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itability Model

검색결과 757건 처리시간 0.027초

홍수에 의한 하도변형을 고려한 물리서식처 모의 (Physical Habitat Simulation Considering Stream Morphology Change due to Flood)

  • 이성진;김승기;최성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805-81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의 고려가 물리서식처 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수리 및 이동상 계산은 CCHE2D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서식처 적합도 곡선을 사용하여 서식처 평가를 실시하였다. 적용구간은 달천 유역 괴산댐 하류 수전교에서 대수보까지 약 2.5km 구간이며, 2006년 7월 홍수기 시 실측된 유량 및 수위자료를 이용하여 이동상 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형의 검증은 실측된 수위와의 비교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하상변동의 검증은 실시 하지 않았다. 물리서식처 분석은 우점종인 성어기 피라미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고정상과 이동상 조건에서 각각 갈수량, 저수량, 평수량, 풍수량의 유랑조건에 대한 복합서식처 적합도 지수 분포를 모의하고 가중가용면적을 산정하였다. 모의 결과, 이동상 조건에서 모의구간의 상류 및 만곡부에서 복합 서식처 적합도지수가 상승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가중가용면적은 이동상 고려 시 5.4~11.3%정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설악산 국립공원의 산양 보호구역 설정기법에 관한 연구: 서식지 적합성 모형, 서식지 수용능력, 최소 존속 개체군 이론을 이용하여 (Establishing a Korean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Heude) Reserve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ea: Based on Habitat Suitability Model, Habitat Capability Model, and the Concept of Minimum Viable Population)

  • 최태영;박종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23-35
    • /
    • 2005
  • Korean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is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and the rugged terrain of the Sorksan National Park $(373km^2)$ is a critical habitat for the species. Since the goral population is threatened by habitat fragmentation,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reserve for the isolated goral popul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reserve for Korean goral in the national Park We employed habitat suitability model, habitat capability model, and the concept of minimum viable popu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rying capacity and optimal density of gorals in the national park were projected to be 449 gorals, and 251 gorals, respectively Second, since only one patch was projected to satisfy the criteria of minimum viable population (50 individuals/during 50 years), the long term extinction possibility of gorals in the site would be very high. Finally, the patch that satisfy the minimum viable population of goral was proposed as the core zone of the goral reserve and adjacent patches were included as buffer zones.

개발제한구역 내 생태공원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 서식처 및 생태통로로서의 기능강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Park Planning Model to Enhance the Functions of Habitats and Ecological Corridors in Green Belt Areas)

  • 김대희;최희선;김현애;김귀곤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3호
    • /
    • pp.367-37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cological park planning model to enhance the functions of habitats and ecological corridors in Green Belt Areas, because changing policies have resulted in the degredation of the Green Belts due to progressive fragmentation of ecosystems. The principal outcome of the study is to plan an ecological park model through the restoration of habitats. In order to evaluate the capacity of the model to enhance the ecological functions of habitats and ecological corridors in Green Belt Areas, a simulation of habitats was carried out in the Sungnam-Yusoo region. The model was developed via following steps: 1. Selection of candidate sites and selection of the study site by analyzing development factors; 2. Selection of target species that can represent the habitat at the site; 3. Analysis of the site's suitability index for the target species; 4. Establishment of a conceptual plan to enhance and expand the currently produced suitability index; 5. Creation of a master plan based on the conceptual plan; and 6. Evaluation of the enhanced and expanded suitability index of the site. The study showed that the Habitat Unit (HU) of Rana coreana, which was selected as the target species of the study, increased from $28,044m^2$(3.6%) to $224,352m^2$(28.8%), and the HU of the site as the ecological corridor for wild animals increased from $4,674m^2$(0.6%) to $152,684m^2$(19.6%).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ecological deficits of the Green Belt Area can be overcome by enhancing the ecological functions of the region, which should be beneficial. The model could be utilized for effective enhancement and management of other Green Belt Areas.

염소가스의 소규모 누출에 대한 Gaussian 연속모델의 분산계수 적용성 (Suitability of Dispersion Coefficients of the Gaussian Plume Model for the Small Scale Release of Chlorine Gas)

  • 김태옥;장서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17
    • /
    • 2004
  • 무거운 독성가스의 소규모 누출에 대한 가우시안 연속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염소가스의 소규모 누출에서 염소농도의 실험값과 여러 가지 분산계수를 사용한 가우시안 연속모델에 의해 산출한 이론값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염소가스 분산은 분산계수와 대기안정도에 따라 상당히 차이가 있었으며, 염소농도는 Briggs의 분산계수와 유효 누출높이를 사용한 가우시안 연속모델에 의해 비교적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었다.

