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 containing compounds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7초

Volatile Compounds Colle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 from Hong Kong Salt-Dried Croakers

  • Kim, Joo-Shin;Chung, Hau Y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1권3호
    • /
    • pp.140-148
    • /
    • 2008
  • We compare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volatile components in salt-dried croakers prepared by different methods and obtained from different locations. In total, 110 compounds were found among regular- and delay-type salt-dried croakers purchased from two locations in Hong Kong. The major chemical classes included miscellaneous compounds(17), pyrazines(16), alcohols(15),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13). Fish obtained in different locations but prepared by the same method differed only slightly in the number of identified compounds. In general, fish prepared by the delay method had a larger number of compounds compared to fish prepared by the regular method. Further, a greater number and higher levels of compounds were found in the fish obtained from one of the two locations. Overall, the delay preparation method resulted in a greater number of compounds with stronger intensity compared to the regular method.

Analysis of the Volatile Components in Red Bean (Vigna angularis)

  • Kim, Joo-Shin;Chung, Hau-Y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120-126
    • /
    • 2007
  • Volatile components in red bean (Vigna angularis) were investigated. Extracts prepar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solvent extraction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One hundred and forty-two components including alkanes/alkenes (17), aromatics (5), furans (15), miscellaneous compounds (2), other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11), aldehydes (11), naphthalenes (11), alcohols (34), ketones (23), sulfur-containing compounds (5) and esters (8) were identified. Some of these components, e.g. hexanal, were known to contribute to the "beany" odor in other beans. Due to the presence of such odor, red beans may not be acceptable to some consumers.

한국산 멸치젓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Korean Salt-Fermented Anchovy)

  • 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19-724
    • /
    • 1992
  • 한국산 멸치젓의 휘발성 성분을 SDE/GC/MSD로 분석한 결과 총 73개의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aldehyde류(17종), ketone류(10종), alcohol류(12종), N-함유 화합물류(8종), ester류(7종), S-함유 화합물류(5종), furan류(5종) 및 alkane류를 포함한 9종의 기타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중 58종의 화합물은 표준품과의 Rl로서 동정되었으며 나머지는 database에 의한 PBM search로서 잠정적으로 동정되었다. 함량면에서는 aldehyde류가 가장 많았고 다으으로 alcohol류, furan류, ester류, ketone류 순이였다. 특히 3-methylbutanal, 1-penten-3-ol, ehtylacetate, 2-ethylfuran 등의 화합물의 함량이 많았다.

  • PDF

Clinical evaluation of cetylpyridinium chloride-containing mouthwash in halitosis

  • Kang, Minkyung;Kim, Boyeon;Park, Hyounggeun;Lee, Euns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4권1호
    • /
    • pp.27-29
    • /
    • 2019
  • Halitosis is a very common disease that affects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and is characterized by unpleasant odor during expiration. Anaerobic bacteria produce a range of malodorous substances including volatile sulfur compounds. To reduce oral malodor, the amount of oral microorganisms should be managed through brushing, scraping, and use of antibacterial agents. In this study, a mouthwash containing 0.05% cetylpyridinium chloride was tested on 22 candidates with oral malodor for two weeks to confirm oral malodor reduction through the use of antibacterial mouthwashes. Volatile sulfur compound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after using the mouthwash than before using it; thus, the mouthwash effectively reduced oral malodor.

혈장 중 황함유 화합물과 메틸말론산의 신속 간편한 분석법 개발; GC-MS-SIM을 이용한 호모시스테인혈증의 진단 (A Rapid, Simple Determination of Sulfur-containing Compounds and Methylmalonic Acid on Plasma using GC-MS-SIM for the Diagnosis of Homocysteinemia)

  • 윤혜란;마헤샬타파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8-146
    • /
    • 2015
  • Purpose: If early diagnosis is not made, patients with metabolic disorders as homocystinemia rapidly progress to physical defect or mental retardation resulted in storage of the toxic material into the br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nalytical method for a rapid screening and/or correct confirmation diagnosis. Methods: The standard solution of sulfur amino acids spiked plasma was subjected to protein precipitation with methanol, and then consecutively derivatized with trimethylsilyl (TMS) and trifluoroacyl (TFA) and determined by GC-MS. The formation of TMS derivative of the hydroxyl and TFA derivative of amino functional group was performed by BSTFA and MBTFA, respectively. Selective ion monitoring (SIM) mode was used for quantification with selected specific ions. Results: A calibration curve on standard spiked pooled plasma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36-0.9992 for all compounds over the range of 0.1-300 ng. The precision and accuracy were within S.D. of 1-15% and RSD of 1-15% for intra-day assay at 2 ng/mL, 15 ng/mL and 30 ng/mL. LOD and LOQ was 0.4 ng/mL and 4 ng/mL respectively. Conclusion: A rapid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to quantify sulfur amino acids and methyl malonic acid, after two-step derivatization procedure with goo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n human plasma. Advantages of a new method are simplicity and rapidity. The method could be useful for routine analysis, diagnosis of homocysteinemia.

