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contents of enamel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35% Carbamide Peroxide gel의 적용시간에 따른 법랑질 변화 (Surface change of enamel according to application time of 35% Carbamide Peroxide)

  • 이혜진;김민영;한명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1-18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35% Carbamide Peroxide(CP) bleaching agent on the changes in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oth. The effect of bleaching agent on enamel was analyzed using Hardness test, SEM and EDS. The microhardness between bleached groups after bleach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aired t-test. The bleached enamel surface showed apparent morphological changes compared to the enamel, which was stored in distilled water only. The difference of the total mineral contents for the distilled water and Carbamide Peroxide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bleaching using 35% Carbamide Peroxide were adversely affects application time of experimental group and may the safety of using these agents for a short time in dentist-monitored bleaching.

  • PDF

치간 삭제 후 불소 또는 수산화인회석 도포 시 재광화 및 탈회억제에 관한 연구 (Effect of remineralization and inhibition to demineralization after fluoride gel or hydroxyapatite paste application on stripped enamel)

  • 홍현실;김호영;성지영;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2-226
    • /
    • 2010
  • 치간 삭제 후 재광화 및 치아우식 예방법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1.23% 인산화불소 젤 또는 5%, 10% 수산화인회석함유 페이스트를 치간 삭제된 법랑질 표면에 도포하였고, 그 후 젖산탈회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법랑질 표면의 재광화 및 탈회 후 결정구조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칼슘, 인, 불소 함량 등의 변화를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로 분석해서 비교하였다. 치간 삭제 후 5%, 10% 수산화인회석함유 페이스트를 도포한 군에서 칼슘과 인 함량이 증가하였고, 1.23% 인산화불소 젤 도포 군에서는 불소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모든 재광화 제제에서 법랑질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워졌으며 결정구조가 작고 치밀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10% 수산화인회석함유 페이스트로 재광화한 군은 탈회 후에도 칼슘과 인 함량이 증가된 채로 유지되었고, 5% 수산화인회석함유 페이스트로 재광화한 군은 탈회 후 인 함량이 증가된 채로 유지되었다. 치간 삭제 후 탈회 처리 시 대조군의 법랑질은 파괴양상이 심해 거친 굴곡으로 이루어진 불규칙한 표면 상태를 나타내었으나 불소 및 수산화인회석으로 재광화한 군에서는 법랑질의 파괴양상이 적어 작은 결정입자들과 미세공극이 유지되었다.

치간 삭제 후 불소 및 수산화인회석 도포 시 법랑질 표면의 함량 및 결정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surface content and crystal structure after fluoride gel or hydroxyapatite paste application on stripped enamel)

  • 김상철;홍현실;황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07-41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간삭제 후 불소 및 수산화인회석 페이스트의 치면 도포에 대한 법랑질 표면의 결정구조 및 재광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치간삭제 후 1.23% 인산화 불소 및 10% 수산화인회석 페이스트를 치면에 도포한 후 법랑질 표면의 결정구조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법랑질 표면의 칼슘, 인, 불소 함량 등의 변화를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SD)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10% 수산화인회석 페이스트 도포한 군에서 칼슘함량이 증가하였고 (p < 0.01), 치간 삭제 후 거칠었던 법랑질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워졌으며 법랑질 결정구조가 작고 치밀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치간삭제 후 불소 및 수산화인회식 도포가 치면 결정구조 및 재광화에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법랑질과 인공우식법랑질에 불소바니쉬 도포 후 항우식 효과 비교 (Comparison of Anticariogenic Effect after Applying Fluoride Varnish on Sound and Artificial Caries Enamel)

  • 정문진;임지향;민지혜;정순정;손정희;임도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61-470
    • /
    • 2013
  • 정상법랑질과 인공우식법랑질에서 불소바니쉬 도포 후의 항우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전한 소의 전치를 사용하였고, 네 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법랑질 표면의 재광화 및 탈회 후 결정구조의 변화를 FE-SEM으로 관찰하였고, Ca과 P의 정량적 분석은 ED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불소바니쉬 도포한 경우, 재석회화로 인하여 불규칙하고 매우 거친 표면과 다공성의 구조물이 평활하고 균일한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Ca 및 P의 함량이 증가되어 정상법랑질과 인공우식법랑질의 항우식 효과를 크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저농도의 불화나트륨을 함유한 불소제제가 치질의 강도와 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crohardness and Mineral Content on Fluoride Materials Containing Low Concentration with Sodium Fluoride)

