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 Compounds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5초

불용성 촉매전극을 이용한 염색폐수의 전기화학적 처리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Dyeing Wastewater using Insoluble Catalyst Electrode)

  • 엄명헌;하범용;강학철
    • 청정기술
    • /
    • 제9권3호
    • /
    • pp.133-144
    • /
    • 2003
  • 본 연구는 불용성 산화물계 촉매전극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염색폐수를 대상으로 전해처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전해시스템에 사용된 가용성 전극(Fe, Al)과 불용성 전극 [SUS, R.C.E(Replaced Catalyst Electrode);금속산화물 전극]에 대한 환경오염물질의 처리 효율성과 각 전극에 대한 유용성 여부를 비교 고찰하였고, 또한 전해 처리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해처리 조건들에 관해 조사하였다. 이 결과 오 폐수 처리를 위한 전기분해 공정의 실용화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전극 안정성은 불용성 산화물계 촉매전극을 제조 사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불용성 전극인 R.C.E 제조시 $RuO_2-SnO_2-IrO_2-TiO_2$의 4성분계 혼합물의 몰 비가 70/20/5/5이 될 때 내구성이 가장 양호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 불용성 전극인 R.C.E를 이용한 염색폐수 처리 시 전극간 거리 5mm, 전해시간 60분, 인가전압 10 V, 처리 용량 $0.5{\ell}$의 실험 조건에서 90% 이상의 양호한 CODMn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또한 T-N 제거에도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저근백피의 Virus-Cell Fusion 저해활성 성분 (Virus-Cell Fusion Inhibitory Compounds from Ailanthus altissima Swingle)

  • 장영수;문영희;우은란
    • 생약학회지
    • /
    • 제34권1호통권132호
    • /
    • pp.28-32
    • /
    • 2003
  • In order to search for the anti-HIV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eighty MeOH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were applied to a syncytia formation inhibition assay which 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IV-1 envelope glycoprotein gp120/gp41 and the cellular membrane protein CD4 of T lymphocytes. Among them, Ailanthus altissima showed a potent virus-cell fusion inhibitory activity. Repeated column chromatoghaphy of the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f A. altissima afforded compounds 1$({\beta}-sitosterol-3-O-{\beta}-D-glucoside)$, 2(tetramethoxycoumarin), and 3(ocotillone). Virus-cell fusion inhibitory activity of compound 3(ocotillone) was $70.76{\pm}4.09%$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l$.

Bis(morpholine)-substituted 1,3,5-Triazines Derivatives: Synthesis and Structural Study

  • Lee, Jong-Dae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61-68
    • /
    • 2018
  • New 4,4'-[6-(o-carboranylalkoxy)-1,3,5-triazine-2,4-diyl]dimorpholine derivatives have been prepared by reacting 4,4'-[6-(alkynyloxy)-1,3,5-triazine-2,4-diyl]dimorpholines with decaborane and N,N-dimethylaniline as base. The intermediate compounds, 4,4'-[6-(alkynyloxy)-1,3,5-triazine-2,4-diyl]dimorpholines, have been prepared by reacting 4,4'-[6-chloro-1,3,5-triazine-2,4-diyl]dimorpholines with prop-2-yn-1-ol, but-3-yn-1-ol, and pet-4-yn-1-ol, and potassium tert-butoxide (t-BuOK) as base. The structure of these compounds has been confirmed by IR, $^1H$, $^{11}B$, and $^{13}C$ NMR and X-ray crystallographic studies.