시판 흑마늘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Black Garlic Extracts)

  • 전선영;백정화;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6-122
    • /
    • 2012
  • 흑마늘은 일정기간 마늘의 자체 성분과 효소 등에 의해 숙성되어 진한 흑갈색으로 변한 것으로 추출액과 같은 가공형태로 시중에 많이 유통되고 있으나 관능적 품질평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흑마늘 제품의 산지별에 따른 흑마늘추출액 4종(A, B, C, D)을 선정하여 관능적 요소 중 가장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시판 흑마늘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68종으로 함황화합물류 21종, 알데히드류 10종, 퓨란류 7종, 알콜류 6종, 방향족화합물 7종, 케톤류 4종, 산류 4종, 질소화합물 3종, 에스테르류 2종 및 기타 4종이 검출되었다. 흑마늘추출액 모든 시료에서 fruit-sweet향의 2,6-dimethyl-4-heptanone이 높은 함량 검출되었다. 함황화합물에서는 6종, allyl sulfide, 4-methyl-1,2,4-thiazole, 1,3,5-trithiane, unknown I(RI 1564), II(RI 1565), III(R I1613)이 전 시료에서 높은 함량 검출되었으며, 마늘향기성분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Maillard 반응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진 3종의 알데히드류(3-methylbutanal, benzaldehyde, phenylacetaldehyde)와 4종의 furan류(furfural, 2-acetylfuran, 5-methyl-2-furfural, furfuryl alcohol), 2,6-dimethyl pyrazine, acetic acid가 모든 시료에서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으며, 이들 향기성분들은 시판 흑마늘추출액의 휘발성성분에 burnt, sweet, sour한 특징적인 냄새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LPG 연료용 비황분계 부취제의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ulfur-Free Odorant for LPG Fuel)

  • 김재곤;임의순;정충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52-59
    • /
    • 2014
  • 일반적으로 황분계 부취제는 연료가스로 인한 가스중독, 발화, 폭발 등의 사고를 방지하고, 배출가스에 의해 연료 가스 누출의 즉각적으로 손쉽게 검출할 수 있도록 LPG, 그리고 도시가스와 같은 연료가스에 첨가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황을 함유한 가스용 부취제를 대체하여 연료의 저황분화와 금속 부식성을 낮출 수 있는 LPG 연료용 비황분계 부취제 개발을 위하여 실험하였다. 비황분계 부취제는 황을 함유하지 않는 12개의 부취물질을 선정하였으며, 직접 관능법에 의한 취질과 취기 평가를 실험하였다. 최종 선정된 혼합 부취물질은 methyl isovalerate, methyl acrylate, 2-ethyl-3-methyl pyrazine이며, 이때 조성비는 50% : 40% : 10% 이다. 최종 비황분계 부취제(K-Petro S-Free)는 LPG 연료에 40 wt ppm 혼합하여 품질평가, 금속 부식성 평가 그리고 장기 안정성 평가를 실험하였다. 이 때 LPG 연료용 비황분계 부취제는 국내 LPG 연료의 품질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또한 금속에 대한 부식성에는 영향이 없으며, 60일간의 장기 안정성 평가에서 LPG연료의 조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최종 선정된 비황분계 부취제(K-Petro S-Free)는 LPG 연료의 첨가제로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황과 레졸로 가교된 천연고무 가교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NR Vulcanizates Cured by Both Sulfur and Resole)

  • 최성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4호
    • /
    • pp.261-271
    • /
    • 2000
  • 황과 레졸로 가교된 천연고무 배합물의 가황 특성과 가교물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분자량 분포가 다른 2가지 레졸을 사용하였다. 분자량 분포도가 낮은 레졸이 포함된 배합물의 스코치 시간은 분자량 분포도가 높은 레졸이 포함된 배합물에 비해 빠르다. 레졸 함량이 높은 가교물의 가교밀도는 $95^{\circ}C$ 열노화 후 감소한 반면, 레졸이 없는 가교물의 경우에는 열노화 후 가교 밀도가 증가하였다. 레졸 함량이 높은 가교물의 가교 밀도는 노화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지만 모듈러스는 증가하고 인장 강도와 인열 강도는 감소한다.

  • PDF

비냉각형 선농축 방식에 의한 대기 중 휘발성 황화합물의 분석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Approach to Measure Volatile Sulfur Compounds Using a Non-Cryogenic Preconcentration Method)

  • 김기현;이강웅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55-360
    • /
    • 1997
  •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dimethylsulfide (DMS), known as the predominant volatile organic. sulfur compound, is determined at subnanogram level by a combined application of non-cryogenic preconcentration method and gas chromatography with flame photometric detection (GC/FPD). The volatile DMS in air is preconcentrated using a trapping tube containing adsorbent like Molecular Sieve 5A (or gold-coated sands). The tube is then connected to the GC/FPD system via a six-way rotary valve, thermally desorbed at 40$0^{\circ}C$, separated on OV101 column, and detected by a flame photometric detector. The DMS peak elutes at about 2.5 mins and is integrated electronically. The analytical precision, if expressed in terms of relative standard error, is around 5%. The detection limit of our GC/FPD system is ca 1 ng of DMS. Details of our analytical system are presented.

  • PDF

사람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의 셀레니움화합물에 대한 기질 특이성에 관한 연구 (Substrate Specificity of the Human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 for Organic Selenium Compounds)

  • Kim, Young-Mi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5권4호
    • /
    • pp.139-145
    • /
    • 2000
  • FMO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 EC1.14.13.8)는 다양한 종류의 식품, 약물이나 기타 외래 유래물질(xenobiotics)을 산화시키는 NADPH와 $O_2$의존성 약물대사 효소이다 현재까지 5종의 subfamility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으며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FMO3는 대표적인 subfamility로서 주로 간에 존재한다. 사람 FMO에 관한 연구는 최근들어 활성화되기 시작했으며 질소, 황이나 인 등을 포함하는 친핵성 (nucleophilic)화합물이 대표적인 기질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 산화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selenium을 포함하고 있는 화합물에 대한 사람의 FMO3의 기질특이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람 FMO3를 baculovirus system을 이용하여 발현시킨 후 그 microsomal FMO3을 이용하여 thiochline assay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기질의 크기에 따라 활성의 차이가 있었으며 크기가 작은 selenium화합물은 기존의 질소나 인 등을 포함하는 기질보다 더 낮은 $K_{m}$ 값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