  • 김혜영;남설희;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12-319
    • /
    • 2013
  • 본 연구는 시판되는 불소양치용액과 불소치약을 4주간 적용한 다음 법랑질 재광화 효과와 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표면미세경도계와 전자현미분석 (EPMA)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경도측정한 결과, 0.23% 불화나트륨이 함유된 불소치약만 적용한 그룹과 0.02% 불소양치용액과 0.23% 불소치약을 병용한 그룹에서는 3주 후부터 그룹 간의 뚜렷하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전자현미분석을 통한 치아의 주요성분인 Ca, P의 정량적인 성분분석을 시행한 결과, 불화나트륨이 함유된 불소치약만 적용한 그룹과 불소양치용액과 불소치약을 병용한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P 수치 변화는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 저농도의 불소가 함유되어 있는 불소양치용액과 불소치약을 병용 처리한 경우에 칼슘 수치의 증가와 뚜렷한 표면경도의 증가를 보였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법랑질의 재광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재에 대한 교정용 브라켓 접착 레진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ONDING RESINS TO PORCELAIN; AN IN VITRO STUDY)

  • 고진환;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3-65
    • /
    • 1992
  • Bonding orthodontic adhesive resins to glazed porcelain surface is not attainable.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in vitro, the effect of three methods of porcelain surface pretreatme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s, and to compare the shear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 bonding to porcelain surface by the best results that to human enamel. Porcelain disks ($Ceramco^{(TM)}$ and $Vita^{(TM)}$) baked in the laboratory were roughened by sandpapers, #320, #600, #800, #1000 and #1200, and were pretreated with silane and dried at the various temperatures, room temperature, $50^{\circ}C$, $70^{\circ}C$ and $90^{\circ}C$, and were etched by 3% hydrofluoric acid solution for 1, 3, 5, 7, and 9 minutes, orthodontic adhesives (System $1+^{(TM)}$ and $Unite^{(TM)}$) were applied on them, and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Instron. The best results of pretreatment of each method were determined by the shear bond strengths. Again, porcelain disks were pretreated by the determined best results and human enamel were etched by 37% hydrofluoric acid solution, orthodontic brackets were bonded on them by the orthodontic adhesives, and th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hem. 1. Roughening porcelain surfaces with coarse sandpaper (#300) showed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at with finer sandpapers, but it $(22.44Kgf/cm^2)$ was distinguishably low compared to that from etched human enamel $(144.11Kgf/cm^2)$. 2. There were disparities in shear bond strengths upon the orthodontic resins, which was presumably related to the contents of fillers in orthodontic adhesive resins. Also there were disparities in shear bond strength upon the porcelains which had different composition. 3. Silane enhanced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resins to porcelain surfaces ($25.20Kgf/cm^2$ at $50^{\circ}C$), which was markedly low compared to that from etched human enamel. 4. Etched porcelain surface with 3% hydrofluoric acid solution for 1 to 9 minutes showed no difference in shear bonding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 resins. Shear bond strength from etched porcelain $(97.43-120.72Kgf/cm^2)$ were as high as clinically available, but low compared to that from etched human enamel. 5. Roughening with #300 sandpaper and etching by 3% hydrofluoric acid followed silane application on porcelain surface showed lower shear bond strength than etched human enamel, but were as high as clinically useful. 6. The results suggest that etching porcelain surface by 3% hydrofluoric acid solution might provide comparatively high shear bond strength as much as clinically favorable.

  • PDF

35% 과산화수소에 제2인산칼슘를 함유한 치아미백제가 치아의 색과 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35% Hydrogen Peroxide with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on the Tooth Whitening and Microhardness)

  • 정미애;오혜승;심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35-242
    • /
    • 2010
  • 이 연구는 전문가 미백(in-office bleaching)에 사용하는 35%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P)를 제2인산칼슘(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DCPD)와 혼합하여 치아의 미백 효과와 미세경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소구치로부터 30개의 치아시편을 제작하여 3군으로 분류하였다(n=10). 35%과산화수소에 DCPD를 0.1, 1wt% 첨가하여 실험군으로 하고 하루 60분간 치아미백을 실시하였다. 치아 미백제에 pH를 측정하였고, 미백 적용한 치아 표면에는 색과 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pH는 DCPD 함유한 군에서 DCPD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함유되지 않은 군에 비해 pH 수치가 증가하였다. 색조변화량 (${\Delta}$E)을 비교한 결과, 미백 전에 비해 미백 후 색조 변화를 보였고(p<0.05), 결과적으로 색 변화에 있어 DCPD를 함유한 군과 함유되지 않은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법랑질의 표면미세경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군에서 미백 후 미세경도의 감소를 보였고(p<0.05), DCPD를 혼합한 군은 함유되지 않은 군에 비해 경도 감소의 폭이 훨씬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DCPD를 함유한 35%과산화수소의 치아미백제는 치아미백 효과가 있고, pH를 상승시켜서 법랑질의 표면 경도를 덜 감소시키므로 치아미백제의 구성성분으로 실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Titratable Acidity and Organic Acids on Enamel Erosion In Vitro

