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stemic insecticid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5초

살충제 이미다크로프리드 잔류물의 실시간 측정용 효소면역분석법 (Enzyme Immunoassay for On-line Sensing of the Insecticide Imidaclopird Residues)

  • 송석진;조한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6호
    • /
    • pp.505-510
    • /
    • 2003
  • In Korea, due to its broad efficacy as a systemic insecticide, imidacloprid has been widely used in rice paddies to control sucking insects, soil insects, and some chewing insects and in apple orchards to control various insects pests. To quantify the imidacloprid residue concentrations, samples are assayed in vitro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ELISA). These assays generally require several hours to perform. As a biosensor, a competitive imidacloprid ELISA was modified to measure insecticide concentrations. It was found that a total assay time of 15 min(10-min antibody-antigen binding, and 5-min substrate development) is sufficient for monitoring imidacloprid concentrations. Further work is needed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the measurement protocol.

살충제 이미다클로프리드에 의한 식물 가뭄 내성 유도 (Induced Drought Tolerance by the Insecticide Imidacloprid in Plant)

  • 한송희;김철홍;이장훈;김인선;김영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9-164
    • /
    • 2010
  • Imidacloprid is a systemic insecticide which has been used widely in various crops to control insects. In the present study, we demonstrated that pre-treatment of imidacloprid significantly induced tolerance to drought in plant. Relative water content, chlorophyll levels, and recovery rate upon rehydration after drought stress in tobacco plants pre-treated with imidacloprid were higher levels than the control plants. Induced drought tolerance by imidacloprid treatments in red pepper was also demonstrated by measurement of recovery rate and fresh weight upon drought stres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imidacloprid, in addition to exerting direct insecticidal activity, may also protect plants by induced tolerance to drought in plant.

담배가루이 Biotype B와 Q의 약제감수성과 효소활성 비교 (Comparison of insecticide susceptibility and enzyme activities of biotype B and Q of Bemisia tabaci)

  • 김은희;성재욱;양정오;안희근;윤창만;서미자;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0-330
    • /
    • 2007
  • 충북 진천군 이월면 장미재배지와 경남 밀양시 고추밭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에 대해서 16S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PCR 산물을 EcoT14 I (Sty I)과 Stu I을 처리한 결과 경남 밀양시 고추밭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는 Sty I 에서 555pp와 311bp 두 개의 단편이 만들어져 biotype Q임을 확인하였고, 충북진천군 장미재배지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는 Stu I에서 560bp와 3060p 두 개의 단편이 만들어서 biotype B임을 확인하였다. 두 biotype에 대한 12종 살충제로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 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을 비교하였고,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glutathione S-transferase 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저해정도를 검토하였다. 두 biotype간에 약제감수성 차이가 있었고, biotype B가 Q보다 더 감수성이었다. 엽면침투이행성과 근부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에서도 biotype B가 Q보다 더 감수성이었다. 유기인계인 fenitrothion과 카바메이트계인 fenothiocarb의 저해제에 대해서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glutathione S-transferase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biotype Q가 B보다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담배가루이 biotype Q가 B보다 약제에 대해서 저항성임을 알 수 있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에 대한 살충활성과 방제효과 (Activity and control effects of insecticides to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Diptera: Agromyzidae))

  • 김길하;이영수;박선영;박용석;김정화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6-5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33종의 살충제에 대한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의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을 조사하고, 약제를 선발하여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알에 대해서는 spinosad가 70%의 살충률을 보인 것 외에 대부분의 약제들은 살충활성이 낮았다. 갓 부화한 유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cartap, emamectin benzoate, diflubenzuron + chlorpyrifos, milbemectin이 90%이상의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유충 ($2{\sim}3$령)에 대해서는 abamectin, cartap, cyromazine, emamectin benzoate, diflubenzuron +chlorpyrifos가 95%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번데기에 대해서는 cartap + buprofezin이 98.6%의 놀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고, 성충에 대해서는 모든 약제가 70% 이하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알에 대해서 emamectin benzoate와 milbemectin은 각각 53.3, 47.9%로 중간정도의 엽면침투이행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약제들은 낮았다. 유충과 성충에 대한 침투이행효과는 시험한 6약제 모두 30% 이하이었다.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의 잔효성은 약제처리 후 10일째까지 각각 91.4, 90.4, 91.9%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4일째에도 85%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냈다. 방제효과 시험에서 abamectin, cyromazine,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은 약제처리후 14일째까지 각각 96.0, 97.4, 94.5, 95.4%의 놀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Cartap과 cartap + buprofezin이 강남콩잎에 약해를 나타내었으나 그 외 약제들은 약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은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트랩식물과 침투이행성 살충제를 이용한 토마토 담배가루이 성충 방제효과 (Control of Bemisia tabaci Genn. (Hemiptera: Aleyrodidae) Adults on Tomato Plants using Trap Plants with Systemic Insecticide)