울릉도 해안지역 염기성암의 자기적 성질 연구 (Magnetic Properties of Basic Rock in the Seaside Area of Ulleung Island)

  • 윤인섭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53-159
    • /
    • 2010
  • 울릉도의 해안지역에서 염기성암 시료에 대하여 X-선 형광 분광 분석, M$\ddot{o}$ssbauer 분광 분석 및 SQUID 분석으로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여 화산암의 화학적 조성과 시료 내에 존재하는 Fe의 원자가 상태와 자기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울릉도 해안지역의 염기성암은 알칼리 장석 계열의 광물들이 주 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철석인 hematite(${\alpha}-Fe_2O_3$)을 포함한 총 Fe 화합물의 중량비는 10.6~14.5 wt%의 범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ddot{o}$ssbauer spectrum과 자기이력 곡선을 조사한 결과로 부터 모든 시료들의 자기적 성질이 hematite(${\alpha}-Fe_2O_3$)에 의한 강자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0 K~350 K 온도 범위에서 외부 자기장인 +1 T를 인가하고 온도에 따른 자기화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로부터 41 K~60 K 사이의 온도에서 시료들의 자기전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a물질(物質)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 발생(發生) 및 병원균(病原菌)의 균사생육(菌絲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alcium on the Apple Varieties Resistance to Alternaria Leaf Spot and Mycelial Growth of Alternaria mali Roberts)

  • 윤재탁;이준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9-244
    • /
    • 1987
  • 사과 잎속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 사과나무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에 대(對)한 Ca 화합물(化合物)의 균사생육억제(菌絲生育抑制) 효과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품종별(品種別) 피해엽율(被害葉率)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이 84.8%, 중도저항성품종(中度抵抗性品種)이 8.1%,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0.5%이었고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품종별(品種別) 발병율(發病率)과 잎의 무기성분(無機成分) 관계(關係)에서 CaO 함량(含量)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보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에서 많았으며 7, 8월(月)의 발병율(發病率) 및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와 상관계수(相關係數)(r)가 각각(各各) -0.551, -0.585, -0.485로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어 Ca가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저항성(抵抗性)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으나 T-N, $P_2O_5,\;K_2O,\;MgO,\;Na_2O$는 품종간(品種間)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사과나무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은 배지(培地)의 pH가 $11{\sim}13$ 정도(程度)에서도 생육(生育)이 가능(可能)하였으며 CaO는 균사생육(菌絲生育) 저지(沮止) 효과가 있었다.

  • PDF

Screening of Bioconversion Components from Gumiganghwal-tang on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Strains

  • Liang, Chun;Lee, Kwang Jin;Cho, Chang-Won;Ma, Jin Yeul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102-106
    • /
    • 2014
  • Gumiganghwal-tang (GMT) is a traditional herbal prescription used for treatment of the common cold, pain, and inflammatory diseases. Variations in the amounts of bioactive components of GMT and GMT fermented with 10 Lactobacillus strains were investigat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diode array detection (HPLC-DAD). Simultaneou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eleven bioactive compounds (prim-O-glucosylcimifugin, liquiritin, cimifugin, baicalin, liquiritigenin, wogonoside, baicalein, wogonin, butylphthalide, imperatorin, and isoimperatorin) were performed, with comparison of their retention times (tR) and UV spectra with those of standard compounds. The amounts of baicalin (8.71 mg/g), liquiritigenin (5.28 mg/g) and butylphthalide (5.10 mg/g) were the major compounds in GMT. We found that L. fermentum KFRI 145 fermented wogonoside and baicalin to their aglycones, wogonin and baicalein,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L. fermentum KFRI 145 has potential as a functional starter culture for manufacturing fermented GMT.

2-MIB와 Geosmin의 Polyethersulfone 나노 분리막 배제율 거동 및 $TiO_2$ 적용 표면 친수화 효과 관찰 (Rejection Behavior of 2-MIB and Geosmin Using Polyethersulfone Nanofiltration Membrane and Surface Hydrophilicity Effect Using $TiO_2$ Particles)

