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unrise and sunset time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동지나해의 초음파 산란층에 관한 연구 ( 1 ) ( Acoustic Scattering Layers in the East China Sea ( 1 ) )

  • 이대재;신형일;박중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1호
    • /
    • pp.14-19
    • /
    • 1990
  • 동지나해의 초음파산란층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서, 산란층의 주야간에 대한 수직이동상태와 Echo 신호의 변동특성에 관하여 검토한 결과, 수심 20m~80m에 형성된 상\ulcorner하한의 수온차가 약 11$^{\circ}C$인 수온약층부에서 일몰 전에는 산란층의 Echo 신호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일몰 후부터 수심 35m~45m 구간에서 산란층이 강하게 나타내기 시작하여, 시간이 경과할수록 수직적으로 신장되면서 표층을 향해 점차 부상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일출 전에 초음파산란층의 상부는 수온약층의 상부까지 부상하였고, 또 전 수심에서 상당히 강한 Echo 신호가 돌발적으로 출현하는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이것은 저층에 분포하고 있던 어군이 부상하여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일출 후에는 산란층이 급속히 하강함과 동시에 Echo level도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그 하강속도는 일몰 후 산란층의 부상속도에 비해 현저하게 빠른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일출전후 약 30분간에 가장 강한 Echo 신호가 관측되었다. 또 Echo 신호의 진폭빈도분포는 일몰전에는 전 수층에 걸쳐 Echo level이 매우 낮으므로 낮은 level에 많이 집중되는 지수분포형을 나타내고, 일출전후에는 Echo 신호가 높은 level에 많이 집중되는 정규분포형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AT WHAT TIME A DAY BEGINS IN THE KOREAN HISTORY?)

  • 안상현;박종우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505-528
    • /
    • 2004
  • [ ${\ll}$삼국사기${\gg},\;{\ll}$고려사${\gg},\;{\ll}$조선왕조실록${\gg},\;{\ll}$승정원일기${\gg}$ ]에 나오는 천문 관측 기록 가운데 특히 달가림(lunar occultation) 기록을 분석하여 당시의 시간제도와 하루의 시작점을 알아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일식이나 월식을 계산할 때는 백각법(百刻法)과 12진각법(十二辰刻法)이 사용되었고 하루의 시작점은 자정이었으나, 일상생활과 특히 천문관측에서는 경점법(更點法)이 사용되었는데, 하루의 시작점은, 최소한 고려시대부터는, 해 뜰 무렵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사용한 혼명(昏明)의 시간은 현대의 항해박명(nautical twilight)을 뜻함을 알아냈다. 우리의 결과는 현재 일상생활의 시간관념이 옛날 시간제도에서 비롯되었음을 말해주며, 농경사회에서 해의 뜨고 짐에 따라 일상생활이 정해지고 또한 천문 관측상 편리하기 때문에 경점법을 쓴 것이라고 해석된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앞으로 고대 천문 관측 기록의 시간을 정확하게 미루어 계산하고, 그것을 현대 천문학적 자료로 사용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200kW 탑형 태양열발전시스템의 Heliostat Field 설계 (Design of Heliostat Field for 200kW Tower Type Solar Thermal Power Plant)

  • 박영칠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5호
    • /
    • pp.41-51
    • /
    • 2012
  • Heliostat field is the most important subsystem in the tower type solar thermal power plant since its optical performance affects the total system efficiency most significantly while the construction cost of it is the major part of total construction cost in such a power plant. Thus a well designed heliostat field to maximize the optical efficiency as well as to minimize the land usage is very important. This work presents methodology, procedures and result of heliostat filed design for 200kW solar thermal power plant built recently in Daegu, Korea. A $2{\times}2(m)$ rectangular shaped receiver located at 43(m) high and tilted $28^{\circ}$ toward heliostat field, 450 of heliostats of which the reflective surface is formed by 4 of $1{\times}1(m)$ flat plate mirror facet, and the land area having about $140{\times}120(m)$ size are used to form the heliostat field. A procedure to deploy 450 heliostats in radial staggered nonblocking formation is developed. Also the procedures to compute the cosine effect, intercept ratio, blocking and shading ratio in the field are developed. Finally the heliostat filed is designed by finding the optimal radial distance and azimuthal spacing in radial staggered nonblocking formation such that the designed heliostat field optical efficiency could be maximized. The designed heliostat field has 77% of annual average optical efficiency, which is obtained by annually averaging the optical efficiencies computed between the time of where sun elevation angle becomes $10^{\circ}$ after sunrise and the time of where sun elevation angle becomes $10^{\circ}$ before sunset in each day.