  • 최용석;황인수;이경주;김경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09-117
    • /
    • 2016
  • 우리는 시설토마토에서 4가지 침투이행성약제가 사용된 가지를 트랩식물로 활용하여 담배가루이 성충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침투이행성약제가 추천된 농도로 사용되었을 때,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dinotefuran SG 50% 방제효과는 80%로 방제효과가 각각 51.0%, 12.4%, 11.0%인 cyantraniliprole, pyridaben, clothianidin 보다 높았다. 살충효과가 뛰어난 dinotefuran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200 ppm에서 살충률이 88.4%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Dinotefuran의 방제효과는 가지에 적용된 약 9일까지 지속되었고 그 이후 담배가루이 밀도는 증가하였다. 포장실험에서 가지 트랩식물로부터 0, 15, 20 m 떨어진 토마토 신초에서의 담배가루이 밀도가 가장 높았고 5 m와 10 m에서 가장 낮았다. 담배가루이의 밀도가 낮고 dinotefuran SG 50%가 처리된 가지를 10 m 간격으로 투입했을 때, 담배가루이 성충의 밀도가 전체적으로 낮았으며, 또한 담배가루이의 밀도는 하우스 내부보다는 측면에서 밀도가 더 높았고 가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밀도가 높았다. 담배가루이 밀도가 높고 dinotefuran SG 50%가 처리된 가지를 5 m간격으로 투입했을 때, 담배가루이 밀도가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지는 시설토마토 재배시 담배가루이 성충을 유인하는데 효과적인 트랩식물이며 dinotefuran SG 50% 과 함께 사용한다면 담배가루이 밀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벼멸구에 대한 여러 가지 침투성 살충제의 근부처리 효과 (Effects of Root Zone Applications of Some Systemic Insecticides for Control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a}l$) (Homoptera: Delphacidae))

  • 팜홍히엔;김종규;최병렬;송유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6-242
    • /
    • 2008
  • 벼 천적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주면서 벼멸구에는 최대한의 효과를 쭐 수 있는 침투성 살충제의 근권처리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실험실과 온실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벼멸구의 사충률과 번식력, 약충의 생존율을 알아보기 위해서 입제형의 5가지 약제(carbofuran, carbosulfan, diazinon, ethoprophos, imidacloprid)를 근권에 처리한 결과 carbofura이 모든 실험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diazinon과 ethoprophos는 벼멸구의 사충률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Carbofuran 처리후 당일 벼멸구를 접종하였을때, 성충은 처리 7일 후에 거의 100% 사충률을 보였고, 처리 25일 후까지 약충은 $1{\sim}2$마리 발견되었다. Carbofuran처리 10일 후에 벼멸구를 접종하였을 때, 벼멸구 접종 1일 후 100%에 가까운 사충율을 보였고, 약충은 25일 후까지도 발생되지 않았다. Carbofuran은 벼멸구 접종 30일 전보다 10일 전에 처리하는 것이 효과가 높았다. 따라서 carbofuran의 근권처리는 천적에는 해를 입히지 않고 벼멸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총채벌레의 살충제 감수성 (Toxicity of several insecticides to Dichromothrips smithi Zimmermann(Thysanoptera : Thripidae))

