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ovitis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3초

슬관절의 활액막에 발생한 유육종증 -1례 보고- (Sarcoidosis in Synovium of the Knee Joint - Case Report -)

  • 최중근;이재준;윤승렬;임수재;이병일;나수균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9-102
    • /
    • 1998
  • Sarcoidosis is a multi systemic granulomatous disease of unknown etiology and pathogenesis. The granulomas are non-caseating, and the organs that are affected most frequently are the lungs, the skin, and the eyes. However it may also involve the liver, spleen, bone, nervous system, and other organs. The diagnosis i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noncaseating granuloma in the tissues involved, excluding other granulomatous conditions. The diagnosis of sarcoid joint disease is often made in retrospect and only when the lung or eye is involved. We report a case of sarcoid synovitis in knee joint with review of literature.

  • PDF

악관절에 발생한 착색성 융모결절성 활막염 2례 보고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N TMJ)

  • 이종호;안상철;이은진;서병무;최진영;정필훈;김명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8권5호
    • /
    • pp.353-357
    • /
    • 2002
  •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PVNS) usually presents as a benign proliferative monoarticular arthritis that affects the knee in 80% of cases, followed in frequency by the hip, ankle, and calcaneocuboid joint. PVNS rarely affects temporomandibular joint area. Patients typically complain of pain, locking, and recurrent swelling. Tumor progression limits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joint and causes it to become stiff and firm. Sometimes a palpable mass can be appreciated. Aggressive form of PVNS invades into adjacent bones and soft tissues, is confused with other types of neoplasia. Here we report 2 cases of the PVNS on a temporomadibular

슬관절에 발생한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for th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in the Knee)

  • 배대경;조남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2-26
    • /
    • 2001
  • 목적 : 슬관절에 발생한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 대해 시행한 관절경하 활액막 절제술의 결과를 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0월부터 2000년 2월까지 관절경하 활액막 절제술을 시행 후 병리 조직 검사상 특징적인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으로 확진을 받은 6명, 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6례 모두에서 동통과 종창을 호소하였고 4례에서 외상의 과거력이 있었다. 연령은 최저 16세에서 최고 67세로 평균 35.8세 였으며, 남자가 3명, 여자가 3명 이었다. 추시기간은 최단 13개월에서 최장 53개월로 평균 22.7개월이었다. 결과 : 관절경 소견상국소형은 3례, 미만형은 3례였다. 술전 평균 굴곡 구축은 4.2도(0도$\~$15도)였고 평균 후속 굴곡은 120도(80도$\~$140도)였다. 최종 추시시 슬관절 운동 범위는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며 신전 장애가 있었던 2례에서 모두 굴곡구축이 없어졌다 평균 후속 굴곡은 133.3도(120도$\~$140도)로 술전보다 13.3도의 증가를 보였다. 술 후 최종 추시시 경미한 동통을 호소한 1례를 제외하고 모든 예에서 동통이 소실되었고, 종창과 부종은 전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재발을 의심할 만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의 치료에 있어서 관절경 수술은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좋은 치료 방법중 하나로 생각된다. 국소형의 경우 완전한 절제가 가능하며 미만형의 경우에도 후방구획을 포함한 전 구획의 완전한 활액막 절제술이 시행될 경우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월상 연골의 손상 빈도가 낮은 소견은 전방 십자 인대 완전 파열의 자연경과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법과 비교하여 반건양건도 관절의 안정성에 있어서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시간에 따른 혈청 크레아티닌의 역수와 신장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관찰함으로서 신부전의 진행 및 투석시기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다..rade II 44예, Grade III이 13예였으며 Grade IV, V는 한 예도 없었다. 고혈압, BUN 및 creatinine의 증가 및 Ccr이 감소된 경우는 없었으며 발병 초기에 심한 단백뇨를 보인 경우는 모두 25예였으며 이들은 Grade II 44예 중 19예 (43$\%$), Grade III 13예 중 6예 (46$\%$)로서 Grade II, III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환아들의 임상 경과는 1-2년 추적 관찰된 49예중 정상뇨 소견 15예 (30.6$\%$), 현미경적 혈뇨 20예 (40.8$\%$) 중등도 이하의 단백뇨를 동반한 혈뇨 11예 (22.5$\%$) 였으며 심한 단백뇨가 지속된 경우는 3예 (6.1$\%$)였다. 3-4년 이상 추적 관찰된 30예에서는 각각 18예 (60.0$\%$), 2예 (6.7$\%$), 8예 (26.6$\%$) 및 2예 (6.7$\%$) 였다. ISKDC 분류의 Grad에 따른 임상 경과는 Grade II에서 뇨검사 소견의 호전율이 낮았으며, 지속적인 단백뇨 소견을 보인 경우가 많았다 (p<0.05). 초기

  • PDF

8세 남아에서 골종양을 닮은 주관절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 - 증례 보고 -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Mimiking the Bone Tumor of the Fossa Olecrani of Elbow in a 8-year-old Boy - A Case Report -)

  • 김성수;이상엽;윤민근;서영훈;문명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138-142
    • /
    • 2012
  •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은 활액막, 건막 및 점액낭 등에 융모 증식과 결절을 형성하는 드문 양성 활액막 증식성 질환으로 대부분 성인의 슬관절과 고관절에 발생한다. 수부, 완관절, 견관절 및 주관절에는 드물게 발생하며, 특히 소아에서의 주관절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은 아주 드물다. 좌측 주관절 통증이 있는 8세 남아의 단순 주관절 방사선 검사상 좌측 주두와에 양성 골종양과 같은 병변이 관찰되었다. 수술시 좌측 주관절의 활액막 이상 증식 소견이 관찰되어 임상적으로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을 의심하였으며, 병변의 개방 소파술 및 좌측 주관절의 근치적 활액막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 조직의 조직학적 검사 결과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으로 확진 되었다. 술 후 좌측 주관절의 통증이 호전되었으며, 정상 운동범위를 회복하였다. 저자들은 소아의 주관절에 발생한 골종양을 닮은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 1예를 보고함과 동시에 문헌 고찰을 하였다.

