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perception

검색결과 767건 처리시간 0.028초

Awareness Patterns Regarding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n Fields Related to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Focusing on Companies that Must Report Radiation Sources

  • Eunok Han;Yoonseok Cho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19-28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regulatory perceptions, focusing on companies that must report radiation sources. The intent is to reduce the gap between regulation measures and addressing real concerns while improving practical safety management measures and regulations for all stakeholders. Materials and Methods: Radiation safety officers at a total of 244 reporting companies using radiation generators (79.8%) and sealed radioisotopes (15.1%)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and Discussion: The perception that regulation is stronger than the actual risk of the radiation source used was 3.47 points (out of 5 points), indicating a score above averag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considerations were education and training (48%) as a human factor, safety devices of the radiation source (71.3%) as a hazardous material factor, the use of radiation (50.8%) as an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the radiation effect of nearby facilities (67.2%) as a physical environment. Radiation safety management educational experience (F= 5.030, p< 0.01), the group with high subjective knowledge (t= 6.017, p< 0.001), and the group with high objective knowledge (t= 1.989, p< 0.05) was found to be better at radiation safety managem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educational experience regarding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ecause each staff member has individual differences in educational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information on how to solve radiation accidents via educational content. Applying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based on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radiation safety management shown in this survey will help improve safety.

퍼지이론을 이용한 물류단지 입지 및 규모결정에 관한 연구 (Applications of Fuzzy Theory on The Location Decision of Logistics Facilities)

  • 이승재;정창무;이헌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5-85
    • /
    • 2000
  • 기존모형을 이용한 연구들은 최적화기법에 있어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최적해를 도출해내기 위해 목적식이나 제약조건식에 정확한 데이터 값을 입력시켜 최적해를 계산하였다. 또한 현실세계의 불확실하고 주관적인 상황들은 확률적 불확실성으로 간주하여 주관적인 상황들은 배제하였다. 즉, 이러한 최적해는 의사결정자가 의사결정상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영과학적인 방법들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기존모형들의 목적함수를 완전하게 만족시켜 주는 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요량의 변화 및 기타 변수들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었으며, 입지의사결정자에게 입지결정에 대한 정보의 부족 등으로 선택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의사결정분석에서 엄격히 주어진 제약조건하에서의 목적식을 최적화하는 문제로서 제약조건을 반드시 만족시켜야만 했던 기존의 의사결정문제를 바탕으로, 애매한 환경에서의 의사결정을 주관적인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으로 이루어 보려는 의도로 Zadeh교수가 제안한 퍼지이론을 이용하여 물류단지 입지 및 규모결정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형의 현실적 적합성 및 적용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첫째, 입지 및 규모결정시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할 수 없었던 현실세계의 유연적이고 융통성있는 측면을 반영하여 입지 및 규모를 결정해 낼 수 있었으며 둘째, 기존의 입지결정 모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의사결정 상황을 최종의사결정 자에게 다양한 정보 및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었다. 따라서 이 결과가 반드시 최적의 입지를 제시하고 있다고는 단정할 수 없으나 모든 자료들이 빠짐없이 정확하게 모형에 반영될 경우 현실적 상황에서 모형적용이 가능하다고 하겠으며 이 모형은 현실상황에서 발생하는 기타시설의 입지선정 문제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수 있을 뿐 아니라, 평가된 지표가 신뢰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면, 추정된 결과를 보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or objection to the criticism of eating dog meat is that male and female commonly answered most that ′As dog meat food Is our traditional food culture. it is not the problem to be found fault with by others.′ The second reason for that is followed by iris deliciousness.up compared the service quality perception factor of the food service provider. The result was that the group having both the " will buy the service again" and "will suggest to others" criteria, that is, with higher loyalty, tend to have higher points than other group s in the dimension of ′Employee attitude′ and ′ Cleanliness′(p〈0.05), which means these two dimensions are closely related to customer loyalty. 3) From a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ervice quality perception level of the food service provider and overall satisfaction, it has been found that :

  • PDF

한국 성인의 주관적 구취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ubjective Symptoms of a Oral Malodor in Korean Adults)

