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visory satisfac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초

The Effect of Police Officers'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Supervisory Quality and Attitude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Conflict

  • Jang, Cheolye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68-7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ice officers'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supervisory quality and attitude,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conflict. As a result of analysis of 185 police offic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organizational justice and work-life conflict, the ones between supervisory qualities and attitude, organizational justice, work-lif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ll of them reached the significance levels, no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y qualityand attitude work-life conflict. Thus, the results for the interaction have shown,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and organizational justice and work-life conflict have negative influences on work-life conflict respectively, and supervisory qualities and attitude conflict, organizational justice conflict, work-life conflict ha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i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The Sobel-test showed that the Sobel-test statistic of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conflict o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is significant, but not i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conflict o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upervisory qualities and attitud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work-life conflic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improve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in the public organizational context with an open-oriented- system and culture for employees'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and equality and fairnes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It is also noted that work-life harmony for employees may be incompatible with the supervisor's perception of the work-oriented or prioritized-way in hierarchical organizations like police agencies.

연구조직에서의 상사에 대한 신뢰와 지식공유활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정범구;원영숙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2년도 제21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1-156
    • /
    • 2002
  • This study tries to testify that how much knowledge sharing behavior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s affected by the supervisory trust empirically.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supervisory trust was the higher the level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ultimatel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improved. Specially, the supervisory trust affects job-related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knowledge sharing system behavior. The knowledge sharing culture, however, is no relation with the supervisory trust. Job-related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fluenced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knowledge sharing system influenced only job satisfaction and knowledge sharing culture influenced only organization at commitment. The implication from this paper is that knowledge sharing improve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supervisory trust is important for knowledge sharing in R&D organization.

  • PDF

음악치료 수퍼비전 형태에 따른 수퍼비전 만족도 조사 (Music Therapy Supervisory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Supervision Format)

  • 곽은미;장빛나;유가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9권1호
    • /
    • pp.21-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수퍼비전 형태, 즉 개인 수퍼비전과 소집단 수퍼비전 형태에 따른 수퍼바이지의 수퍼비전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그에 따라 서울 소재 대학교 음악치료학과 석사과정 재학생 중 임상 수퍼비전을 받고 있는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가 실시되었다. 대상자별로 개인 수퍼비전과 집단 수퍼비전이 각각 4회씩 이루어졌고, 수퍼비전 실시 후 수퍼비전 만족도 질문지(Supervisory Satisfactory Questionnaire)를 사용해 각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 평균 점수가 집단 수퍼비전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두 조건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만족도 세부 항목 중 필요성 충족과 전체적인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자기보고 내용에 있어 개인 수퍼비전의 경우에는 제공되는 시간의 충분함과 수퍼바이저의 개별적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서술이 많았던 반면, 집단 수퍼비전의 경우에는 동료들 간의 긍정적인 교류와 시간 부족에 대한 서술이 많았다. 이와 같이 개인 수퍼비전과 집단 수퍼비전에서 충족될 수 있는 다른 필요와 장점이 있음을 보여주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음악치료 교육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는 수퍼비전 형태에 대한 고려사항이 제안되었고, 추후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Y세대의 특성과 고객지향성의 관계 연구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포함함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Orientation - Including Testing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

  • 최현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34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호텔산업에 종사하는 Y세대인 서비스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상사 지원, 재미,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설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81년에서 2000년 사이에 출생하여 Y세대라 불리는 직원만을 조사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확보된 실증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및 PROCESS Macro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한 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과 AMOS 18.0이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 재미는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상사 지원은 직무만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고객지향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은 상사 지원과 고객지향성의 관계 그리고 재미와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모두 매개 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직장 내 재미와 직무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수록 직원의 고객지향성 행동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사의 지원은 직무만족을 통해 직원의 고객지향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수퍼바이저와의 협동관계가 사회복지사(수퍼바이지)의 업무만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orporativ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on Social Workers (Supervisees)' Working Satisfaction and Burnout)

  • 강선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2호
    • /
    • pp.211-23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작업(Work Alliance)으로 개념화된 바와 같이, 사회복지 종사자의 업무만족(Working Satisfaction)과 소진(Burnout)에 관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간의 협동관계(Corporative Relationship)의 효과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종합 사회복지관 및 상담 센터를 중심으로 68명의 수퍼바이저와 80명의 수퍼바이지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이용하여 독립변수(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간의 협동관계)가 종속변수(업무만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수퍼바이지가 수퍼바이저에게 가진 친밀한 느낌이 그들의 업무만족과 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그러나,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간의 협동이 당연히 소진 정도를 낮추는 것과 연관되어서는 통계적인 유의미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업무만족과 소진 간에는 반비례적인 부의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덧붙였다.

