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mbol Classification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2초

심볼을 이용한 한국어 숫자음의 광역 음소군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road board classification of korean digits using symbol processing)

  • 이봉규;이극;황희융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9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1-485
    • /
    • 1989
  • The object of this parer is on the design of an broad board classifier for connected. Korean digit. Many approaches have been applied in speech recognition systems: parametric vector quantization, dynamic programming and hiden Markov model. In the 80's the neural network method, which is expected to solve complex speech recognition problems, came bach. We have chosen the rule based system for our model. The phoneme-groups that we wish to classify are vowel_like, plosive_like fricative_like, and stop_like.The data used are 1380 connected digits spoken by three untrained male speakers. We have seen 91.5% classification rate.

  • PDF

대통령기록관 대통령선물 검색을 위한 패싯 분류체계 개발 (Development of a Facet Classification System for Presidential Gift Search in Presidential Archives)

  • 윤규빈;김다은;장효정
    • 기록학연구
    • /
    • 제76호
    • /
    • pp.119-157
    • /
    • 2023
  • 본 연구는 기존의 대통령선물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보완을 위하여 패싯검색기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통령기록관이 온라인 서비스 중인 3,574건의 대통령선물을 바탕으로 대통령선물의 선물명, 증정인, 증정국가와 증정일 및 수령 경위, 규격, 특징에서 추출된 기록물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초로 5개의 기본 패싯과 51개의 하위패싯으로 대통령선물 패싯 기반의 분류를 설계하였으며 구조화된 패싯은 각 패싯 요소를 정의하고 배열 순서 및 기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검색시스템에 적용하여 패싯네비게이션을 구축하는 기반으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를 통해 대통령선물에 대한 새로운 분류체계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한 대안적 의미의 분류체계로서 패싯 분류를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조선후기 박쥐상징 회화와 공예품의 분석-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Analysis by Bat Symbol of Paintings and Crafts in late-Joseon Period: Focused on museum collections)

  • 엄소연
    • 고문화
    • /
    • 69호
    • /
    • pp.41-62
    • /
    • 2007
  • 본고는 박물관 소장 조선후기 박쥐상징 회화와 공예품의 특징적 경향에 따른 잠재적 활용 및 재인식을 배경으로, 박쥐상징 공예품의 원천적 의미를 조선시대의 박쥐관념과, 이와 연관된 박쥐상징 회화의 의미체계에 두고, 그 외연과 내포적 함의관계를 조형.숫자.색채상징의 특성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박쥐상징 공예품은 소장연원이 분명한 박물관 소장품을 분류, 주생활 공예품으로 한정하였고 궁수용.민수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았다. 조선시대의 박쥐관념은 박쥐의 형태적.생태적.어원적 속성을 기반으로 긍정적.중간적.부정적 측면이 공존하였다. 또한 박쥐상징 회화는 그 예가 드물었으나, 대개 박쥐의 형태적.생태적 속성에 대한 긍정적 관념을 바탕으로 한 도교의 의미체계와 결부, 신선.장생.천신의 수호자.장수의 축원을 의미하였다. 한편 궁수용 주생활 공예품의 박쥐상징은 회화의 의미체계와 연관된 장수의 상징물로, 왕실의 만대장수 및 번영을 축원하였다. 이러한 상징의미는 청나라 황실의 길상풍속인 오복관념의 동음이자에 의거, 숫자상징 '5'.'4' 와 '수자변형문' 의 결합을 기본으로 한 '박쥐[蝙蝠]$\rArr(蝙)蝠$\rArr$$\rArr$五福' 와, 숫자상징 '1'을 특성으로 蝠倒$\rArr$福到$\rArr$福運의 도래' 를 함의하였으나, 보다 장수 상징에 치중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에 비해서 민수용 주생활 공예품은 대부분 여성용 가구류의 금구장식과 지공예품에 등장하였다. 금구장식의 박쥐상징은 백색-은색의 색채상징과 숫자상징 '1' 의 '비행형' 을 특성으로 길상적 오복관념과 벽사적 '지킴이'를 의미하였다. 또한 지공예품의 박쥐상징은 박쥐 1쌍의 숫자상징 '2'와 삼태극의 결합형식을 기본으로, 오색의 색채상징 특성을 통해서 '쌍복' 과 여성들의 현세적 염원인 화목, 다남자의 기본적 측면을 투영하였다. 이러한 민수용 주생활용품의 박쥐상징은 도교적 의미체계나 길상적 동음이자보다는 외연의 시각적 이미지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박쥐$\iff$복.지킴이' 로 볼 수 있었다.