  • 윤미숙;윤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23-129
    • /
    • 2008
  •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구취 인식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7년 6월부터 8월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주관적 설문 방법을 통하여 275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취에 대한 자각자율을 보았을 때 현재와 평상시 구취를 느낀다고 응답한 성인은 각각 68.4%와 79.3 %이었으며,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한 성인은 각각 31.6%(현재), 20.7%(평상시)로 나타났다. 2. 하루 중 구취를 가장 심하게 느끼는 시기는 자고 일어난 직후가 83.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요 구취부위는 혀가 5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구취의 유형에서 음식섭취 후의 음식 냄새가 37.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공복 시의 단 냄새가 22.5%로 나타났다. 4. 구취가 날 경우의 치료희망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자 중 66.9%의 응답자가 구취치료에 대해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특히 7.3%의 응답자는 치료 요구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식사시기에 따라서 현재 느껴지는 구취의 정도에서 식사한지 1시간 이내의 경우 44.7%가 구취가 안 난다고 응답하였고, 1-2시간은 37.6%, 2-3시간은 16.3%, 3-4시간은 14.8%, 4시간 이상은 23.7%가 구취가 안 난다고 응답하여 식사시기에 따라 구취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일반인들의 구취의 인지여부와 구취의 주요 원인 부위, 또는 문헌을 통한 혓솔질의 중요성과 실시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에 향후 객관적인 구취 측정치를 근거로 구취유발요인과의 관련성을 다각적으로 조사하여 구취인지 유무를 연구, 비교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 더 나아가 구취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저소득층 임신부들의 우유 소비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예측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의 적용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Understand Milk Consumption among WIC Preagnant Women)

  • Kyungwon Kim;John R. Ureda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39-249
    • /
    • 1996
  • 임신기 영양의 중요성이 널리 말려져 있지만, 여러 연구 결과를 보면 미국내 저소득층 임신부들에게서 식이 깎숨의 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IC 프호. 프로그램에 참여 자격이 있거나 가입한 임신부른 대상으로 이들의 우유 소비 의향과 실제 소비에 영향은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사회과학에서 유래된 행동 설명 이론인 Theory of Planned Behavior 를 석용하여 이 이 론이 영양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한지 조사하였다. 횡단작 survey플 이용하여, 우유 쏘비 의향파 실제 소비, 그라고 요인으로 우유 소비와 관련된 개인의 태도. 주위인과 사회적 영향, 우유 소비와 관게된 통 세력(자신김), 가정내의 우유 배분을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112멍익 임신부를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과 인터뷰를 통해 작성하였고‘ 본 설문 조사에는 보건소내 산전 관리 클리닉을 방문한 180명의 임신부가 참 여하였다 자료는 주로 증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론에 제시된 비와 같이 우유 소비 의향과 실제 소비에 대한 두가지 다른 모델을 테스트하였다 가정내의 우유 배분 정도는 이 이론내의 construct는 아니지만 우유 소비를 설명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이론내 세 변수, 즉 개인의 태도, 주위인괴 사회적 환경, 통제력 모두 소비 의향과 관련이 있었으며(소비 의향의 36.2% 변동 설명) 이 중 통제력이 소비 의향을 나타내는데 가장 중요했다 또한 이론 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소비 의향과 통제력은 실제 소비와 유의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나, 가정내의 우유 배분은 임신부의 우유 소비와 상관이 없었다(실제 소비의 44.6% 변동 설명) 본 연구 결과, 우유 소비 행동에 대해 본인이 느끼고 있는 통제력내지 자신감이 소비 의향과 실제 소비를 설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것 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영양행동올 설명하는데 Theory of Planned Behavior가 유용하다 고 할 수 있다 우유 소비에 대한 통제력은 실제 소비보다는 익향을 설명하는데 그 역할이 더 컸다. 임신부의 우유 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한 interventions에서는 행동에 대한 통제력의 증가(즉 자선감익 증진), 신념의 변화로 인한 우유 소비에 대한 개인의 태도 변화, 임신부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위인들에게서 식행동이 변화될 수 있게 도움을 구하는 방법등 다양힌 전략을 세우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산업장 근로자의 주관적 인식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Subjective Awareness and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 Industrial Workers)

