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related multiple elimin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자유면 기인 겹반사파를 이용한 거꿀시간 참반사 보정 (Reverse-time Migration using Surface-related Multiples)

  • 이강훈;편석준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1권1호
    • /
    • pp.41-53
    • /
    • 2018
  • 전통적인 탄성파 탐사 자료처리 분야에서 겹반사파(multiple)는 잡음으로 취급되어 제거한 후 자료처리를 수행한다. 그러나 최근 겹반사파를 잡음이 아닌 하나의 신호로 인식하고 이를 영상화에 이용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겹반사파는 일차 반사파(primary reflection)가 도달하지 못하는 지점까지 도달할 수 있어 적은 수의 송신원과 수신기로도 더 넓은 범위를 영상화 할 수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상화 기법 중 하나인 거꿀시간 참반사 보정(reverse-time migration)을 이용하여 겹반사파 자료를 영상화한 후 일차 반사파를 사용한 전통적인 거꿀시간 참반사 보정 결과와 비교하였다. 겹반사파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유면 기인 겹반사파 제거(surface-related multiple elimination; SRME)기법을 사용해 탄성파 자료에서 겹반사파를 분리하였다. 수치 예제를 통해 겹반사파를 이용한 참반사 보정 결과가 일차 반사파를 이용한 전통적인 참반사 보정 결과보다 더 넓은 범위를 영상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천부 지층에서 두드러진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겹반사파를 이용한 참반사 보정은 자료취득 흔적(acquisition footprint)에 의한 영상 왜곡이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령기 정상 아동의 호흡 특성과 신체 조건에 관한 상관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Respiratory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Factors in Healthy Elementary School Childhood)

  • 이혜영;강동연;김경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5권5호
    • /
    • pp.330-336
    • /
    • 2013
  • Purpose: Respiratory is an essential vital component for conservation of life in human, which is controlled by respiratory muscles and its related neuromuscular reg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lung capacity and respiratory pressure in healthy children,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and predictability between respiratory pressure and other related respiratory functions. Methods: A total of 31 healthy childre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Demographic information and respiratory related factors were assessed in terms of body surface area (BSA), chest mobility, lung capacity, and respiratory pressure. Correlation between respiratory pressure and the rested variables was analyzed,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tepwise method was performed for prediction of respiratory muscle strength, in terms of respiratory pressur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demographic and other respiratory variabl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respiratory pressur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r=0.62, p<0.01), BSA (r=0.80, p<0.01), FVC (r=0.80, p<0.01), and FEV1 (r=0.70, p<0.01). In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backward elimination method, BSA and FVC were included as significant factors of the predictable statistical model. The statistical model showed a significant explanation power of 71.8%.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spiratory pressure could be a valuable measurement tool for evaluation of respiratory function, because of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lung capacity, and that BSA and FVC could be possible predictable factors to explain the degree of respiratory pressure. These finding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linical assessment and treatment in healthy children as well as those with pulmonary disease.

Perforating Granuloma Annulare Mimicking Papulonecrotic Tuberculid

  • Chae, Myeong Heon;Shin, Jee Yon;Lee, Ji Yeoun;Yoon, Tae Young
    • Annals of dermatology
    • /
    • 제30권6호
    • /
    • pp.716-720
    • /
    • 2018
  • Perforating granuloma annulare (PGA), a rare variant of granuloma annulare, is characterized by transepidermal elimination of altered collagen that clinically manifests an umbilicated papule with a central crust. It can be confused with papulonecrotic tuberculid (PNT) because of their similar appearance. Unlike PGA, PNT is usually related to tuberculosis infection with a typical histologic finding of wedgeshaped dermal necrosis. Here, we report the first Korean case of PGA mimicking PNT both clinically and histologically. A 43-year-old Korean woman presented with erythematous papules localized on the extensor surface of her limbs for one year. Some of these papules had a central umbilication or a crust. Regarding comorbidity, she had latent tuberculosis diagnosed with $QuantiFERON^{(R)}-TB$ Gold test about five months ago. She was on antituberculous medication. Initially, a diagnosis of papulonecrotic tuberculid accompanied by latent tuberculosis was considered. However, despite taking the antituberculous medication for five months, her skin lesions were not improved. Biopsy specimen from her arm lesion showed wedge-shaped area of necrosis in the dermis. Additionally, there were multiple focal mucin depositions and palisading granulomatous inflammation throughout the dermis. A diagnosis of PGA was made and she was treated with topical corticosteroid. After two weeks of applying topical corticosteroid, most of her skin lesions disappeared, leaving some hyperpigmented scars.