  • 남도우;김무인;김정환
    • 멤브레인
    • /
    • 제22권5호
    • /
    • pp.326-331
    • /
    • 2012
  • 수중 이 취미를 유발시키는 대표적인 미량오염물질인 2-methylisoborneal (MIB)과 geosmin(지오스민)의 배제율을 소수성 polyethersulfone (PES) 나노분리막(분획분자량 : 400 Da)을 적용하여 다양한 용액조성에서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적용된 모든 조건에서 지오스민이 2-MIB보다 다소 높은 배제율을 나타내었다. 용액의 pH 효과를 관찰한 결과 pH가 증가할수록 2-MIB와 지오스민 양쪽 모두 배제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수중 자연유기물질의 존재는 두 미량유기물질의 배제율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높은 pH일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소수성 분리막을 친수성 $TiO_2$ 입자로 표면코팅 시킨 후 배제율을 관찰한 결과 분리막의 표면을 친수화한 후 소수성인 2-MIB와 지오스민의 배제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소수성 상호작용은 미량유기물질 나노여과 배제율의 중요한 기작 중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mmuno-stimulating Properties of Biopolymers Extracted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s

  • Jeong, Sang-Chul;Jeong, Young-Tae;Yang, Byung-Keun;Song, Chi-Hyun
    • BMB Reports
    • /
    • 제39권1호
    • /
    • pp.84-90
    • /
    • 2006
  • During our search for macrophage stimulating compounds from medicinal plants, we isolated biopolymers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s. Isolated fraction AS-5 showed maximum potential, and stimulated lysosonal enzymatic activity by 230% at $300\;{\mu}g/ml$. The nitric oxide (NO) producing ability of AS-5 $100\;{\mu}g/ml$ was $58\;{\mu}M$ when treated with interferon-$\gamma$ and lipopolysaccharide $20\;{\mu}g/ml$. The lymphocyte proliferating effects of isolated biopolymer fractions were also investigated. Highest lymphoproliferative activity (a 2.8-fold enhancement compared to saline treated group was exhibited by AS-3 at $200\;{\mu}g/ml$ followed by AS-5 and AS-6. The AS-3 fraction stimulated only T-lymphocytes and had little or no effect on B-lymphocyte proliferation. Partially methylated alditol acetates were prepared to elucidate the glycosyl linkage-compositions of the AS-3 and AS-5 biopolymers, and were analyzed by GC-MS. The AS-3 and AS-5 biopolymer fractions were found to contain 2,3,4-tri-O-methyl-D-glucitol, 2,3,4-tri-O-methyl-D-galacitol 3,4,6-tri-O-methyl-galacitol, 2-O-methyl-arabinitol and 2,4,6-tri-O-methyl-D-glucitol, 2,3,6-tri-O-methyl-D-galacitol linkages, respectively.

제주 자생 물사과 가지 유래 Flavonoid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for the Flavonoids of the Syzygium aqueum Burm.f. Alston Branches from Jeju Island)

  • 염현숙;이남호;현주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1-15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물사과 가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세포보호효과를 검색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물사과 가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에서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H_2O_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 $20{\mu}g/mL$의 농도에서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보호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이 좋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유효성분을 찾고자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를 실시하여 2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13}C$ NMR 데이터 분석 및 문헌 비교를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pinocembrin (1), desmethoxymatteucinol (2).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화합물 1, 2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이 나타났다. $100{\mu}M$의 농도에서 화합물 1, 2는 $H_2O_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하여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물사과 가지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Identification of AMPK activator from twelve pure compounds isolated from Aralia Taibaiensis: implication in antihyperglycemic and hypolipidemic activities

  • Li, Yuwen;Park, Jongsun;Wu, Yin;Cui, Jia;Jia, Na;Xi, Miaomiao;Wen, Aid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3호
    • /
    • pp.279-286
    • /
    • 2017
  • The root bark extract of Aralia taibaiensis is used traditionally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in China. The total saponin extracted from Aralia Taibaiensis (sAT) has effective combined antihyperglycemic and hypolipidemic activities in experimental type 2 diabetic rats. However, the active compounds have not yet been fully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effects of twelve triterpenoid saponins on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ation, and found that compound 28-O-${\beta}$-D-glucopyranosyl ester (AT12) significantly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AMPK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 AT12 effectively decreased blood glucose, triglyceride (TG), free fatty acid (FFA) and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levels in the rat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The mechanism by which AT12 activated AMPK was subsequently investigated. Intracellular ATP level and oxygen consump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AT12 treatment. The findings suggested AT12 was a novel AMPK activator, and could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