  • 박지현;윤현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5-243
    • /
    • 2012
  • 이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가 인지하는 구강 증상 및 전반적 건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실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구강건강증진사업 및 산업구강보건제도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며, 2011년 8월 8일부터 8월 31일까지 경상북도 소재의 대한산업보건협회에서 건강검진을 받는 산업장 근로자 총294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자 중 30대가 38.9%, 여자는 20대가 39.3%를 차지하여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고 (p<.000), 근속년수는 남자가 3년 미만이 29.8%, 여자는 3-5년이 35.0%를 차지하여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다(p<.05). 학력에서는 남자는 대졸 39.7%, 여자는 전문대졸 49.7% 로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고(p<.000), 결혼유무에서는 남자가 미혼 57.3%, 여자는 기혼 52.1%로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으며(p<.05), 가구소득에서는 남자가 200-299만원 33.6%, 여자는 300-399만원 26.4%로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다(p<.05). 2. 구강내 관련 증후 및 증상은 '혀 또는 입 안쪽 뺨이 욱신거리거나 아픈 경우'가 남녀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는 70만점에 남자가 52.34점, 여자가 51.11 점으로 남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4. 전반적 건강상태에 따른 OHIP-14는 기능적 제한영역, 신체적 동통영역, 정신적 불안영역, 신체적 장애영역, 정신적 장애영역, 사회적 장애영역 및 사회적 분리영역 모든 세부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5.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OHIP-14는 '건강한 편이다' 57.27점으로 가장 높았고, '매우 건강하다' 52.75점, '보통이다' 52.40점, '건강하지 않다' 49.24점, '매우 건강하지 않다' 42.5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6. 구강내 증후 및 증상에서 따른 OHIP-14는 불편감이 적은 군에서 52.89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00), 세부적으로는 기능적 제한에서 3.61점(p=0.008), 신체적 동통에서 3.52 점(p=0.000), 정신적 불안 3.79점(p=0.000), 정신적 장애 3.90점(p=0.000), 사회적 장애 3.87 점(p=0.002), 사회적 분리에서 4.06점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0). 결론적으로 구강내 증후 및 증상이 적을수록, 전반적인 건강상태 및 구강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함으로써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다고 평가되었다. 산업장 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근로자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교육매체와 적합한 교육방법, 구강검진과 계속구강건강관리와 같은 산업구강보건제도의 체계화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식습관 및 구강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ess Perception Level on Dietary Habits and Oral Health Behaviors in Adolescents)

  • 박지영;김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117
    • /
    • 2016
  • 이번 연구는 생애 과도기이자 입시 스트레스를 비롯한 여러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식습관과 구강보건행태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전라북도 일부 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장 높은 스트레스 유형은 학업 스트레스로 $3.09{\pm}0.89$를 보였고, 그 다음은 가정(가족) 스트레스가 $2.85{\pm}0.84$로 나타났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치과의료기관을 이용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는 본인의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생각하거나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치과의료기관을 방문할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치과의료기관을 방문할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이 규칙적인 식사를 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p<0.01).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식성 식품을 섭취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성적이 중위권인 학생들이 우식성 식품을 섭취의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나(p<0.01), 상위권인 학생들은 우식성 식품의 섭취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식습관과 구강보건행태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내므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해 학교 내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구강보건교 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전 신도시 일부 아파트지역 교통소음의 특성과 주민생활에 미치는 영향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Noise and Its Effects on Inhabitants' Life at an Apartment Area in Taejon City)

  • 박찬호;장성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4-102
    • /
    • 1999
  • To estim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noise on inhabitants' life in an apartment area at Taejon, noise levels and traffic volume of major roads were measured. 203 housewives were surveyed by questionaires including general factors, noise related factors and three items of life effects: subjective evaluations on the general environment, annoyance, and life disturbance due to environmental noise. At the boundary adjacent to the road with more traffic volume, noise level was higher; according to the time, the amount of noise level was in the morning, in the evening, at noon, and at night in order. Most of boundary noise levels were higher than those of recommended standard environmental noise levels in a residential area. The boundary noise level showed a very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with traffic volume of near roads. Noise level difference in the apartments adjacent to three roads was ranged 2.4~6.7dB between in windows open and close state. The apartments adjacent to 9 lane or 6 lane-road, which were protected by noise prevention wall and 20m or more distance from the roads, showed higher noise level at middle floors and high floors than those of low floors; but the buildings adjacent to 4 lane-road, with no protection, showed higher noise level at low and middle floors than those of high floors. Among 203 housewives, 120(59.1%)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86(73.2%) of them answered that the most serious environmental noise was traffic noise from near roads. Comparing traffic noise levels with those of before-migration, 67.0% participants found the environmental noise became louder. Fifty eight(49.5%) of the participants wanted noise protection wall and 15(25.9%) of them were willing to charge the fee. Less perception on the present noise comparing to those before-migration, less traffic volume, and lower noise levels in the apartments were related to higher scores of self-evaluation on the environment. Higher susceptibility on the present noise, areas with more traffic volume, higher boundary noise levels, and higher noise levels showed higher scores of annoyance on environmental noise and life disturbance. Considering above all things, it was suggested that traffic noise in this area was the major problem of environmental noise, and its' effect was so serious that inhabitants needed some preventive measures for better life quality.

