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onium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6초

Sulfonium 염에 의한 Epoxy 수지의 잠재성 경화형 열 개시 양이온 중합반응 (Thermoinitiated Cationic Polymerization of Epoxy Resin by Sulfonium Salts for Latent Curing)

  • 김선희;신민재;신재섭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2호
    • /
    • pp.53-57
    • /
    • 2012
  • Anisotropic conducting film (ACF)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경화과정에 잠재성이 있어야만 하며, 보다 빠른 생산성을 갖기 위해서는 반응속도가 매우 높아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의 sulfonium 염들을 합성해서 epoxy 수지의 잠재성 경화제로 사용해 보았다. 이들 sulfonium 염들은 모두 우수한 잠재성을 보여 주었다.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이용해서 이들의 경화거동을 살펴보았으며, $150^{\circ}C$에서의 경화 속도를 탐침법으로 측정하였다.

전자 재료용 일액형 에폭시 접착제를 위한 저온 속경화 잠재성 양이온 경화제 (Low-temperature Fast-curing Cationic Latent Curing Agent for One-component Epoxy Adhesives for Electronic Materials)

  • 안소현;장한결;정영훈;김승준;김명웅;김선주;김재우
    • Composites Research
    • /
    • 제37권5호
    • /
    • pp.393-401
    • /
    • 2024
  • 에폭시는 내열성과 내화학성 등의 우수한 특성으로 전자 재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열경화성 고분자이다. 에폭시의 성능은 사용된 경화제의 종류에 크게 의존하며, 그 중에서도 sulfonium 기반 잠재성 경화제는 빠른 경화 속도와 높은 경화도, 특정 온도에서만 반응하는 특성으로 인해 일액형 에폭시의 특성이 요구되는 전자 재료 분야의 이방성 전도 필름 제조에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Sulfonium 기반 잠재성 경화제는 낮은 수율 및 순도 문제로 산업 분야에서 실제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nzyl 및 naphthyl 유형의 sulfonium 경화제(B-Sul+SbF6-, N-Sul+NCyF-, N-Sul+NFSI-)의 합성 반응 조건이 최적화되었다. 반응 시간, 온도 및 반응물의 비율을 조절하여 수율을 극대화하였고, 이 과정에서 반응 시간 및 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추었다. 수율 및 순도가 최적화된 세 가지 경화제는 열적 및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여 경화 거동 및 보관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혼합 후에도 안정적인 경화 성능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ulfonium 경화제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이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o-Sulfobenzoic Anhydride로 개시된 Propylene Sulfide의 양이온중합시 고분자양성이온의 생성 (Formaton of Macrozwitterions in the Cationic Polymerization of Propylene Sulfide Initiated with o-Sulfobenzoic Anhydride)

  • 한만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3-183
    • /
    • 1978
  • o-술포벤조산 무수물을 개시제로 사용하여 프로필렌술피드를 괴상 중합시킨 결과 양성이온 메카니즘에 의하여 중합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생성된 폴리머를 분석한 결과 이 폴리머는 술포늄양이온과 술폰산음이온을 폴리머 사슬에 가지고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음이온과 양이온의 농도가 거의 같으며 이것은 고분자양성이온임을 나타낸다. 중합계중에 존재하는 수분이 조촉매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은 없으며 말단기 분석을 이용하여 중합메카니즘을 규명하였다.

  • PDF

Synthesis and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Poly(1,4-phenylenevinylene-co-2,3,5,6-tetramethyl-1,4-phenylenevinylene)s

  • Jin, Jung-Il;Kang, Heung-Joong;Shim, Hong-K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1권5호
    • /
    • pp.415-420
    • /
    • 1990
  • A series of copolymers of poly(1,4-phenylenevinylene-co-2,3,5,6-tetramethyl- 1,4-phenylenevinylene), poly(PV-co-TMPV), were prepared in film forms from the precursor polymer films. The sulfonium salt precursor polymers were synthesized by copolymerization of the mixtures of the respective bis(sulfonium salt) monomers. All of the copolymer films could be doped with $FeCl_3$ to have high electrical conductivities and they showed good air stability. The maximum conductivity of the $FeCl_3$-doped films ranged $10^{-3}\;to\;10^2Scm^{-1}$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copolymer films. However, these copolymer films could not be doped with iodine. The coplanarity of PV and TMPV units in the main chain appears to be affected by steric effect of the methyl groups in the TMPV units.

