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icide Idea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2초

군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이 전.의경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자아존중감,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Program Improving Adjustment to Military Life, on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in Auxiliary Police)

  • 김종임;윤혜선;한선옥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7-394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whether the program, improving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ould have an effect on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and self-esteem in auxiliary police. Method: This quazi 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May 30, 2007.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researcher recruited 120 auxiliary police and randomly assigned each to either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 8-week program to improv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Results: Anxiety,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grams to improv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ould improve psychological health and adaptation of military living in auxiliary police. Replication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nd to identify the long-term maintenance effects of the program.

  • PDF

우울증 환자에서 자살 증상 유무에 따른 성격 특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Difference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uicide Symptom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 최용락;오미애;이상민;김종우;강원섭
    • 정신신체의학
    • /
    • 제27권2호
    • /
    • pp.164-172
    • /
    • 2019
  • 연구목적 성격 5요인설을 기반으로 한 성격 특성 평가 도구인 NEO 성격검사를 이용해 우울증 환자 내에서 자살 증상(과거 자살 시도 또는 자살 사고)의 유무에 따라 성격 특성의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외래 또는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 중 우울증으로 진단된 186명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자살 증상군 70명과, 대조군 116명으로 분류하였다. NEO 성격검사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성격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자살 증상군에서 신경증(Neuroticism)이 높았으며(p=0.041) 나이, 성별, 결혼 상태, 교육수준, 과거 입원 치료 병력 등을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도 신경증은 자살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다(Odds Ratio=1.04, 95% Confidence Interval 1.01~1.07, p=0.0145). 결 론 정높은 신경증은 우울증 환자 내에서 자살 위험이 높은 개인을 식별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자살 예방에 있어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돕는 지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시사된다.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Personal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Ideation of Elderly)

  • 유용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31-2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노인자살의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제천시에 거주하는 노인종합복지관, 노인교실, 시니어클럽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2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은 심리적 요인에서 스트레스, 우울감, 고독감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 우울감, 고독감이 높을수록 노인의 자살생각 정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노인의 자살생각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고독감, 우울감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언하면 첫째, 노인 자살예방을 위해 심리적 치료 및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의 정신건강 지원제도나 교육 및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완화·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자살 생각 관련요인 분석 (The Analysis on 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곽수진;이윤정;정혜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3-111
    • /
    • 2009
  • Purpose: By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ulti-dimensionally understand suicide ideation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rrange the plans to prevent suicide. Methods: This study used and analyzed the data on ‘The 3rd (Year2007) Korea Youth Heal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HRBWS)'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74,698 respondents in total.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ere also used as research methods. Results: 23.8% of the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suicide ideation during the last one year. Girls had higher possibility of suicide ideation by 1.51 times compared to boys. Students with poor academic achievement had more suicide ideation. In terms of health characteristics, stud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not healthy, and students with short weekday sleeping hours, more drinking experience and more smoking experience had more suicide ideation than others. Furthermore, stud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overweight or obese had more suicide ideation than other students. In terms of mental characteristics, students with high level of stress, low level of happiness and depression had more suicide ideatio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out that the factor that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suicide ideation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depression. Consequently, active supports and policies to decrease suicide ideation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necessary. Therefore, active interviews, education for suicide prevention, and periodical screening inspection should be introduced in schools.

중년성인의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살생각에 대한 융합연구: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 효과 (A Converged Study on the Influence of Subjective Social Class on Suicide Ideation of Middle Aged Adults: Doub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 고영;김지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08-11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45~64세) 남녀를 대상으로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이중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대상자의 주관적 사회계층이 자살생각에 영향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병렬 이중 매개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성별, 연령, 동거인 여부와 우울을 보정한 상태에서 독립변수인 주관적 사회계층은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β =0.23, p<.001)와 자아존중감(β =0.12, p <.001)에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β =0.21, p<.001). 종속변수인 자살생각에 주관적 사회계층(β =-0.25, p<.001), 사회적 지지(β =-0.32, p<.001)와 자아존중감(β =-0.19, p=.001)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주관적 사회계층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주관적 계층이 사회적 지지 그리고 자아존중감을 거쳐 자살생각에 이르는 다중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중년성인을 대상으로 생활터 기반의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는 중년성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기여하여, 자살예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중학교 학생들의 자살에 대한 인식도 조사 (Attitudes Toward Suicide in Middle-School Students)