  • PDF

정량적 감각 검사: 한국인에서의 연령별 정상 범위 및 당뇨병성 다발신경병증에서의 유용성 평가 (Quantitative Sensory Test: Normal Range in Korean Adults and Application to Diabetic Polyneuropathy)

  • 김수현;안석원;김성민;홍윤호;박경석;성정준;이광우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2권1호
    • /
    • pp.21-26
    • /
    • 2010
  • Background: Although quantitative sensory test (QST) is being used with increasing frequency for measuring sensory thresholds in clinical practice and epidemiologic studies, there has been no age-matched normative data in Korean adul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ue of QST in diabetic polyneuropathy with normal range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Computer Aided Sensory Examination IV 4,2 (WR Medical Electronics Co., Stillwater, Minnesota, U.S.A.), with 4,2,1 stepping algorithm was used to determine vibration and cold perception threshold in 70 normal controls and 19 patients with diabetic polyneuropathy aged from 21 to 79 years. The data were used to define age-matched upper and lower normal limits and normal range of side to side difference. We also evaluated the duration of diabetes, serum HbA1C level, and findings of nerve conduction study (NCS) and QST in patients with diabetic polyneuropathy. Results: In normal adults, sensory thresholds slightly increased with age, and a slight side-to-side difference was observed.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QST was not higher than NCS in patients with diabetic polyneuropathy (36.8% vs. 42.1%, p=0.716), especially among elderly patients. Conclusions: QST might be used as a complementary test for NCS in the diagnosis of diabetic polyneuropathy. Although the QST is a simple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peripheral nerve function, there are some limitations. Most of all, because the QST measuring is dependent on the subjective response of patients,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cooperation of the patients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result. And thus, attention should be paid during the interpretation of QST results in patients with peripheral neuropathy.

역할스트레스와 개인 창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창의적 자아효능감과 자기주도성의 매개역할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Personal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s of Creative Self-Efficacy and Personal Initiative)

  • 허명숙;천면중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2권2호
    • /
    • pp.51-83
    • /
    • 2013
  • Personal creativity is critically important for organizations seeking to survive and thrive in today's highly turbulent business environments. Organizations must effectively identify and mobilize the creative resources of their members. When organizational members perceive a work environment that restricts or fails to encourage individual creative expression, a gap may exist between the level of individual creative potential and the actual amount of individual creativity practiced within the organization.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will examine the impact of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creative self-efficacy, and personal initiative on personal creativity. Creative self-efficacy is the subjective belief in one's personal ability to be creative, that is, a personal assessment of one's own creative potential. A strong internal belief in one's ability to successfully engage in creative behaviors is generally considered an important part of the creative process. Personal Initiative refers to behaviors, mainly directed toward work and organizational issues, that ar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aspects: self-starting, proactive, and persistent in overcoming barriers. Creativity-related creative self-efficacy and personal initiative are critical components to understand motivation that coordin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behavior of individual employees. Based on role theor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s the two key ingredients of role stress. Role ambiguity is defined as an evaluation about the lack of salient information needed to perform a role effectively. Role conflict results from two or more sets of incompatible demands involving work-related issues. Employees are usually pursued work-roles more than one in work-focused organization. Too many work-roles and perceived uncertainties at employee's work can be obstacles to personal creativity. In an analysis of results, while role conflict is not negatively related significantly to creative self-efficacy, role ambiguity is negatively related significantly to creative self-efficacy. While role conflict is significantly related to personal creativity, role ambiguity is negatively related significantly to personal creativity. Creative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among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initiativ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and employee creativity. This paper shows that creative self-efficacy and personal initiative are the driving force behind personal creativity. Organizations can get some implications of creative-related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that employees have experienced. As a result, organizations must not only encourage creativity of employees by greater involvement but also encourage their input towards their-focused own works and tasks. And employees should be developed to pace with the organizational needs and development. Management must enable employees to think of new ideas and practices that promotes personal creativity.

치과 건강보험 교육이 자격증 취득에 미치는 영향 (preference of dental insurance-related and dental health insuranc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 손은교;김영진;정화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386-39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을 앞둔 치위생(학)과 졸업생의 치과 건강보험에 관한 인식조사 및 치과 건강보험 수업의 운영에 있어서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수업의 구성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생각과 치과 건강보험 전문치과위생사 자격 도입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4.0을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이 희망하는 치과 건강보험 수업은 한 학기 수업 69명 (56.1%)이고, 수업 방식은 이론수업을 더 선호했으며 63명 (51.2%), 취업시 가장 필요한 자격증으로는 '치과 건강보험 청구사' 96명 (78%)이 선택했다. 또한 치과 건강보험 청구하는 적당 직종으로는 93명 (75.6%)이 치과위생사를 선택하였다. 요인 분석을 시행한 결과 2가지 요인을 추출할 수 있었고, 상관계수는 0.01 수준 (양쪽)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치과 건강보험 주관적 이해도, 치과 건강보험 청구인식 의지가 교육 이수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32.8%의 설명력을 나타냈고, 교육 이수 의지가 자격증 취득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22.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치과 건강보험교육을 이수하려는 학생들의 의지가 취업에서 경쟁우위를 달성하기위한 자격증 취득 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치과보험교육의 방법과 수업시간 분배 등의 변화와 국가에서 시행하는 치과 건강보험 전문 치과위생사 자격 도입 등 제도적 개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