$, $8.11{\pm}2.83\;mg/g$으로 나타났으며 alloxan 처리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HIT-T15 세포의 생존율은 감소하였으며, alloxan 11.58 mM에서 약 50%의 세포 독성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동결건조 된 진피 에탄올 추출물(CP-Et) 0.125~0.75 mg/mL 농도에서 무처리구의 세포 생존율은 $100.90{\pm}1.51{\sim}97.56{\pm}0.73%$로 나타나 HIT-T15 세포에 대한 CP-Et의 처리 농도는 0.125~0.75 mg/mL로 결정하였다. 0.125, 0.25, 0.5 mg/mL 농도의 CP-Et를 처리한 결과, alloxan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세포손상으로부터 세포 생존율이 각각 $80.52{\pm}3.29$, $74.17{\pm}6.75$, $67.53{\pm}5.8%$로 나타나 유의성 있게 보호되어짐을 확인하였다. CP-Et를 처리한 HIT-T15 세포에서는 산화적 손상에 대한 세포 생존율과는 다르게 0.125 mg/mL 농도에서 $116.93{\pm}2.11{\mu}g/mg$로 인슐린 분비가 대조구와 비교 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진피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적 방어로 2형 당뇨의 $\beta$-cell 양의 감소와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개선이 가능함을 제시하며, 그 작용 기작에 대해서는 차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EGF, T3, HB-EGF 가 치주인대섬유모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GF, T3 and HB-EGF on Human Periodontal Fibroblasts)

  • 홍은경;차정헌;김연태;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38-446
    • /
    • 2007
  • 치주인대섬유모세포들은 완전탈구 된 치아의 성공적인 재식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외상으로 인해 완전탈구된 치아의 보존을 위한 보관액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장인자들과 호르몬들은 치주인대섬유모세포들의 생존을 위한 치료적 제제로 고려되고 있다. Epidermal growth factor(EGF)는 다른 조직에서 재생과 상처 치유 과정의 중요한 역할인자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완전탈구 된 치아를 위한 치료적 적용을 위해 EGF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EGF와 tri-iodothyronine(T3)의 혼합액, EGF와 Heparin-binding epidermal growth factor-like growth factor(HB-EGF)의 혼합액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상승 효과를 평가하였다. 치주인대섬유모세포의 세포증식은 EGF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10 ng/ml 농도에서 최대 세포증식을 보였다. EGF는 상처치유분석에서 상처 치유촉진과 이동성을 보여주었다. EGF에 T3와 HB-EGF를 첨가한 혼합액에서 배양한 세포는 EGF만 처리한 경우보다 세포 증식이 상승되었다. EGF와 T3 혼합액의 상승효과 기전을 유추하기 위해서 RT-PCR로 EGF 수용기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T3가 EGF 수용기 발현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EGF와, EGF와 T3, EGF와 HB-EGF의 혼합액은 완전탈구된 치아의 치료에 있어 유용한 선택이 될 것이다.

  • PDF

홍삼의 생체 내 사이토카인 분비에 대한 면역조절효과 (Immunomodulating Effects of Red Ginseng on the Regulation of Cytokine Release in vivo)

  • 손은화;윤재웅;구현정;박대원;정용준;남궁승;한효상;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78-585
    • /
    • 2012
  • 홍삼의 6주간의 복강투여가 생체 내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계를 구성하는 주요 장기인 비장과 흉선의 무게변화와 성숙된 B세포와 T세포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비장세포를 배양하여 mitogen에 대한 비장세포의 세포증식능력을 연구하였다. 또한, 생체내 투여되는 홍삼이 면역반응의 매개역할을 하는 분비성 사이토카인의 조절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쥐의 혈청에서 분리한 사이토카인의 생성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홍삼의 투여는 비장과 흉선의 무게를 증가시켰고, 비장세포내의 B세포와 T세포의 증식능력에도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청 내 분비된 T세포, B세포 및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농도변화에서도 홍삼 투여군은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IFN-${\gamma}$, TNF-${\alpha}$, IL-2, IL-6 및 IL-12의 분비량을 모두 증가시켰으며, 면역억제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IL-10의 분비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홍삼의 투여가 면역 반응계 전반을 조절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며 모두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흉선과 비장의 무게지수가 증가되었다는 것은 세포증식 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흉선의 무게 증가와 ConA에 대한 T세포 증식능력의 유의성 변화 및 T세포가 분비하는 IL-2, IFN-${\gamma}$ 등의 사이토카인의 증가는 홍삼의 생체 내 투여가 T세포의 활성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SV 40 Promoter를 갖는 Plasmid에 의한 NIH3T3 섬유아세포의 형질전환 (Transforming Capacity of the Plasmid Containing SV40 Promoter in NIH3T3 Fibroblast Cells)