  • Kim, Eun-Jeong;Jin, Bo-H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19
  • Background: Erosion is a gradual process that occurs fairly quickly, and the full extent of the erosive effects of acidic beverages is not yet clear.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erosive potentials among four naturally acidic fruit nectars within the same range of titratable acidity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components of organic acids on tooth erosion. Methods: Diluted fruit nectars (mandarin 1:1.1, orange 1:1.7, lemon 1:15, grapefruit 1:20) with the same range of titratable acidity (7.9 ml) and their corresponding organic acids (0.05%, 0.1%, 0.3%, and 0.5% citric acid, malic acid, and a citric and malic acid mixture [pH 2.8], respectively) were used. Specimens were placed in conical tubes with 50 ml of each of the test solutions for 1 hour. A microhardness tes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used to measure enamel erosion. Acid separation was carried out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each test solution. Results: Similar decreases in the Vickers hardness number (VHN) were observed among the groups treated with the following diluted fruit nectars: diluted mandarin nectar ($75.9{\Delta}VHN$), diluted lemon nectar ($89.1{\Delta}VHN$), diluted grapefruit nectar ($91.7{\Delta}VHN$), and diluted orange nectar ($92.5{\Delta}VH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namel surface hardness after erosion (p>0.05). Citric and malic acids were the major organic acids in the test fruits. The lemon and orange groups had the highest malic acid concentrations, and the mandarin group had the lowest malic acid concentration. Conclusion: The titratable acidity and the citric and malic acid contents of the fruits could be crucial factors responsible for enamel erosion. Therefore, fruit-based drinks should be regarded as potentially erosive.

한국 땃쥐속 우수리땃쥐 Crocidura lasiura와 작은땃쥐 C. suaveolens, 뒤쥐속 뒤쥐 Sorex caecutiens의 치아형태와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를 이용한 법랑질 표면의 정성적 분석 비교 (Comparative Tooth Morphology and Qualitative Analysis on the Enamel Surface using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in the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lasiura and C. suaveolens and the Red-Toothed Shrew Sorex caecutiens from Korea)

  • 정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3-212
    • /
    • 2013
  • 한국 땃쥐속 우수리땃쥐 Crocidura lasiura와 작은땃쥐 C. suaveolens, 뒤쥐속 뒤쥐 Sorex caecutiens의 치아형태와 법랑질 표면의 함유물을 EDX를 이용하여 정성 분석하였다. 우수리땃쥐와 작은땃쥐의 경우, 치식은 I3/1 C1/1 P1/1 M3/3=28이었고,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는 5개의 교두들로 만들어진 균형이 맞지 않는 W형을 가지고 있었고, 상악 제3 대구치는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의 3/1크기였으며, 상악 제1절치는 2개의 다른 크기의 갈고리 모양이었으며, 하악 제1 절치는 매끈하였다. 뒤쥐의 경우, 치식은 I3/1 C1/1 P3/1 M3/3=32이었고,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 구치는 균형이 맞는 W형을 가졌고 상악 제3대구치는 다른 대구치의 약 절반 크기였으며, 상악 제1절치는 2개의 비슷한 크기의 갈고리 모양이었으며 하악 제1절치는 매끈하지않은 톱니모양이었다. 치아와 두개골 측정치 비교에서 우수리땃쥐가 3종 중 가장 컸으나(p<0.001), 작은땃쥐와 뒤쥐는 크기에서 차이가 없었다(p>0.05). EDX를 이용한 하악 제1절치와 하악 제1대구치의 법랑질 표본의 정성적 분석으로부터, C, O, P, Ca, Cu가 모든 표본에서 검출되었고 Pb는 몇몇 표본에서만 검출되었다. 3종들에서 이들의 함유량은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Fe는 붉게 착색된 치아를 가지는 뒤쥐의 법랑질 표면에서만 검출되었다. 따라 서 Fe가 치아의 붉은 착색의 원인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치아 끝의 색을 포함한 치아 형태학적 특징들이 땃쥐속과 뒤쥐속의 분류키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