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cessful aging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생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가 성공적인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Condition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University Students on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 하은호;이영미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8-21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effect of current health conditions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Methods: Totally, 273 university students, based across several cities in South Korea, were enrolled for the study.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Statistics 23.0. Results: There were three typ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for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in university students. Its explanatory power of each model was adjusted R2 of .04, 07, and .31 respectively. Major (β=.14, p=.007), health condition (β=.13, p=.028), preparation for old age (β=.52,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Conclusion: Our study results indicate that for university students, diverse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must focus on improving the health condition and enhancing preparation for old age.

A Mixed Methods Study of the Successful Aging of Older Adults in Korea

  • Kim, Eun-Ha;Kim, Kye-Ha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47-5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experiences of successful aging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living in the Korean community using mixed methods. This study is a mixed methods research using convergent parallel design. 483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2 cities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For qualitative data collection, 6 elderly people participated.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for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scored an average of 4.30 ± .59 out of 5 points (4.46 ± .64 for self-efficacy, 4.31 ± .65 for good self-control, 4.29 ± .70 for satisfaction with children's success, and 4.26 ± .61 for partnership with spouses). The main themes of successful aging derived by interview were as follows: 1) fulfill responsibilities of raising children as parents, 2) establish a stable life to overcome difficulties, 3) accept the body being different from the past, and 4) live in harmony with people around them.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useful health care services that can be used in the local community and to provide service utilization information through various routes in order to achieve a successful aging.

중소병원 간호사의 성공적 노후인식, 이직의도 및 노후대책의 융복합적 연구 (A study of convergenc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turnover intention and retirement plans of hospital nurses)

  • 허현점;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337-344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노후 인식정도와 이직의도를 파악하여 성공적인 노후를 위해 안정적인 노후대책의 필요성을 인식 시키고자 시도 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하는 간호사 290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4년 8월 5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되었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One way-ANOVA,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 노후인식과 노후대책 정도는 정적상관관계(r=.13. p=.022)를 보였고, 정서적 노후대책과 성공적 노후인식도 정적상관관계 (r=.16, p=.007)를 보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융복합시대의 간호사들은 안정적인 직장에서 이직하지 않고 입사 하는 시점부터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장, 단기적 관점에서 경제적, 신체적, 정서적 측면에서 노후 대책을 실천해 나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미용학적 관점에서 본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Successful Aging of Middle-aged Women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 김수경;이정은;윤미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682-3690
    • /
    • 2013
  • 본 연구는 미용학적 측면에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주관적 건강 등 성공적 노화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50~64세의 3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으로 분석하였고, 성공적 노화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 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였으며, 다음은 자기효능감, 주관적 건강의 순이었다. 둘째, 이들 변인들이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56.7%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중년여성들은 성공적인 노후를 위해 노화에 대한 능동적인 의식과 더불어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며, 노년을 준비하는 예비 노년층에 맞는 실질적인 교육과 중재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표면적 가치에 중점을 두고 있는 미용의 지식체계에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의 영역이 포함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국민연금 수급액 차이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의 차이 분석 (Difference Analysis of Life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on Difference in National Pension Receipt)

  • 유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70-178
    • /
    • 2016
  • 본 연구는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여 국민연금 수급액 차이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그 후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급액의 차이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나 수급액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고, 성공적 노후를 보내고 있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수급액의 차이는 삶의 만족도에선 유의미하였으나, 성공적 노후에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볼 때, 국민연금 수급이 경제적 안정감을 주어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기반이 될 수는 있으나 성공적 노후로 이어지려면 여가선용과 같은 사회적 지지도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국민연금의 수급액의 만족도는 낮은 편이며, 수급액만으론 생활이 불안정하고 느끼고 있기 때문에 차후에 수급액의 만족도를 높이며, 여가선용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n successful aging of elderly : The Mediating Effects of Verification ego-resilience)

  • 이선화;석말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12-8020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대상은 고양시의 3개동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301명의 노인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21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인구사회학적 변수인 성별, 연령, 종교, 동거인, 직업유무가 사회참여활동에 영향을 나타냈고, 직업의 유무는 성공적 노화에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참여활동 하위변수인 자기개발참여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인의 자아탄력성은 사회참여활동과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자기개발참여활동과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사회참여활동과 성공적 노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재조명 하였다.

노인의 인적·경제·문화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the Elderly's Human,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s on Successful Aging: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Engagement in Social Activities)

  • 한희경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981-997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의 인적자본, 경제자본, 문화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활동참여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3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자본 중 인적자본과 문화자본은 사화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지만 경제자본은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노인자본 중 경제자본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인적자본과 문화자본은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사회활동참여는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노인자본 중 인적자본, 경제자본, 문화자본은 모두 사회활동참여를 매개하여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의 자본과 사회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 Rowe & Kahn 이론을 적용하여 (Study on the Successful Aging of Baby-Boom Generation : Application of Rowe & Kahn's Theory)

  • 전병주;한혜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69-83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전체 인구의 15%를 차지하는 베이비붐 세대가 노년기에 진입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수준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Rowe & Kahn의 이론을 적용하였고,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5차 기본조사와 특별조사의 데이터를 결합하여 총 2,57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0.0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수준(범위: 0~9점)은 $6.36{\pm}1.39$로 나타나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에 따라 성공적 노화로 판단된 비율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용돈 수준, 교육수준, 자녀관계 만족도 등이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의 대표적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Rowe & Kahn의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대해 통합적으로 파악하며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대해 보다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서 성공적 노화에 대한 보다 엄밀한 개념화를 시도하고, 사회적으로 합의된 측정요인을 발굴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iddle-aged People's Retirement Preparation on Successful Aging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정승권;박현승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69-78
    • /
    • 2023
  • 본 연구는 늘어난 노년기를 대비하여 다양한 영역의 통합적인 노후 준비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노후 준비와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민 노후 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 KReIS)의 제3차 조사, 제4차 조사 그리고 제5차 부가 조사에 모두 응답한 50세 이상 64세 미만의 남녀 1,037명을 분석하였다. 중고령자의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IBM SPSS 26 Process Macro Model 4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유의성 검증 결과, 노후 준비는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독립변수인 노후 준비와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가 종속변수인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인 노후 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도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를 통해 성공적 노화를 위한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노후 준비를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여 성공적 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지각, 노화불안, 성공적 노화인식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Health Perception, Aging Anxiety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 Middle-Aged Women)

  • 이은정;성미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1-19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middle aged wo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128 women who were attending a cultural center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July 31, 2016.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3.0 program. Results: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r middle-aged women was different by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religion, exercise, economic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time activities. Health promotion behavio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ealth perception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ging anxiety. Health perceptio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exercise, leisure time activities (exercise and social activity) were verified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unted for 38%.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health perception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influenc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middle age women. It woul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aimed at improv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middle age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