슬관절의 국소적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for Localize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the Knee)

  • 김성재;신상진;최남홍;주의탁;김형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1-126
    • /
    • 1999
  •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은 드물게 발생하는 단관절성 병변으로 비특이적 증상 발현으로 인해 진단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관절경적 시술로 진단 및 제거술을 시행 받았던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 진단 및 치료 결과를 조사하였다. 모든 예에서 조직학 소견상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 합당한 소견을 나타내었다. 6명은 남자였고 5명은 여자였으며, 연령층은 15세에서 59세(평균 34.6세) 였다. 증상발현 기간은 2개월에서 3년으로 관찰 되었고 (평균 29.9개월), 11례 모두에서 수술전 슬관절 동통을 호소하였다. 4례에서는 외상의 과거력이, 9례에서는 1개의 종물이 발견되었으나 나머지 2례에서 각각 2개 3개의 종물이 관찰되었다. 11례 중 5례가 내측 반월판 전각 부위의 활액막에서 발견되었으며, 2례는 슬개하 지방 그리고 나머지는 각각 슬개상부, 후내측 구획, 외측 반월 연골의 전방, 내측 구에서 1례씩 관찰되었다. 수술 후 평균 29.9개월의 추시 관찰상 11례 모두 재발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의 치료에 있어서 관절경 수술은 최소한의 이환율을 가지며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좋은 치료 방법 중 하나로 사료된다.

  • PDF

Arthroscopic ECRB release for lateral epicondylitis: An associated Intra-articular pathology

  • Jeon, In-Ho;Kocchar, Hemanshu;Min, Woo-Kie;Park, Il-Hyung;Kim, Poong-Taek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7년도 제15차 대한견주관절학회 및 제3차 Mayo Asia Elbow Club 합동 학술대회
    • /
    • pp.179-179
    • /
    • 2007
  • Arthroscopic ECRB release is a reliable procedure with a remarkable functional restoration and pain control. High incidence of intra-articular pathology such as chondromalacia and synovitis was noted in the lateral epicondylitis.

  • PDF

근골격계 종양에서 사이토카인 발현의 분석 (The Analysis of the Cytokine Expression in Musculoskeletal Tumors)

  • 이준한;곽은석;손욱진;김희선;신덕섭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187-196
    • /
    • 2003
  • The cytokines are the hormone-like proteins, which are produced in the mononuclear cells. They have many roles, such as immune mediators, cell differentiations, angiogenesis. The chemokines have chemotactic effects which control the host immune response. There were few reports about the cytokine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tumors. From late 1980s, the cytokine studies of bone tumors such as osteosarcoma were started, but most studies for benign and malignant musculoskeletal tumors were left to be explor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ytokines in variable musculoskeletal tumors, tissues were obtained from the seven patients who visited th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to July 2000. They were lipoma (1 case), parosteal osteoma (1 case), enchondroma (2 cases),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1 case), ganglion (1 case), and metastaic squamous cell carcinoma (1 case). The gene experession of the cytokines were analyzed by RNase protection assay (RPA)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he lipoma and parosteal osteoma expressed MIP-$1{\beta}$, and IP-10 genes. The two enchondromas showed different results, one expressed all of MIP-$1{\alpha}$, MIP-$1{\beta}$ and IP-10 genes but the other expressed none of above. Th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strongly expressed MIP-$1{\alpha}$ and IP-10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cases. The ganglion did not express all of the chemokines mentioned above. And the metastatic squamous cell carcinoma expressed all of the chemokines and especially IP-10 was highly expressed. Even though this study has only a few cases, these results provide a basis for the cytokine mediating network study in musculoskeletal tumors.

  • PDF

측두하악관절에 발생한 색소성 융모결절성 활막염(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의 영상진단 (Diagnostic Imaging of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송만용;이경희;이상철;이삼선;최순철;박태원;유동수
    • 치과방사선
    • /
    • 제28권2호
    • /
    • pp.505-519
    • /
    • 1998
  • The occurrence of PVNS in the TMJ is very rare. We report a case of PVNS which was misdiagnosed as a parotid tumor at first. CT and conventional radiograph revealed a well defined mass demonstrating higher attenuation than adjacent soft tissue. Erosion and expansion of the cortical plate of the mandibular condyle and sclerotic change beneath the margin of the lesion were also shown. MRI demonstrated well defined mass of very low signal intensity on both Tl and T2-weighted images due to ferromagnetic effect of the high concentrated hemosiderin and clearly delineated the extent of the lesion. Histopathologic findings and characteristic appearance of the various imaging methods were described and the usefulness of these images for diagnosis and pretreatment evaluation of PVNS were also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