  • PDF

종풍부도와 세분화된 관리지역 비교 연구 - 보령시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Species Richness 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 Focused on city in Boryeong -)

  • 신만석;장래익;서창완;이명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1호
    • /
    • pp.35-50
    • /
    • 2015
  • 본 연구는 비도시지역의 생물종 서식지 보전을 위해 반영할 수 있는 생물종 관련 지표의 개발과 관리지역 세분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물종 서식분포를 예측한 후에 예측된 서식분포를 활용하여 종풍부도를 만들고 그 결과를 토지적성평가와 비교를 하였다. 종분포도는 59종을 대상으로 Maxent 모형을 사용하였고 15개의 모형변수(5개 지형변수, 4개 식생변수, 6개 거리변수)를 활용하였다. 예측된 생물종 서식분포를 출현/비출현으로 구분한 후 합산하여 종풍부도를 예측 하였다. 토지적성평가는 평가체계 I에 따라 보전, 농업, 개발적성을 물리적, 지역, 공간적 입지 특성별로 평가하였다. 종풍부도 등급과 토지적성평가 등급과의 비교결과는 1등급은 10.92%, 2등급은 37.10%, 3등급은 34.56%, 4등급은 20.89% 그리고 5등급은 1.73%의 면적 일치도가 나타났다. 보전관리지역으로 분류되는 1등급과 계획관리지역으로 분류되는 5등급의 일치도가 가장 낮았다. 이처럼 계획관리지역으로 분류되어도, 종풍부도를 고려해 보면 많은 계획관리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종풍부도 값을 보여주었다. 관리지역은 생물종 서식지의 핵심지역은 아니지만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 주변 서식처, 이동통로 등을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에 기여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관리계획에서 잠재적 생물종 서식분포를 고려하는 노력이 보다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for Graduate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Job Sui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 이만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245-266
    • /
    • 2010
  • 지금까지 대졸자에 대한 연구는 대졸자의 취업, 임금 등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가 취업을 하였다면 과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일자리를 얻게 되었는지 아니면 현재 자신의 직무에는 만족하는 지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2007년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졸자의 직업가치관,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를 선행요인으로 하여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가치관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취업 시 직무만족과 일자리적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밖에 일자리적합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대졸자가 재학 시 갖는 직업에 대한 가치관이 매우 중요하며 취업 시에 일자리적합이나 직무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 가치관이 높은 사람은 대학의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고 취업 후 일자리 적합이나 직무만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의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이 대졸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 당국과 고용센터 등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직업 가치관을 심어 줄 수 있도록 가치관교육을 강화하여야 하며 대학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 PDF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Compatibility and Work Results

  • NGUYEN, Duc Trung;HA, Van Dung;DANG, Truong Thanh Nh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9호
    • /
    • pp.621-629
    • /
    • 2020
  • This research focuses on determining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compatibility and work results of employees of Ho Chi Minh Stock Exchange (HOSE) listed companies. The paper includes five parts: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 and policy implication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350 listed companies in HOSE, in which 315 survey notes filled with sufficient information are used for analysis. The paper employs both qualitative method and quantitative method. Group discussion of 10 experts is for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method performs analysis of Statistics, Cronbach's Alpha, EFA analysis, CFA analysis and SEM mode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learly indicate that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activities are measured through improving the ability, improving the motivation and improving the opportunity. While compatibility is measured through suitability, connection and sacrifice; whereby HRM activities of ability improv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uitability and connection; HRM activities of motivation improv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uitability, connection and sacrifice; and HRM activities of opportunity improv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uitability, sacrifice and connection; Finally, the job suitability, sacrifice and connection positively affect the work results of employees.

서식지 적합지수를 이용한 근소만 갯벌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의 어장적지평가 (Site Assessment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eunso Bay Tidal Flats)

  • 최용현;홍석진;전승렬;조윤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11-518
    • /
    • 2019
  • Evaluating the habitat suitability of potential aquaculture sites for cultured species is critical to the sustainable use of tidal flats. This study evaluated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of 12 sites in a tidal flat aquaculture farm at Geunso Bay, Taean, in June 2016. The parameters used to model the suitability index were Growth (water temperature, chlorophyll ${\alpha}$, hydrodynamics), Survival (sediment-sand, mean size, air exposure), and Environment (DO, salinity). The HSI was calculated using weighted and No weighted geometric means. The results showed high habitat suitability at the bay's entrance (HIS; No weighted, 0.60-0.70; weighted, 0.60). Hydrodynamics, air exposure, sediment-sand and mean size are though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abitat selection by Manila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This study explored the optimum habitat for Manila clams by calculating the HSI, providing basic data for tidal flat management.

기본지표와 대안지표를 활용한 토지적성등급 비교분석 - 충청북도 증평군을 대상으로 (Comparative Analyses of Land Appropriateness Degrees Based on the Basic and Alternative Indicators : Focused on Forest Areas Surrounding Management Zones in Chungcheongbuk-Do Jeungpyeong Counties)

  • 이진항;김광주;이명범;이만형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83-93
    • /
    • 2013
  •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라 토지적성평가시 토지의 적성을 비교적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기존지침의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본지표가 지역의 다양한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역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이 필요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토지적성평가의 한계를 타개하기 토지적성평가시 새로운 지표로평가지표를 대체하였을 때 변화되는 적성등급까지 분석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이 합리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는가를 확인하고,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른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의 합리적인 평가방법을 확인하였다. 토지적성평가에 지역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대체지표를 추가 하거나, 좀 더 효과적인 대체지표가 어떤 것인지를 확인하기 보다는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라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하였을 때,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의 합리적인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외식업 종사자의 직무 적합 정도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 몰입을 매개변수로 - (The Influence of Foodservice Employees' Job Suitability on the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Variab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 이상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1-4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construct known as job fit perceived by service employee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he model was tested using SPSS 12.0 and AMOS 4.0 based on the sample of 667 persons that showed a 95% usable response rat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as follows. First, in restaurants, the employees' job suitability factor brings about an indirect effect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employees' job satisfaction factor causes an indirect effect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factor has relationships with turnover intention. That is, the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lower turnover intention. By the same route analysis, job suitability has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the research proved organizational immersion has an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this respect, the research contributes to job performance of foodservice employees,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