  • 안기수;이기열;강효중;박성규;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4-249
    • /
    • 2002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22종 살충제의 난총채벌레(Dichromothrips smithi) 알, 유충, 성충에 대한 살충활성과 선발된 11약제로 침투이행성과 잔효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알에 대하여 100%의 부화억제율을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phenthoate+ethofenprox이며, 유충에 대하여 100%의 살충활성을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ethofenprox, thiamethoxam, abamectin, chlorfenapyr, emamectin benzoate, fipronil, spinosad, phenthoate+ethofenprox이고, 성충에 대하여 100%의 살충활성을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ethofenprox,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fipronil, spinosad, phenthoate+ethofenprox등이다. 약제별 침투이행성은 Phenthoate가 뿌리침투이행성이 43.3%로 가장 높았고, 다른 모든 약제들은 20%미만의 낮은 침투이행효과를 보였다. 잔효성은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ethofenprox, emamectin benzoate, fiponil, spinosad, phenthoate등이 약제처리 7일 후까지 8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국내등록사용중인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의 감수성 (Susceptibility of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Homoptera: Aleyrodidae) against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김창우;김정화;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75-8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38종의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의 발육단계별 감수성을 조사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로 수행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IGR계인 pyriproxyfen만이 90%이상의 부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3령약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acetamiprid, chlorpyrifos-methyl, imidacloprid, pyripoxyfan, acetamiprid+ethofenprox가 90%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충에 대해서는 유기인계의 acephate, fenitrothion, phenthoate, 카바메이트계의 berfurcarb, furathiocarb, 피레스로이드계의 bifenthrin, 네오니코티노이드계의 acetamiprid, imidacloprid, 혼합제의 acetamiprid+ ethofenpox, ethofenprox+ diazinon, furathiocarb+ diflubenzuron, triazamate+${\alpha}$-cypermethrin 기타 abamectin, endosulfan, pymetrozine 등이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는 성충에 대해서 잔효성뿐만아니라 침투이행효과도 나타내었다. 방제효과시험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처리후 11일째부터 90%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신규 살충제 flupyrazofos의 배추좀나방에 대한 작용특성 (Property of action of new insecticide, flupyrazofos against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 김길하;문선주;장영덕;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17-125
    • /
    • 1998
  • Flupyrazofos [O,O-diethyl-O-(1-phenyl-3-trifluoromethyl-5-pyrazoyl)thiophosphoric acid ester]는 trifluoromethyl기가 존재하는 피라졸계통의 유기인계 살충제이다. 이 화합물은 배추좀나방에 대해서 탁월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작은각시들명나방과 멸강나방에 대해서도 우수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배추좀나방의 알, 번데기, 성충에 대해서는 살충효과가 떨어지지만, 유충은 발육 단계에 관계없이 강한 살충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살충효과의 발현속도는 매우 빨랐다($LT_{50}$=0.9 hrs, $LT_{95}$=4.5 hrs). 침투이행성 효과는 없었지만, 잔효성은 있었다. 유기인계, 피레스로이드계 및 IGR계 저항성계통에 대해서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채집지역별 살충제 감수성은 실내계통(S)과 큰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flupyrazofos는 야외에서 배추좀나방, 멸강나방, 작은각시들명나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꽃매미(Lycorma delicatula) 약충과 성충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 (Chemical Control Effect Against Spot Clothing Wax Cicada,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Nymphs and Adults)

  • 김선국;이기열;신윤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40-445
    • /
    • 2010
  • 본 연구는 꽃매미(Lycorma delicatula)의 방제약제 선발을 목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5종 살충제에 대한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꽃매미 3령약충과 성충에 대해서 chlorpyrifos, etofienprox+diazinon, etofenprox, dinotefuran, imidacloprid 모두 100% 살충활성을 보였다. 5종 약제의 배수, 반수, 추천농도에 대한 실험결과 뿌리의 침투이행성 실험은 dinotefuran, etofenprox+diazinon의 반수농도에서 각각 82.2%와 84.4%의 성충 치사율을 보였으며, chlorpyrifos는 추천농도에서 86.0% 치사율을 나타냈다. 엽면적 침투이행은 반수농도와 추천농도에서 dinotefuran을 제외하고 치사율이 모두 65%이하로 낮았으나, 배수농도에서는 ch1orpyrifos, dinotefuran, etofenprox에서 82% 이상의 치사율을 보였다. 약제 간 잔효성 비교는 dinotefuran, etofenprox+diazinon의 배수와 추천농도에서 14일 동안 100%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나머지 약제는 효과가 낮았다. 노지 포도원에서 실시한 방제실험 결과 약충은 14일까지 4약제 모두 87%의 방제가를 보였고, 성충은 dinotefuran, etofenprox+diazinon에서 96%이상 치사율을 보인 반면, 나머지 약제는 각각 59.1%와 61.2%로 낮았다. 따라서, 뿌리와 잎에 침투이행이 높고 잔효성이 우수한 dinotefuran, etofenprox+diazinon이 야외 포장에서의 방제효과도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