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mapping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28초

East Inverse Perspective Mapping and its Applications to Road State Detection

  • Gang, Yi-Jiang;Eom, Jae-Won;Song, Byung-Suk;Bae, Jae-Wook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ITC-CSCC -1
    • /
    • pp.23-26
    • /
    • 2000
  • An improved inverse perspective mapping (IIPM) is proposed so as to reduce computational expense of recovery of 3D road surface. An experimental system based on IIPM is developed to detect lane parameters for a driver assistant system. A re-organized image is obtained quickly and exactly by IIPM. Efficient preprocessing techniques are used to enhance the information of lane and obstacles. Lane in the preprocessed. image is located with region identification. Lane parameters are estimated effectively. An algorithm to adaptively modify the parameters of IIPM is given. Properties of obstacle on 3D road surface are discussed and used to detect obstacles in the current lane and neighboring lan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new method can extract lane state information effectively.

  • PDF

Forward Mapping of Spaceborne SAR Image Coordinates to Earth Surface

  • Shin, Dong-Seok;Park, Won-Kyu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73-280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a mathematical model and its utilization algorithm for calculating the accurate target position on the ellipsoidal earth surface which corresponds to a range-azimuth coordinates of unprocessed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s. A geometrical model which is a set of coordinate transformations is described. The side-looking directional angle (off-nadir angle) is determined in an iterative fashion by using the model and the accurate slant range which is calculated from the range sampling timing of the instrument. The algorithm can be applied not only for the geolocation of SAR images but also for the high quality SAR image generation by calculating accurate Doppler parameters.

포톤 탐사법을 이용한 개선된 점진적 포톤 매핑 (Improved Progressive Photon Mapping Using Photon Probing)

  • 이상길;신병석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1-48
    • /
    • 2010
  • 포톤 매핑은 대표적인 전역 조명 방법으로써 광원에서 많은 수의 포톤을 방출하여 이를 이용해 사실적인 렌더링을 수행한다. 하지만 매우 많은 수의 포톤을 추적하기 때문에 실시간 렌더링이 힘들고 많은 양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한 방법이 점진적 포톤 매핑이다. 기존의 점진적 포톤 매핑은 먼저 광선 추적법을 통해 각 광선과 물체와의 충돌 위치를 찾는다. 다음으로 포톤 추적 단계에서는 반복적으로 적은 수의 포톤을 방출하고, 충돌 위치를 중심으로 하며 고정된 반지름을 가지는 구 안에 들어오는 포톤으로 포톤의 밝기를 누적한다. 이 방법은 포톤 매핑보다 자원을 적게 소모하지만, 방출된 포톤이 임의의 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충분한 포톤을 확보하고 부드러운 영상을 렌더링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포톤 탐사 단계를 추가하여 구 안에 들어오는 포톤들의 분포를 계산하고 그에 따라 구의 반지름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래디언스 추정 과정에 콘 필터를 적용하여 영상을 선명히 렌더링한다.

화재실험시 열유속 센서 사용의 단점을 보완한 Heat Flux Mapping Procedure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 Heat Flux Mapping Procedur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Heat Flux Gauges in Fire Tests)

  • 최금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71-179
    • /
    • 2005
  • 건물의 마감재료가 화재에 노출될 때 그 마감재료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실물화재실험을 통해서 재료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실물화재 실험 시 소요되는 시간과 높은 비용으로 인해 실물 화재 실험이 수행되는 경우는 드물고 대신 컴퓨터 화재 시뮬레이션이 개발되어 왔다. 컴퓨터 화재 시뮬레이션에서는 초기입력 데이터로서 점화 버너의 화염으로부터의 Heat Flux Map이 요구된다. 현재까지의 연구에서는 열전대 혹은 열유속 센서와 같은 실험장치의 제한으로 인해 $10kW/m^2$간격의 Heat Flux Map이 나와있을 뿐이고 공간적으로 더 상세한 Heat Flux Map은 없는 실정이다. 화재 시뮬레이션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점화 버너로부터의 정확하고 상세한 Heat Flux Map이 필요불가결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적외선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표면온도를 이용하여 벽에서 점화 버너 화염에 대한 Heat Flux Happing Procedure를 개발하는 것이다. 높은 수준의 공간적 해상도는 적외선 카메라로부터 제공된다. 개발된 Heat Flux Mapping Procedure를 증명하기 위해서 ISO 9705 점화버너를 이용해서 실험이 행해졌다. 실험 결과를 통해 개발된 Heat Flux Mapping방법의 열유속 해상도와 공간적 해상도가 얻어졌다. 또한 그 실험 결과가 현재 쓰여지고 있는 Heat Flux Map과 비교되었다.