  • PDF

윤리적 영업행동은 직무만족과 직무성과를 향상시키는가? (Do ethical sales behaviors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 한수진;강소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21-529
    • /
    • 2020
  • 영업 현장 및 영업 사원에 대한 현실은 윤리적 영업 행동과 연계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윤리적 행동 연구들을 바탕으로 영업사원의 윤리적 영업행동이 기업과 업무 수행자 모두에게도 긍정적 효과가 있는가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 교환이론을 바탕으로 윤리적 행동과 직무만족 그리고 직무 성과간의 관계에 상사지원인식이 긍정적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 가설을 설정하였다. 2018년 4월부터 2018년 6월까지 백화점 등 유통업에 종사하는 영업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238부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는 Windows SPSS/PC version 22를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업사원의 윤리적 행동은 가설에서 예상한 바와 같이 직무만족 및 성과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상사지원인식에 대한 조절효과 검증은 영업사원의 윤리적 행동과 직무성과간의 관계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상사지원인식을 많이 하는 직원일수록 윤리적 행동에 따른 직무성과가 보다 강화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윤리적 행동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있어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사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과업갈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Task-Conflict on Job Attitudes :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 정현달;백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92-203
    • /
    • 2016
  • 본 연구는 개인차원에서 과업갈등과 직무태도 간의 관계에서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최근 급변하는 경쟁 환경과 다양해지는 인력다양성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조직 내에서 발생되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 인식으로 인해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을 구분하여 커뮤니케이션의 긍정적인 메커니즘을 차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인 유형인 상사와의 커뮤니케이션과 동료와의 커뮤니케이션으로 구분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양화된 인적구성은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대표적으로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과업갈등의 경우 구성원들 간에 업무수행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과업갈등의 경우 선행연구들에서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므로 조직관리적 측면에서 이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과업을 수행하거나 과업 수행 중에 발생하는 갈등의 상황에서 구성원들은 자연스럽게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런 과정 속에서 만족감을 인식한다면 과업갈등의 부정적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 국내기업에 종사하는 280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1.0 & AMOS 21.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2개 이상의 매개효과를 효율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팬텀변수를 활용한 다중매개효과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과업갈등은 직무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상사소통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원장의 지도성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Preschool Institutes and Management Styles on Job Satisfaction among Teachers)

  • 오미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225-23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tpreschool institutes and management styles on job satisfaction levels among teachers. For this study, 256 teac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dealing with the following topics: the organization culture and the management styles of administrators at schools they work in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veral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management styles. Third,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variables, innovativeness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lso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ment styles of administrators that influenced teachers'job satisfaction ratings included collegiality, supervisory support, physical settings, reward systemsand task-centered management styles.

영업사원 직무만족도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 사이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 리더의 지원 능력과 조직시민행동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s of Salesperson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

  • 전호성
    • 산학경영연구
    • /
    • 제18권2호
    • /
    • pp.151-178
    • /
    • 2005
  • 본 연구는 Brown과 Peterson(1993)의 메타 분석에서 자료의 부족으로 실증하지 못했던 리더의 지원 역량을 직무 만족도의 선행 변수로 제안하였고 기존 조직 문헌에서 활발히 연구되었던 조직시민 행동을 직무 만족도와 관련된 인과 관계 모형에서 새로운 결과 변수로 제안하였다. 연구 모델에 대한 분석 결과 6개의 가설중 조직시민행동과 정착의향 관계에 관한 가설을 제외하고 모두 지지되었다. 이러한 실증 결과를 통해서 조직 문헌에서 많이 연구되었던 조직시민행동은 영업사원 직무 만족도의 결과 변수이지만 영업 사원의 정착 의향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음이 밝혀졌다. 또한 Brown 과 Peterson(1993)의 실증 연구에서 직무 만족도의 선행 요인이었던 역할 모호성처럼 리더의 지원역량 변수도 조직 몰입이나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보다 직무 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회사가 영업 사원들의 정착율을 높이기 위해 신경을 써야 하는 관리 변수는 직무 만족도와 조직에 대한 몰입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에 대한 몰입은 회사에 대한 정착 의향 뿐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 바람직한 시민행동을 발휘하게 하므로 단기적 정착 지표 뿐아니라 장기적인 조직 활성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회사가 더욱 관심있게 관리해야 할 선행 지표라고 판단된다.

  • PDF

남자 간호사의 사회적지지, 정서적 소진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ocial Support,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of Male Nurses)

  • 강정희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5-18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of male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male nurses working in hospitals,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Results: The current job satisfaction rate of male nurses was 52.8%, and the rate of intention to leave within one year was 38.2%. Job satisfaction was lower for male nurses as job stress was higher(${\beta}=-.44$), p<.001), and the higher the supervisory support in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beta}=.23$), p=.011). The higher the emotional exhaustion, the higher the intention to leave(${\beta}=.35$, p<.001). Conclusion: In order to maintain male nurses as important nursing staff in hospitals, various policy are needed to reduce the job stress of male nurses an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by lowering job stress and to reduce the intention to leave by reducing emotional exhau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