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cession Policy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7초

How Does Family Succession Impact Family Firms' Innovation?

  • Ballal, Juili Milind;Bapat, Varadraj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8권2호
    • /
    • pp.302-324
    • /
    • 2019
  • Family business is the oldest and the most prevalent type of entity in the world. In India, 85% of the enterprises are owned and/or managed by families, contributing to two-third of GDP. Thus the survival of family firms, which also generates 79% of private sector employment, is of paramount importance. Effective succession planning and innovation to gain competitive edge are the two key ways to ensure family firm survival. In this paper, the interplay between family succession and innovation is qualitatively studied using case study approach. Successors and Predecessors are interviewed to gain insights in the areas of succession planning and innovation. It is observed that family succession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i.e. the presence of founding family members in the ownership and/or management of the enterpris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on tendency of the family firms. The findings contribute to the family business literature on succession planning and innovation, and their inter-relationship.

소상공인 가업승계 요인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Factors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of Small Enterprise)

  • 최신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40-252
    • /
    • 2022
  • 가족기업의 승계 개념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에서 이루어져 온 반면, 소상공인 가업승계에 대한 논의와 정책적 접근은 거의 이루어진 바 없다. '19년부터 정부차원에서의 소상공인 가업승계 개념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되는 가운데 소상공인 분야에 있어 가업승계에 대한 개념 수립을 위한 연구체계가 필요한 시점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업승계의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소상공인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소상공인 또한 다른 조직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내적 요인인 기업가 정신과 장인 정신에서 파생되는 요인들이 승계를 지속하는데 중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만, 소규모 조직 특성상 체계화나 조직화 이전의 단계로 인해 발생하는 권한의 모호성과 여러 역할을 수행하는데서 발생하는 역할 모호성이 기존 연구와는 다른 요소임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가업승계에 대한 실증 연구에 앞서 소상공인 가업승계에 대한 정의와 개념화를 사례를 통해 제시함으로서 해당 분야의 연구 필요성에 대한 기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수호의 습성천이 현상과 생태적 복원정책 (On the Realities of Hydrach Succession in Brackish Water Lakes and Ecological Restoration Policy)

  • 신승춘;박용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odel of ecological restoration through analysis on the condition of hydrach succession process in brackish water lake. To this study, we investigate and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of brackish water lake in South Korea. Most brackish water lake in South Korea have characteristics that is come into being malignant hydrach succession. Many lakes were reclaimed to increase foodstuff production. And river conservation work seperate lakes from the ocean. In a embryological view, most lakes based on the brackish water lakes, But present lakes show many different types such as a fresh water lake, a salt lake, a brackish water lake, a swamp, and a marshland. As a result, brackish water lakes have greatly damaged by diverse artificial interventions to promote people's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manage brackish water lakes systematically, criteria of lake preservation must be coincide with the present conditions of hydrach succession in each lake.

농가와 농업계 대학생의 영농승계에 대한 인식조사 (A Survey on the Farmers and Agricultural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Farming Succession)

  • 이춘수;강창수;양성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32
    • /
    • 2019
  • Recently farming succession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agriculture in order to secure agricultural manpower in response to the aging of farming households and declining popul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farmers and agricultural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farming succession in Korea, especially of farming succession to a third party. Farmers and agricultural college students are potential farming transferors and successors, respectively. We surveyed 146 farmers and 95 students who graduated or were studying at th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The questions of the survey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1) the will and scope of farming transfer and succession, 2) the requirements for the successors of farming, 3) the perception on the succession to third-parties, and 4) the farming succession polic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41.4% of farmers and 46.3% of potential farming successors have willingness to accept a farming succession to a third party. When farming succession was carried out through the Farming Succession Exchange, 46.8% of farmers and 54.7% of successors said they are willing to carry out third-party farming succession. This means that a third-party farming succession could be activated if the reliability issue that may arise during the farming succession is resolved through the Farming Succession Exchange. Other implications for farming succession are suggested at the end of this study.

청년 농업인 육성지원제도 개선을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for Improvement of Young Farmers Fostering Support Policy)

  • 김진진;이소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2호
    • /
    • pp.29-3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satisfaction level for the improvement of the young farmers fostering support polic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urrent policy to foster young farmers is important. However, the actual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ject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e importance level. In the 'Keep up the Good Work' area, which is the first quadrant, 'a project to support young succession farmers and settling in farming' and 'a project to select and support succeeding agricultural managers'.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highly evaluate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Young Succession Farmers Selection and Farm Settlement Support Project' and the 'Succession Farmers Selection and Support Pro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expand the project in the future.

The Historical Change of Policies on Research Facilities and Equipment of South Korea

  • Hwang, ByungSang;Park, JiYoung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1권2호
    • /
    • pp.148-182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national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 (RFE) policies historically promoted by the Rho administration (2003~2007), Lee administration (2008~2012), Park administration (2013~2016), and Moon administration (2017~2019) in South Korea. By adding new variables such as policy goals and policy means to a model suggested by Hogwood and Peters (1983), policy change types and their flow could be better classified. Korean RFE policies showed various flows in the policy change types instead of a general flow, which is the order of policy innovation -> policy innovation -> policy succession -> policy succession. This finding indicates that each administration could pursue a higher-level policy change purposively. It is highly required to prepare policy development that devotes to organizing and operating a national council, reflecting in the government's comprehensive plan after evaluating policy effectiveness, improving items needed for the RFE status survey, and unifying the research equipment registration.