MAPPINGS RELATED TO MINIMAL SURFACES

  • Jun, Sook Heui
    • 충청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3-318
    • /
    • 2006
  • In this paper, we study harmonic mappings related to the nonparametric minimal surfaces that lie over the upper halfplane.

  • PDF

Planar harmonic mappings and curvature estimates

  • Jun, Sook-Heui
    • 대한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03-814
    • /
    • 1995
  • Let $\Sigma$ be the class of all complex-valued, harmonic, orientation-preserving, univalent mappings defined on $\Delta = {z : $\mid$z$\mid$ > 1}$ that map $\infty$ to $\infty$.

  • PDF

TOTAL CURVATURE FOR SOME MINIMAL SURFACES

  • Jun, Sook Heui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7권2호
    • /
    • pp.285-289
    • /
    • 1999
  • In this paper, we estimate the total curvature of non-parametric minimal surfaces by using the properties of univalent harmonic mappings defined on ${\Delta}=\{z:{\mid}z:{\mid}>1\}$.

  • PDF

적외선 온도 측정 3차원 매핑 기법을 이용한 오자이브 실린더 표면 유동 특성 파악 (An Investigation on the Surface Flow Characteristics of Ogive-cylinder using the Infrared Ray Thermogram 3D Mapping Technique)

  • 이재호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7-63
    • /
    • 2018
  • 적외선 온도 측정 기법은 비접촉식 방법으로 모형의 표면 온도를 가시화할 수 있는 기법이다. 그러나 획득할 수 있는 결과는 2차원 온도 결과로 정량적인 결과를 획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3차원 매핑 기법을 적외선 온도 측정 기법에 적용하는 것이 목표이다. 풍동 실험은 국방과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중형 아음속 풍동에서 수행했으며, 대상 모형은 오자이브 실린더이다. 시험 조건은 유속 20 m/s에서 80 m/s, 받음각은 $0^{\circ}{\sim}90^{\circ}$이다. 3차원 매핑 기법은 마커를 이용하여 실제 모형의 위치정보와 적외선 이미지 상의 위치 정보를 대응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모형의 박리점이 이론적인 값과 매우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층 발달 습곡지반 상 구조물 안정성을 위한 설계정수 도출 사례 연구 (Case Study of Derivation of Input-Parameters for Ground-Structure Stability on Foliation-Parallel Faults in Folded Metamorphic Rocks)

  • 임명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67-472
    • /
    • 2020
  • 일반적인 보통 등급의 지반(ground) 상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설계입력정수(input-parameters) 도출방법들은 보편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연구지역과 같은 습곡된(folded) 변성암(metamorphic rocks) 지반은 엽리가(foliation) 촘촘히 발달해 있고, 엽리에 평행한 소규모 단층들(faults)이 분포하고 있어 설계입력정수 도출을 위한 특별한 조사방법 및 시험, 등이 요구된다. 수 mm 간격의 엽리가 발달한 변성암 지반은 엽리면 직접전단강도시험(direct shear test), 엽리의 배향(strike/dip)과 맵핑(mapping), 엽리의 지하 연속성 파악을 위한 시추조사, 변성암반의 암반분류(rock mass rating), 등이 필요하다. 특정 엽리면을 따라 발달한 소규모의 엽리평행단층(foliation-parallel faults)이 다수 발달한 지반은 선구조선 분석, 단층 추적을 위한 지표지질맵핑, 단층면 직접전단강도시험, 등이 필수적이다. 습곡지반은 지질구조구(structural domain) 분석, 불연속면의 평사투영(stereonet)해석, 습곡축을 따른 전기비저항탐사, 등의 추가조사로 설계입력정수 도출이 합리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