동해 울릉분지 CO2 저장소 특성 분석을 위한 탄성파 자료처리 및 역산 (Seismic Data Processing and Inversion for Characterization of CO2 Storage Prospect in Ulleung Basin, East Sea)

  • 이호용;김민준;박명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1호
    • /
    • pp.25-39
    • /
    • 2015
  • $CO_2$ 지중저장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포집분야 일부 기술을 제외하고 저장 및 실증에 대한 국내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의 가장 큰 목표는 지하 퇴적 암반층에 $CO_2$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저장소의 저장용량 및 안정성등과 같은 지중저장 대상지층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는 주입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석유공사가 2012년에 울릉분지에서 취득한 탄성파 탐사자료를 활용하여 $CO_2$ 저장 후보 지층에 대한 탄성파 임피던스 역산을 수행하고, 공극률의 분포와 지층의 속성을 도출하여 $CO_2$ 지중저장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탄성파 자료 역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잡음제거 기법을 적용하였고, 특히 본 자료의 주파수 및 위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한 채 다중반사파를 제거할 수 있는 SWD(Shallow Water Demultiple), SRME(Surface Related Multiple Elimination), Radon Demultiple 기술을 활용하였다. 자료 역산을 위해 3개의 시추공에 대한 물리검층 자료를 분석하였는데, 탄성파 자료와의 상관도가 각각 0.648, 0.574, 0.342로 나타났으며 이는 초기 역산 모델 설정을 위한 저주파수 모델 생성에 활용하였다. 중합 전 역산을 통해 P-임피던스, S-임피던스 및 Vp/Vs 비 값을 도출하였으며, 이와 물리검층 결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공극률 분포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지중저장에 적합한 지층을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CO_2$ 주입 실증을 위해서는 지층에 대한 보다 세밀한 특성 분석과 모사를 통한 주입 이후 $CO_2$ 거동예측이 필요할 것이다.

머신러닝을 이용한 탄성파 반사법 자료의 해저면 겹반사 제거 (Removal of Seabed Multiples in Seismic Reflection Data using Machine Learning)

  • 남호수;임보성;권일룡;김지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3권3호
    • /
    • pp.168-177
    • /
    • 2020
  • 해저면 탄성파 겹반사는 발파점 모음자료와 겹쌓기 단면에서 모두 일차 반사파의 해석에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해저면 겹반사는 자료처리를 통해 제거해야 한다. 전통적인 자료처리 과정에서 겹반사 제거는 예측오차 곱풀기와 라돈 필터링 등과 같은 모델-기반 기법과 지표관련-겹반사제거와 같은 데이터-기반 기법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다수의 자료처리 과정들은 방대한 컴퓨터 자원과 전문적인 자료처리 기법뿐만 아니라 자료처리 변수들을 테스트하고 선택하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머신러닝 시스템을 활용한 해저면 겹반사의 제거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Marmousi2 속도모델에 대한 수치모델링으로 겹반사가 포함된 입력데이터와 겹반사가 포함되지 않은 레이블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수직시간차가 보정된 공통중간점 모음자료로 훈련데이터를 구성하였으며 인공신경망은 U-Net 모델을 적용하였다. 해저면 겹반사를 제거하기 위해 훈련된 모델은 레이블데이터에 거의 근접하는 예측 결과를 만들어내며, 현장자료에 대한 예측 테스트에서 해저면 겹반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