외국의 농가 경영이양 지원 제도 고찰 (An Implication of Policies for Farm Succession in Foreign Countries)

  • 황정임;최윤지;윤민혜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4호
    • /
    • pp.939-965
    • /
    • 2014
  • 본 연구는 농가 경영이양이 인력 수급이나 구조 개선 등 농산업에서 가지는 의미가 중대함에도 관련 논의나 제도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외국에서 운용되는 경영이양 관련 제도를 고찰하고 향후 보완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농가 경영이양의 개념과 여러 형태를 살펴보고, 국내 및 국외의 경영이양 지원 제도를 검토하였다. 국내외 경영이양 지원 제도를 비교 검토하여 얻은 정책적 시사점으로 첫째, 경영주-승계자 간 경영이양 계획의 수립 지원, 둘째, 경영주-승계자 간 효과적인 경영이양 모델 제시, 셋째, 승계자 없는 농가에 대한 대응방안, 넷째, 농지의 세분화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행동대리인 이론관점에서 가족기업 특성이 승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Distinction in Family Business on CEO Succession Types: A Behavioral Agency Theory Perspective)

  • 김기형;문철우;김상균;이병희
    • 중소기업연구
    • /
    • 제39권1호
    • /
    • pp.1-39
    • /
    • 2017
  • 1960~1970년대 창업했던 경영 1세대들이 평생을 바쳐 일군 기업을 다음세대에 승계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를 맞이하여 가업 승계에 대한 고민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업승계 대상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가족이나 내부직원에게 가업을 승계하는 형태, 매각 또는 외부 전문가 영입 등 다양한 승계형태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해외에서는 가족기업의 가업승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업승계에 미치는 영향요인, 가업승계의 특성, 유형 등 다각화된 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정책 개발 및 가업승계 지원에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가족기업의 가업승계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일반적인 기업승계 형태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및 영향력을 감안하였을 때, 가족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가족기업의 가업승계에 대한 이슈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가이드라인 및 정책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족기업의 가업승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540개 중소가족기업체 자료를 이용하여 Gomez-Mejia와 동료들(2007)이 주장하는 행동대리 이론(Behavioral Agency Theory)관점에서 사회 정서적 가치(SEW) 5영역을 중심으로 가족기업의 주요한 특성이 승계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비 재무적 특성인 기업업력, 사회 공헌의 변수는 가족승계 > 내부승계 > 외부승계 순서로, 지식자산은 내부승계 > 가족승계 > 외부승계 순서로, 가족의 경영참여는 가족승계 > 외부승계 순서로 승계유형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 공헌 특성이 승계유형 선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재무적인 요인인 경영성과나 R&D 투자 변수는 승계 유형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연립경영의 경우 가족승계 확률이 높았고, 연립경영은 R&D 투자, 사회공헌, 기업업력 변수가 가족기업으로 선택하는 것을 강화하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행동대리인 이론이 가업승계에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기업은 사회 정서적 가치(SEW)를 유지하려는 성향이 크며, 일반적인 상장 대기업의 경우와는 달리 중소가족기업에서는 성과 등 재무적인 요인이 아니라 오랜 업력을 바탕으로 축적된 노하우, 사회 공헌 등 비재무적인 요인이 승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가의 가업승계에 실무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정부의 정책 개발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소상공인 가업승계 정책에 대한 경영학적 접근 방안 연구 : 브랜드 차원에서의 정부정책에 대한 논의 (A Study on Business Approach to Small Enterprise Succession Policy : Discuss Government Policy at the Brand)

  • 최신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55-164
    • /
    • 2022
  • 본 연구는 소상공인 가업승계 인증정책이 브랜드로서 어떠한 효과를 지니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소상공인의 경우 소비자 접점에서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만큼, 소비자가 인지하기에 인증정책이 브랜드로서 효과를 지니고 있을 것으로 파악하고 정책이 지니고 있는 브랜드 이미지와 태도, 로열티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영학적으로 논의되는 브랜드 이미지의 세부 요소를 기능과 경험의 두 가지 요소로 분류하고 이와 같은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로 하여금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로열티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상공인 가업승계 인증정책이 지니고 있는 기능적 브랜드 이미지와 경험적 브랜드 이미지 모두 브랜드 태도 형성과 함께 로열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정부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경영학적 측면에서의 파악 필요성과 소비자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 정책이 추구해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닐 것이다. 즉 소비자 접점에서 수행되는 정책에 대해 브랜드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브랜드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일련의 경로를 정책에 적용함으로서 향후 소상고인 분야 연구 확장에 기여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를 지닌다.

가업상속제도 개선방안 (A Study on Inheritance Tax Relief System for Business Succession)

  • 이성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95-101
    • /
    • 2014
  • 최근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을 이끌어온 창업세대가 세대교체를 맞이하고 있으며 그 전환점에 있어서 가업승계가 중소기업 경영자의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국가 경제성장의 주축인 중소기업의 가업승계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세부담을 완화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기 위하여 가업승계에 대한 세제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업상속제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가업승계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업상속 세제지원 혜택시 그 적용대상 재산의 범위는 해당 세제지원 혜택을 제공하는 취지가 잘 반영될 수 있도록 규정되어야 하고, 가업승계 중소기업들은 가업승계 요건을 맞추기 쉽지 않아 제도의 실효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중소기업 현실을 고려한 가업승계 요건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가업상속에 대해 상속세 공제혜택을 제공하는 경우 실질적인 가업 상속에 한해 세제지원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사후 관리 규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