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dong Strea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수동천에서의 종속영양세균 군집에 대한 수리학적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in the Sudong Stream)

  • 최성찬;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18-327
    • /
    • 1987
  • 북한강의 지류인 수동천 수층에서 세균 군집의 구성 맺 다양성을 통계학적으로 조사하였다. 4계절에 걸쳐 분리된 282개의1 균주를 계통분류한 결파, 진 정점에서 FLavob$\alpha$cten$\mu$m, Aero,pmas와 Enterobacterianae가 50% 이상으후 주종을 이루었다. 각 쟁점별로 분리된 세균들은 수리학적 분석을 행하여 각가 다른 형태학적,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 특정을 나타내는 15-28개 집단으로 분류되어다. 각각의 수리학적 세균 집만은 계통분류에 의한 세균 집단(속병)들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으며, 특히 독특한 당 분해능을 지닌 균주들은 수리학직 분석에 의하면 각각의 균주가 옥딩된 씌침-집만을 이음으로써 인관적인 관년상을 보이지 않았다. 80%의 유사도 수준에서 나위어진 각각의 집단을 하나의 종으로 하여 세균 다양성 지표(dlversity mdex:H)를 구한 결과, 2.37-3.149의 범위로 계산되어 조사 대상 지역은 밴영양-중영영 상태의 다양성을 갖는 세균 군집이 존재함이 밝혀졌다. 유기물질이나 세균 집단의 대량 유입 영향을 직접 받는 정선에서 세균 군집의 다양성 지표가 가장 높았으며 이러한 유입 현상이 전 수동천 생태계에서의 세균균집의 분포에 가장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이 관찰되었다.

  • PDF

봉선사천의 참갈겨니(Zacco koreanus) 재도입 개체군과 원개체군(조종천, 수동천) 간 생태학적 특징 (Ecological Characteristic between the Re-introduction Population and the Original Population (Jojong Stream, Sudong Stream) of Zacco koreanus in the Bongseonsa Stream, Korea)

  • 왕주현;최준길;이혁제;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37-548
    • /
    • 2017
  • 본 연구는 봉선사천에 재도입된 참갈겨니(Zacco koreanus) 개체군과 복원 개체군의 원 서식처인 조종천과 수동천의 종조성 및 하천 수환경을 평가하고, 하천별 서식하고 있는 참갈겨니의 생육상태 및 생식능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지조사는 참갈겨니의 산란시기를 고려하여 2016년 6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물리적 수환경 분석 결과 하천별 모두 고도, 유폭, 수심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상구조는 Boulder, Cobble, Pebble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화학적 수환경 분석 결과 수온, pH, DO, BOD, EC 항목에서 하천별 모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류상 조사결과 봉선사천에서 총 3과 11종 530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조종천에서 총 4과 12종 293개체, 수동천에서 총 4과 11종 361개체가 채집되었다. 하천별 모두 참갈겨니가 우점하고, 피라미(Zacco platypus)가 아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하천별 모두 각각 6종씩 출현하여 50.0% 이상의 높은 고유종 빈도를 보였다. 군집지수 분석결과 평균 우점도지수는 0.63(${\pm}0.05$, BS)~0.72(${\pm}0.01$, JJ), 평균 다양도지수는 1.55(${\pm}0.06$, JJ)~1.78(${\pm}0.11$, BS), 평균 균등도지수는 0.71(${\pm}0.03$, JJ)~0.76(${\pm}0.02$, BS), 평균 풍부도지수는 1.61(${\pm}0.33$, JJ)~1.73(${\pm}0.24$, SD)의 범위로 분석되어 조사하천별 군집지수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도 분석결과 75.4%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A와 B 두 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으며, 조사지점별 어류상이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량적 서식처 평가 지수(QHEI) 분석 결과 QHEI는 평균 151.0(${\pm}46.0$)으로 양호한 서식처 환경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갈겨니 개체군의 Length-weight 분석 결과 복원 개체군과 원 서식처 개체군의 회귀계수 b값이 3.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비만도 지수 기울기는 양의 기울기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복원 개체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서식처 개체군의 회귀계수 b값 및 비만도 지수 기울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갈겨니 개체군의 Length frequency 분포를 분석한 결과 하천별 모두 안정적인 생활사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상대적으로 1년생 개체군에서 복원 개체군 보다는 원 서식처 개체군의 성장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생식소중량 지수(GSI)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수컷과 암컷 모두 원 서식처인 조종천과 수동천의 개체군 보다 봉선사천 참갈겨니의 GSI median 값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동천에서의 세균의 분포와 생리적 활성도 (Bacterial Abundance and Heterotrophic Activity in Sudong Stream)

  • 최성찬;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2-338
    • /
    • 1988
  • 북한강 수계의 지류인 수동천에서 1986년 7월부터 1987년 3월까지 4개의 정점으로부터 종속영양 세균의 크기와 생리적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총 세균수는 0.8-$25.2\times 10^{5}$ cells/ml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글루코오즈 흡수능 $V_{max}$은 0.006-24.39mg-C/l/hr의 변화폭을 보여주었다. 계절적인 분포에 있어서 $V_{max}$값은 여음에 높고, 겨울에 낫은 뚜렷한 계절적 양상이 판찰 되었으나 콜로니 생성균 수의 변화는 특정적 양상을 볼 수 없었다. 지역적으로는 인간활동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상류 정점에서 세균수와 생리적 활성도가 가장 낮으며, 유기 오염물질이 대량 유입되는 쟁점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수푼을 나타내어 이러한 유입 현상이 전 수동천 생태계의 세균 군집의 크기 및 생리적 활성도의 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이 관찰되었다.

  • PDF

SATEEC 시스템을 이용한 면적/경사도에 의한 유달률 산정 방법에 따른 유사량 분석 (Analysis of Sediment Yields at Watershed Scale using Area/Slope-Based Sediment Delivery Ratio in SATEEC)

  • 박윤식;김종건;김남원;김기성;최중대;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50-658
    • /
    • 2007
  •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has been used in over 100 countries to estimate potential long-term soil erosion from the field. However, the USLE estimated soil erosion cannot be used to estimate the sediment delivered to the stream networks. For an effective erosion control, it is necessary to compute sediment delivery ratio (SDR) for watershed and sediment yield at watershed outlet. Thus, the Sediment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Erosion Control (SATEEC) was developed to compute the sediment yield at any point in watershed. In this study, the SATEEC was applied to the Sudong watershed, Chuncheon Gangwon to compare the sediment yield using area-based sediment delivery ratio (SDRA) and slope-based sediment delivery ratio (SDRS) at watershed outlet. The sediment yield using the SDRA by Vanoni, SYA and the sediment yield using the SDRS by Willams and Berndt, SYS were compared for the same sized watersheds. The 19 subwatersheds was 2.19 ha in size, the soil loss and sediment yield were estimated for each subwatershed. Average slope of main stream was about 0.86~3.17%. Soil loss and sediment yield using SDRA and SDRS were distinguished depending on topography, especially in steep and flat areas. The SDRA for all subwatersheds was 0.762, however the SDRS were estimated in the range of 0.553~0.999. The difference between SYA and SYS was -79.74~27.45%. Thus site specific slope-based SDR is more effective in sediment yield estimation than area-based SDR. However it is recommended that watershed characteristic need to be considered in estimating yield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