  • 이영환;김광식;서용택;김용웅;박남용;황태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15
    • /
    • 1989
  • Mammalian cell 연구에 쓰기 위해 개발된 SV 40 transcriptional promoter를 함유하는 pKOneo plasmid를 발암 유전인자 연구에 쓰이는 NIH3T3 쥐 세포에 stable transfection 시켜 7개의 sub clones 얻었으며, 이 subclones이 갖는 세포 형질전환에 관한 여러가지 성질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stable transfection 후 세포 염색체에 삽입된 pKOneo plasmid 자체만으로도 NIH3T3 세포의 형질전환을 크게 일으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사람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 CD4+CD25+ T세포의 분포와 이식편대숙주병 (Distribution of CD4+CD25+ T cells and graft-versus-host disease in huma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이대형;정낙균;정대철;조빈;김학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36-1341
    • /
    • 2008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 공여자의 이식편과 환자의 이식 후 말초혈액에서 $CD4^+CD25^+$ T 세포 분획의 분포를 알아보고 급성 이식편대숙주병(GVHD)과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17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공여자의 이식편과 이식 받은 환자의 이식 후 말초혈액으로부터 얻은 검체를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하였다. 공여자의 이식편과 이식 후 1개월과 3개월에 환자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의 분획과 절대 세포수를 알아보았다. 결 과: 공여자의 이식편 내 $CD4^+CD25^+$ T 세포의 분획은 급성 GVHD 발생군과 비발생군에서 각각 0.90%, 1.06%이었으며 차이가 없었다(P=0.62). 이식편 내 $CD4^+CD25^+$ T세포의 절대수는 급성 GVHD 발생군과 비발생군이 각각 $6.18{\times}10^5/kg$$25.85{\times}10^5/kg$으로 급성 GVHD 비발생군이 발생군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9). 급성 GVHD 비발생군의 말초혈액 $CD4^+CD25^+$ T 세포는 이식 후 1개월에 2.11%, 3개월에 1.4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28), 급성 GVHD 발생군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는 이식 후 1개월과 3개월에 각각 2.47%와 2.3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0). 결 론: 본 실험을 통하여 저자들은 공여자의 이식편 내 $CD4^+CD25^+$ T세포의 분포와 이식 후 환자의 급성 GVHD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은 검증할 수 없었으며 이식 후 환자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에는 조절 T세포보다 GVHD와 연관된 활성화된 T세포의 분획이 더 클 것으로 사료되나 추가적인 조절 T세포의 표지자를 이용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549 폐암세포주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티록신 및 당질 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의 상승 효과 (Synergic Effect on Adipocytic Differentiation by a Combination of Thyroxine andGlucocorticoid in A549 Cells)

  • 김현지;문선하;이성호;전병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693-702
    • /
    • 2023
  • 이 연구는 우리 몸에서 포도당 및 에너지 대사에 관련된 호르몬으로 알려진 티록신 및 당질코르티코이드를 지방분화배양액에 단용 혹은 혼용 첨가하여 A549 폐암세포주가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지방분화배양액에서 A549세포를 2주 동안 배양한 후, A549세포의 세포 성장률과 말단효소 복원효소를 비교하였을 때, 기본 지방분화배양액이나 PGZ기반 지방분화배양액에서 티록신 및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단용으로 첨가된 경우보다, 두 호르몬이 혼용으로 첨가되었을 때, 세포의 성장의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포내 축적된 지방 분자를 염색할 수 있는 Oil Red O 염색과 분화된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여러 아디포카인의 발현을 조사하여 각 지방분화배양액에서 A549 세포의 지방분화능력을 비교하였다. 지방세포로의 분화 능력 역시 티록신 및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단용으로 첨가된 경우 보다, 두 호르몬이 혼용으로 첨가되었을 때, Oil Red O 염색액으로 염색된 세포내 지방 과립의 수와 크기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아디포카인의 발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549 세포에서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할 때, 포도당 대사 관련 두 호르몬의 혼용 처리가 더욱 더 세포 분화를 촉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여러 다른 암세포주를 두 호르몬을 혼용하여 첨가한 지방분화배양액에서 처리하여 지방 분화 유도에 의한 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체내의 다른 세포, 특히 미분화 줄기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세포 분화중인 3T3-L1 세포에서 아로마테이즈 siRNA 처리에 의한 지방관련 유전자와 전사인자의 발현 조절 (Adipocyte-Related Genes and Transcription Factors were Affected by siRNA for Aromatase Gene during 3T3-L1 Differentiation)