BLDC 모터-실린더 구동, 홀센서 피드백 방식의 2축 태양광 추적장치 개발 (Development of 2-Axis Solar Tracker with BLDC Motor-Cylinder Actuator and Hall Sensor Feedback)

  • 노태정;이승현;박민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334-2340
    • /
    • 2010
  • Michalsky의 방위각, 고도각, 일출/일몰시각에 대한 태양위치 계산은 국립천문대의 태양위치 정보와 비교했을 때, 최대 각각 $1.5^{\circ}$, $0.88^{\circ}$, 2분 이내의 오차로서 비교적 정확하였다. 현재 시각과 설치위치(경도, 위도)에 대하여 BLDC 모터-실린더를 구동하여 홀센서 위치 피드백으로 Michalsky의 계산식의 태양의 고도각과 방위각을 제어하는 양축 태양광 추적장치를 개발하였다. BLDC 모터의 사용으로 유지보수가 우수하며, 홀센서로 위치피드백으로 모터의 정밀한 위치결정제어가 가능하며, 또한 원점복귀기능으로 누적 오차를 최소화한다.

Characteristics of the E- and F-region field-aligned irregularities in middle latitudes: Initial results obtained from the Daejeon 40.8 MHz VHF radar in South Korea

  • Kwak, Young-Sil;Yang, Tae-Yong;Kil, Hoysub;Phanikumar, Devulapalli Venkata;Heo, Bok-Haeng;Lee, Jae-Jin;Hwang, Junga;Choi, Seong-Hwan;Park, Young-Deuk;Choi, Ho-Seo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15-23
    • /
    • 2014
  • We present preliminary observations of the field-aligned-irregularities (FAIs) in the E and F regions during the solar minimum (2009 - 2010) using the 40.8 MHz coherent backscatter radar at Daejeon ($36.18^{\circ}N$, $127.14^{\circ}E$, $26.7^{\circ}N$ dip latitude) in South Korea. The radar, which consists of 24 Yagi antennas, observes the FAIs using a single beam with a peak power of 24 kW. The radar has been continuously operated since December 2009. Depending on the manner of occurrence of the backscatter echoes, the E-region echoe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quasi-periodic (QP) and continuous echoes. Our observations show that the QP echoes occur frequently above an altitude of 105 km in the post-sunset period and continuous echoes occur preferentially around an altitude of 105 km in the post-sunrise period. QP echoes appear as striated discrete echoes for a period of about 10 - 20 min. The QP-type echoes occur more frequently than the continuous-type echoes do and the echo intensity of the QP type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continuous type. In the F region, the FAIs occur at night at an altitude interval of 250 - 450 km. As time proceeds, the occurrence height of the FAIs gradually increases until early in the morning and then decreases. The duration of the F-region FAIs is typically a few hours at night, although, in rare cases, FAIs persist throughout the night or appear even after sunrise. We discus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FAIs observed by the Daejeon radar in comparison with other radar observations.

신재생에너지 활용 및 저장기능을 이용한 교육용 모의 태양광발전 가로등 설계 (Design of Simulated Photovoltaic Power Streetlight for Education using Renewable Energy Utilization and Storage Function)

  • 윤용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37-142
    • /
    • 2021
  • 태양광발전 가로등은 태양광에너지를 사용하여 2차전지에 충전 후 램프를 통해 야간조명에 활용하는 시스템으로서 부하 단 LED 가로등을 설치하여 독립형 또는 계통연계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을 통해 발전된 에너지는 충방전 제어장치를 통해 2차전지에 충전 후 일사량 감시에 따른 발전전압과 충전전압의 비교, 또는 일몰, 일출 후 특정시간 설정으로 LED 가로등을 점등 소등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활용 및 저장기능을 이용한 교육용 모의 태양광발전 가로등 설계 및 제작을 통해 대학의 학생들에게 1) 태양광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활용하는 에너지 변화의 흐름 이해, 2) 신재생에너지 이해 및 관련 제품의 기초설계와 제작 응용력 함양, 3) 전력변환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활용과 하드웨어 제작을 통한 실습과 분석력 강화를 심어줄 수 있다.