Development of S-Methylmethionine Sulfonium Derivatives and Their Skin-Protective Effect against Ultraviolet Exposure

  • Kim, Won-Serk;Kim, Wang-Kyun;Choi, Nahyun;Suh, Wonhee;Lee, Jinu;Kim, Dae-Duk;Kim, Ikyon;Sung, Jong-Hyu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6권3호
    • /
    • pp.306-312
    • /
    • 2018
  • In a previous study, we have demonstrated that S-methylmethionine sulfonium (SMMS) confers wound-healing and photoprotective effects on the skin, suggesting that SMMS can be used as a cosmetic raw material. However, it has an unpleasant odor.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synthesized odor-free SMMS derivatives by eliminating dimethyl sulfide, which is the cause of the unpleasant odor and identified two derivatives that exhibited skin-protective effects: one derivative comprised (2S,4S)- and (2R,4S)-2-phenylthiazolidine-4-carboxylic acid and the other comprised (2S,4R)-, (2S,4S)-, (2R,4R)-, and (2R,4S)-2-phenyl-1,3-thiazinane-4-carboxylic acid. We performed in vitro proliferation assays using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and an immortalized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The two SMMS derivatives were shown to increase hDF and HaCaT cell proliferation as well as improve their survival by protecting against ultraviolet exposure. Moreover, the derivatives regulated the expression of collagen type I and MMP mRNAs against ultraviolet exposure in hDFs, suggesting that these derivatives can be developed as cosmetic raw materials.

1,4-Thiazine Carboxanilide의 합성: Pummerer 반응에서의 인접기 참여효과 (A Synthesis of 1,4-Thiazine Carboxanilide: Neighboring Group Participation in Pummerer Reaction)

  • 한호규;남기달;마혜덕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30-336
    • /
    • 2002
  • 새로운 ${\alpha},{\beta}$-불포화Carboxanilide계열의 살균제를 개발을 목적으로 4-acetyl-3-methyl-N-phenyl-1,4-thiazine-2-Carboxamide(6)의 합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Dihydro-1,4-thiazine methyl ester 11을 산화하여 생성된 sulfoxide 7을 Pummerer 반응하여 $\alpha$-acetoxy dihydro-1,4-thiazine 10a를 얻었다. 반며에 Dihydro-1,4-thiazine Carboxanilide sulfoxide14는 동일한 반응조건 하에서 중간체 sulfonium ion의 carboxanilide기가 관여한 vinylogous Pummerer 반응의 전위에 의하여 중간체를 15를 통하여 acetoxymethyl dihydro-1,4-thiazine 18이 생성되었다. 1,4-Thiazine carboxanilide 6은 $\alpha$-acetoxy dihydro-1,4-thiazine 10a를 산촉매로 처리한 다음 생성된 21a를 가수분해하고 아닐린과 결합하여 합성하였다

벤젠술핀아미드의 가수분해반응에서 산 및 할라이드 이온의 촉매작용 (Acid and Nucleophile Catalysed Hydrolyses of Benzenesulfinamides)

  • 이종팔;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906-1909
    • /
    • 2010
  • Benzenesulfinamide류의 가수분해반응에서 산 및 할라이드 이온의 촉매작용을 속도론적으로 조사하였다. 반응속도는 산 및 할라이드 이온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benzenesulfinyl group에 전자주게기와 이탈기에 전자받게기를 가진 반응기질에서 빠르게 나타났다. 할라이드 이온의 반응성은 브롬 이온이 염소이온 보다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반응 메카니즘은 초원가 중간체와 술포늄 양이온을 거쳐 진행 될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