  • 정동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600-1605
    • /
    • 2008
  • 본 연구는 에스트로겐 생성효소 유전자인 아로마테이즈 유전자의 siRNA를 이용하여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시 나타나는 유전자의 발현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CYP19A1 (aromatase)의 유전자로부터 siRNA를 3쌍을 디자인하고 이를 지방세포의 전구세포인 3T3-L1세포에 유전자 전이 한 후 분화 유도를 통하여 지방세포 생성의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비만의 원인 유전자인 렙틴 유전자의 발현 억제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특이적으로 인슐린과의 연관성이 매우 높음을 밝혀 낼 수 있었다. 그리고 비만 또는 백색지방 생성 시 발현이 억제되는 adiponectin과 adipsin의 과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지방생성의 모든 신호전달체계 중 특정 한 물질을 저해 하므로써 큰 부작용 없이 비만의 문제가 되는 지방생성을 일정 정도 제어 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결과는 앞으로 에스트로겐 결핍 또는 과발현에 의하여 문제가 되는 지방생성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NOD/SCID 모델 마우스 생체 내 돼지 T 면역세포의 증식 및 분화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of Porcine T Lymphocytes in NOD/SCID Mice)

  • 이용수;김태식;김재환;정학재;박진기;장원경;김동구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1호
    • /
    • pp.1-6
    • /
    • 2007
  • NOD/SCID 마우스는 선천성 면역결핍을 지닌 마우스로서 이종 세포 및 조직 이식을 위한 실험동물로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돼지의 골수조직에서 채취한 조혈줄기세포를 면역결핍마우스의 정맥 주입을 통하여 생체 내 주입을 실시한 결과, 마우스의 조혈조직에서 대단히 높은 돼지 T면역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해 돼지 골수 조혈세포 생체 이식 6주의 마우스에서의 돼지 T면역세포의 증식과 분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 마우스 조혈조직인 골수($5.4{\pm}1.9%$), 비장($15.4{\pm}7.3%$), 간($21.3{\pm}1.4%$), 림프절($33.5{\pm}32.8%$)에서 돼지 조혈줄기세포 유래 T 세포의 증식과 분화가 관찰되었고, 돼지 helper T 세포와 cytotoxic T 세포의 발달도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 면역염색을 통하여 마우스의 비장조직에 이식한 돼지 면역세포의 중식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NOD/SCID 마우스를 이용해 돼지 조혈줄기세포로부터 T 면역세포로의 분화 및 발달과정을 생체 내에서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동물모델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고지방식이 섭식 횐쥐의 간조직에 미치는 한방초콩환의 영향 (Effect of Herbal Chokong Pill on the Microstructure of Liver Cell in Rats Fed High Fat Diet)

  • 박찬성;김동한;김미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0-205
    • /
    • 2008
  • 본 연구는 한방초콩환의 고지방식이를 섭식한 흰쥐의 간조직 지방제거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서목태(Rhynchosia nulubilis)를 식초에 15일간 절인 후, 5종류의 한약재(감초, 산조인, 백출, 황기, 산수유)를 첨가하여 한방초콩환을 제조하고, 고지방식이로 흰쥐의 비만을 유도하면서 고지방식이에 한방초콩환을 1%와 5% 첨가하여 9주 동안 투여한 후 간장의 무게, 혈청 효소활성도 및 간세포의 미세구조를 투과형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하였다. HF군은 정상군의 간 무게에 비하여 약 35% 증가된 반면에 T5군의 경우는 HF군에 비하여 약 13% 감소하였다. 혈청 중 GOT 활성도는 정상군과 HF군이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T1군과 T5군에서는 HF군에 비하여 각각, 6.1%, 17.8% 감소하였으며 혈청 중 GPT 활성도 역시 정상군과 HF군이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T1군과 T5군에서는 HF군에 비하여 각각 25.4, 32.4% 감소하였다. 간세포조직의 지방축적 정도 및 형태적 특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정상군의 모양은 원형 내지 다각형을 나타내고 핵은 크고 둥글며 세포의 중앙에 위치해 핵질이 고르게 발달해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질에는 미토콘드리아를 비롯한 각종 세포 소기관이 고루 분포되어 있었으며 세포 전반에 걸쳐 지방구는 보이지 않았다. HF군은 세포전반에 걸쳐 지방구에 뒤덮여 세포의 형태 관찰이 불가능할 정도였으며 지방의 과잉 축적으로 인한 전자밀도가 낮아 백색을 나타내어 세포소기관의 막과 형태가 불분명한 지방간의 심각한 양상을 볼 수 있었다. T1군은 HF군에 비하여 지방구가 많이 소멸되었으며, T5군은 T1군에 비하여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가 현저히 줄어든 것이 관찰 되었고, 더욱더 선명한 핵과 핵막 및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높아 지방질의 감소를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