  • PDF

대역폭 추정을 적용한 효율적인 디지털 변조 신호 분류 (An Efficient Classification of Digitally Modulated Signals Using Bandwidth Estimation)

  • 최종원;안우현;서보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57-260
    • /
    • 2017
  • 이 논문에서는 대역폭 추정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디지털 변조 신호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변조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변조 신호를 분류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특징변수를 이용한 방법이 널리 사용되는데, 특징변수의 정확도는 특징변수 추정에 사용되는 디지털 변조 신호의 심볼수와 심볼당 표본수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 논문에서는 높은 과표본화율로 표본화된 신호에 대해 먼저 대략적으로 대역폭을 추정하고 이로부터 심볼당 적절한 표본수를 취할 수 있도록 표본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처리하는 표본수가 동일한 경우 더 많은 심볼을 사용하게 되어 변조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이제마(李濟馬)가 제시한 체질별(體質別) 약물분류(藥物分類) 원칙(原則)에 대한 연구(硏究)

  • 임진석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45-360
    • /
    • 2000
  • I In the rearch of the principle of herb classification based on constitution I have recognised Lee Jae Ma(李濟馬)'s medical thought on the herb. He had believed that herb must be used when needed, also had opposed taking overdose of medicine. And he had prescribed to a patient based on constitution.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 1. In the classification of herb according to constitution, Although Gimilon(氣味論) that empasized in the herbal medicine have had reference value but cannot be absolute classific standard. The medicinal portion of herb was not significant. And through research the past prescription that were qouted by Lee Jae Ma cannot find a meaningful result. 2. Lee Jae Ma denied the tradtional GuiKyung(歸經) theory, and classified into Iung(肺), spleen(脾), liver(肝), kidney(腎). And when he gave medical teatment, he has used the methods of the supplement to weakned organ. 3. On the principle of herb classification based on constitution, Lee Jae Ma had presented general rule that are fragrance(馨), odor(臭), liquid(液), taste(味). Although it had suitable tendency but cannot complitely coinside with the actual. Therefore I interpreted fragrance(馨), odor(臭), liquid(液), taste(味) into the symbol that represent the chief effect. On these conception it's necessary more study.

  • PDF

고속 데이터 전송 채널을 위한 신호공간 검출 (Signal Space Detection for High Data Rate Channels)

  • 전태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10호
    • /
    • pp.25-3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신호공간 검출의 개념을 일반화하여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하나 이상의 심볼들의 블록에 대한 검출을 수행하는 고정지연 트리 검색 신호검출기의 구성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고속의 구현에 적합하다. 두 가지의 접근방법이 논의되며 이들은 모두 효율적인 신호공간 분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첫 번째 방법에서는 심볼의 검출이 다중 클래스 분할에 기반을 둔다. 이 방법은 2개의 클래스에 기반을 둔 이진 심볼 검출방법을 일반화한 접근방법을 사용한다. 두 번째 방법에서는 이진 신호 검출이 look-ahead 기법과 결합된 고도의 병렬처리 신호검출 구조를 활용한다.

엔지니어링 문서의 문장 자동 계층정의 방법론 (A Methodology for Automatic Hierarchy Definition of Sentences in Engineering Documents)

  • 박상일;김봉근;김경환;이상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323-330
    • /
    • 2009
  • 본 논문은 엔지니어링 문서에서 각 제목의 머리기호가 그 문서의 논리적 계층 구조를 표현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문서 내 각 제목의 계층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법론은 일반 텍스트 문서에서 세부 제목을 추출하는 방법과 추출된 제목의 계층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문서의 세부 제목은 문장의 맨 앞에 위치한 머리기호의 형태를 미리 정의된 머리기호 그룹과 비교하여 추출하며, 추출된 제목의 계층은 머리기호 형태의 변화에 따라 각 제목간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정한다. 제시된 방법론을 이용하여 일반 텍스트 문서를 세부 제목에 따라 구조화된 XML 문서로 변환하는 시범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20개의 엔지니어링 문서를 대상으로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Molding the East Asian Dragons: The Creation and Transformation of Various Ecological and Political Discourses