Analysis of Solar and Lunar Motions in the Seonmyeong Calendar

  • Lee, Ki-W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6권2호
    • /
    • pp.87-96
    • /
    • 2019
  • We investigate solar and lunar motions in the Seonmyeong (SM) calendar that was compiled by Xu, Ang of the Tang dynasty (A.D. 618-907) in China and used for 71 years from 822 to 892. This calendar was also used in Korea during the Goryeo dynasty (A.D. 918-1392) and in Japan for 823 years from 862 to 1684, the longest time among the three countries. Referring to historical documents of China, Korea, and Japan, we analyze the calendrical methods of calculating the daily apparent movements of the Sun and Moon in the SM calendar, which were considered their unequal motions, and compare the movements with the results of modern calculations for three periods in the Goryeo dynasty: 919, 1155, and 1392 years (i.e., the beginning, middle, and ending of the dynasty, respectively). We find that a quadratic equation was employed to obtain the daily movement of the Sun using physical quantities on the instant of each solar term, which was tabulated in its calendar book such as the Goryeosa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For quantitative analysis, we compute the mean absolute difference (MAD) of the daily apparent movement between the SM calendar and modern calculations and obtain 0.33, 0.30, and 0.31 arcmin for the periods of 919, 1155, and 1392 years, respectively. Meanwhile, we find relatively large MAD values in the daily movement of the Moon: 0.217, 0.284, and 0.240 degrees for each corresponding year. An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MAD value in the lunar motion shows the maximum in 1155 years, and is the minimum in the solar motion. 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facilitat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M calendar further, particularly in the calendrical methods of calculating sunrise, sunset, and eclipse times.

Vision 시스템의 차량 인식률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ehicle Recognition Rate of Vision System)

  • 오주택;이상용;이상민;김영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6-24
    • /
    • 2011
  • 차량의 전자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려는 법률적, 사회적 요구에 발맞추어 빠르게 발달하고 있으며, 하드웨어의 가격하락과 센서 및 프로세서의 고성능화에 따라 레이더, 카메라, 레이저와 같은 다양한 센서를 적용한 다양한 운전자 지원 시스템 (Driver Assistance System)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CCD 카메라로부터 취득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차량의 주행 차선 및 주변에 위치 하거나 접근하는 차량을 인식하여 운전자의 위험운전에 대한 원인 및 결과를 분석 할 수 있는 Vision 시스템 기반 위험운전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Vision 시스템은 터널, 일출, 일몰과 같이 태양광이 충분치 않은 곳에서는 차선 및 차량의 인식율이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밝기 대응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Vision 시스템에 탑재함으로서 언제, 어느 곳에서라도 차선 및 차량에 대한 인식율을 향상시켜 운전자의 위험운전에 대한 원인을 명확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SID 모니터링을 통한 전리층의 변화 관측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the Ionosphere Through SID Monitoring)

  • 강용희;이오균;곽영실;이재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432-439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파가 전리층에서 반사되는 원리를 이해하고, 우주환경 변화가 전파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SID모니터를 설치하고, 안테나를 제작하였다. SID 모니터로 일본 Evino에서 송신하는 22.2kHz 전파를 수신하였다. 수신된 전파의 세기를 이용하여 전리층 D층의 상태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저주파 통신은 규칙적인 일변화를 가지고 상태가 변하게 된다. D층의 생성, 소멸과 관련하여 저주파 통신은 일몰과 일출 직후 전파의 세기가 약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라 낮 시간 전파의 세기가 변하는 것을 관찰했다. 밤에는 D층이 사라져 매우 불규칙한 변화를 보인다. 전리층은 계절적인 변화를 비롯하여, 여러 요인에 의해 변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보다 자세한 변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긴 시간 동안의 전파 관측이 필요하다.

  • PDF

노래미, Agrammus agrammus의 일주섭식활동에 관한 수리적 접근 (Mathematical Approaches Related to Daily Feeding Activities of Rock Trout, Agrammus agrammus)

  • 김종관;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15-326
    • /
    • 1991
  • 본 조사는 노래미(Agrammus agrmmus)의 위만복도의 일주변화에 관한 수리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표본은 삼천포 신수도 연안에서 1984년 9월부터 1985년 8월사이에 낚시와 삼중자강으로 채집된 것이다. 하루 중 위만복도는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각각 한차례씩 증가하였고, 늦은 오전과 정오무렵 및 야간에는 감소하였다. 즉, 노래미의 섭식활동은 해뜰무렵과 해질무렵에 강하였다. 본 종의 하루 중 일주섭식활동은 위배출만 일어나는 시간대와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위배출 시간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위만복도는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위만복도는 단위시간당 위배출률과 섭식률, 위의 최대만복도 등에 영향을 받았다. 위배출률은 위배출 시간대에서 시간 t와 t시점에서의 위만복도 $F_t$, 간, 또는 $F_t$$t+\Delta t$시점에서의 위만복도 $F+_{\Delta t}$, 간의 회귀관계식으로분터 회귀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써 구할 수 있었다. 섭식률과 위의 최대만복도는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에서 $F_t$$t+\Delta t$간의 회귀관계식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었다. 섭식률과 위배출률은 봄에 높았고 겨울에 낮았다. 본 종의 일주섭식활동에 관한 가설들로부터 추논된 위배출 시간대와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에서 시간 t와 t시점에서의 위만복도 $F_t$, 간의 관계식은 각각 아래와 같다. $$F_t=F_{to}e^{-r(t-to)}$$, $$F_t=F\infty-(F\infty-F_{to})e^{-(p+r)(t-{t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