  • 정승호;이상은;박판순;이순득;최혜진;이희원;김철응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4권1호
    • /
    • pp.28-35
    • /
    • 2013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ttitudes of middle-school students toward happiness, suicid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e. Methods :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in a cluster sample of 1,319 middle-school students (male 793, female 526). Data were obtained on a wide range of constructs regarding their attitude towards happiness,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e. Results : Middle-school students choose 'love within family' as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ir happiness. Subjective mental health status was mostly associated with happiness. Subjects in lower socioeconomic status tended to respond their mental health status was not good and have more suicidal idea. 48.7% of subjects had permissive attitudes toward suicide, especially, girls. However, 65.0% responded that suicide was preventable problem. Compared to older people, middle-school students perceiv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were more important than innate and personal factors for suicide. Conclusion :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middle-school students have permissive attitudes toward suicide, but positive attitudes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This suggest that education in these age group could b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Also, approaches to suicide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family intervention. Especially, we should care about girls and adolescents in lower socioeconomic status.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ROK Soldiers'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Conscripted Airmen)

  • 이도균;이대식;성규선;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4호
    • /
    • pp.179-186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병사의 스트레스대처방식, 문제해결능력, 우울과, 자살생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군${\bigcirc}{\bigcirc}$ 부대에서 복무를 하고 있는 병사 중에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자살징후 대상 병사와 부대로 부터 자살징후가 있다고 분류된 병사, 본인이 자살 충동을 느낀다고 본 프로그램에 참가의사를 밝힌 병사 등 총 64명을 대상으로 총 16회기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였다.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실시 후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대처 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고 우울과 자살생각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2006-2011년의 한국의 자살생각률, 자살시도율, 자살사망률의 추세 (Trends in Prevalence of Suicidal Idea, Attempt and Suicide Rate in Korea, 2006-2011)

  • 이기경;나리지;안명희;임아영;홍진표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1-145
    • /
    • 2012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compare trends in suicidal ideation, suicidal attempt and suicide in Republic of Korea from 2006 to 2011. Such data are needed to guide policies to reduce suicidal behaviors. Methods : Data came from the 2006-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2006-2011 Korean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 Replication and 2007-2011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Results : No change occurred between 2006-2011 in suicidal ideation, suicidal attempt, whereas suicide rate increased annually. Suicidal attempt events was decreased in age over 50. Suicidal attempts by poisoning and hanging have increased, although suicide caused by poisoning of insecticide have decreased. Especially, suicides caused by hanging have gradually increased in both sex. Conclusions : These finding suggest that fatal suicidal methods may influence increased suicidal rate. Instead of traditional suicidal process, investigation of other pathway about suicidal behaviors should be needed.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과 ADHD, 우울, 불안, 자존감, 충동성, 자살사고, 삶의 질 (ADHD,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Impulsivity, Suicide Idea and Quality of Life with Burnout of Kindergarten Teacher)

  • 이혜안;심수연;양영애;임명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291-299
    • /
    • 2016
  • 어린이집 교사는 과도한 업무 및 지속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소진 등의 여러 가지 정신적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뿐만 아니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 우울, 불안, 자존감, 충동성, 자살사고,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해 광범위하게 평가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위험군에 대해서 대조군에 비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 우울, 불안, 자존감, 충동성, 자살사고, 삶의 질의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2015년 4월부터 7월까지 ${\bigcirc}{\bigcirc}$시에 거주하는 어린이집 교사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평가를 시행하였다. 이중에서 소진위험군에 해당하는 군은 80명이었다. 모든 대상군에서 한국형 성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척도, 벡 우울척도, 벡 불안척도, 바렛 충동성척도, 로젠버그 자존감 척도, 자살사고 척도, 삶의 질 척도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로서 소진위험군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 우울, 불안, 자존감, 충동성, 자살사고, 삶의 질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회귀분석에서는 불안,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충동성에서도 유의한 odds ratio를 나타내었다. 이는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에는 불안 등의 정서적 위험요인 외에도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충동성 등이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재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족탄력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Effect of Family Flexibility on the Idea of Adolescents Suicide -The Senior Year of High school Boys-)

  • 서신자;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62-274
    • /
    • 2013
  •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지역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08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통계처리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AMOS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신념체계는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고,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나타났다. 또한, 신념체계는 의사소통을 매개로한 자살생각에 간접효과를 주었다. 이에 가족 간의 화목을 강조한다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사고가 절감되기 때문에 가족의 신념을 높이고, 부모-자녀 간에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