  • NGUYEN Ngoc Tho;PHAN Thi Thu Hien
    • 대순사상과 동아시아종교
    • /
    • 제2권2호
    • /
    • pp.73-99
    • /
    • 2023
  • The dragon is a special imaginary figure created by the people of East Asia. Its archetypes appeared primarily as totemic symbols of different tribes and groups in the region. The formation of early dynasties probably generated the molding of the dragon symbol. Dragon symbols carried deep imprints of nature. They concealed alternative messages of how ancient people at different locations dealt with or interacted with nature. Under pressure to standardize in the medieval and late imperial periods, the popular dragon had to transform physically and ideologically. It became imposed, unified, and framed, conveying ideas of caste classification and power, and losing itsecological implications. The dragon transitioned from a semi-ecological domain into a total social caste system. However, many people considered the "standardized" dragon as the symbol of the oppressor. Because of continuous orthopraxy and calls for imperial reverence, especially under orthopractic agenda and the surveillance of local elites, the popularized dragon was imbued within local artworks or hidden under the sanctity of Buddhas or popular gods in order to survive. Through disguise, the popular dragon partially maintained its ecological narratives. When the imperial dynasties ended in East Asia (1910 in Korea, 1911 in China, 1945 in Vietnam), the dragon was dramatically decentralized. However, trends of re-standardization and re-centralization have emerged recently in China, as the country rises in the global arena. In this newly-emerging "re-orthopraxy", the dragon has been superimposed with a more externally political discourse ("soft pow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rather than the old-style standardization for internal centralization in the late imperial period. In the contemporary world,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dvanced humanity's ability to improve the world; however, it seems that people have abused science and technology to control nature, consequently damaging the environment (pollution, global warming, etc.). The dragon symbol needs to be re-defined, "re-molded", re-evaluated and reinterpreted accordingly, especially under the newly-emerging lens-the New Confucian "anthropocosmic" view.

현대패션에 나타난 그리스.로마 신화의 이미지와 상징 해석 - 뒤랑(G. Durand)의 '상상계 이미지들의 동위적 분류도'를 중심으로 - (Interpretation of Images and Symbols from Greek and Roman Mythology in Contemporary Fashion - Focused on Durand's Classification of the Imaginary -)

  • 류수현;김민자
    • 복식
    • /
    • 제61권2호
    • /
    • pp.131-151
    • /
    • 2011
  • The study alms to identify how the symbols and images of Greek Roman myths in contemporary fashion have been reflected in respects of meaning and forms, and to find out the organic course from meaning to forms by using Durand's classification. The results define the significance of Greek Roman myths in contemporary fashion, and systematically suggest a direction of imagination for more creative design. In the diurne regime, the symbolism of purity, heroism and fear appeared. In the nocturne regime, the symbolism of maternity and sensuality appeared. In the dramatic regime, the symbolism of androgyny appeare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s contained in each symbolism are common. In this regard, it is possible to trace organic relationships in the creation of images through the verbal scheme. In addition, the verbal scheme creates archetypal images that lead to images and symbol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so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archetypal images and the format of garments. The study examined how the archetypal images that appeared in the mythical images were expressed in garments through the verbal system.

조선 전기 중국 서적의 사입(賜入)과 구입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의 수록 내용을 중심으로 (The Offers and Purchases of Chinese Books during the Early Chosun Dynasty: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 서원남;이소연
    • 비교문화연구
    • /
    • 제19권
    • /
    • pp.79-9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books exchange between china and Joseon dynasty. Books, ancient and modern are an essential part to publish, propagate, administer the books which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among nations. Also they are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and the symbol of the government power. As a result the rulers had brought many necessary books from China and it is a national policy to govern in Joson dynasty. This study will discuss the introduction of chinese books from the Annals of the Joson Dynasty, especially from the first king of the Joson Dynasty, Yi Seong-gye to the ninth king. At that times, Joson Dynasty had attempted to reign various policies. So many books related with the absolute authority of China. In accordance with the book classification method in ancient china, they are have been categorized. Furthermore, it should have been a important clue to check the influence by being brought many books from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