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mental health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9초

노인의 악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19년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Factors of Hand Grip Strength in the Elderly -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9) -)

  • 김성민;박정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6-54
    • /
    • 2022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악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2019년도 제8기의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복합표본을 이용하였다. 1,470명을 대상으로 이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남자이거나, 연령이 70-74세나 65-69세, 주관적 건강상태가 보통이거나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 악력 저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교육수준이 초졸 이하나 중졸인 경우, 수면시간이 9시간 이상으로 과다인 경우 악력 저하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에 악력에 영향 미치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1차 예방 활동으로서 악력을 증진하기 위한 노인 대상의 보건정책이나 건강증진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근린공원에 대한 환경지각이 이용자의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 in Neighborhood Park on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 Focusing on 8 Neighborhood Parks in Changwon City -)

  • 박영은;이우성;정성관;박경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4-68
    • /
    • 2015
  • 본 연구는 근린공원에 대한 이용자의 공원지각환경이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별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먼저 공원별 공원지각환경에서는 대부분의 공원이 집에서 공원까지의 거리와 집에서 공원까지의 길 환경이 높게 평가된 반면, 수공간과 공원 내 다양한 볼거리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23개의 지각환경 변수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경관성, 안락성, 접근성, 활동성, 편의성, 쾌적성의 6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토대로 건강증진인식과 지각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8개 공원 중 4개 공원에서 지각환경요인이 신체적 건강증진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접근성과 활동성이 3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또한, 심리적 건강증진인식의 경우, 8개 공원 중 5개 공원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이 4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기존의 공원 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공원을 조성하고자 할 때 효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골관절염이 동반된 고혈압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Factor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Hypertensive Seniors with Osteoarthritis)

  • 김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69-18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고혈압 노인의 골관절염 동반에 따른 삶의 질 정도와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전국 단위 표본에서 추출된 65세 이상 노인 843명이었다.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Rao-Scott 카이제곱 검정, t-검정,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혈압군에 비해 골관절염 동반 고혈압군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다(t=5.07, p<.001). 고혈압군의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제한이었으며 설명력은 46.1%였다(F=12.33, p<.001). 골관절염 동반 고혈압군은 성별, 배우자 동거상태, 경제활동,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제한, 체질량지수, 수면시간, 스트레스 인지, 우울이었으며 설명력은 44.6%였다(F=99.82, p<.001). 연구 결과에 따라 향후 고혈압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건강상태의 긍정적 수용 및 활동제한 최소화를 위한 중재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골관절염 동반 고혈압 노인에게는 추가적으로 체질량지수 관리를 위한 운동 및 영양교육과 정신건강을 강화할 수 있는 다학제 참여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가 필요하다.

의료기관 여성 행정직원의 상태불안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A Study on the Convergent Factors Related to the State Anxiety of Female Administrative Staff in Medical Institution)

  • 김승희;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313-320
    • /
    • 2019
  • 본 논문은 의료기관의 여성 행정직원의 상태불안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임의로 선정된 J지역 24개 의료기관의 여성 원무행정직 226명에 대하여 2018년 7월 4일부터 2018년 7월 25일까지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주관적행복감이 낮을수록, 직무소진의 하위영역인 냉소가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상태불안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57.3%이었다. 연구결과를 볼 때, 의료기관 여성 행정직원의 상태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주관적행복감을 높이고, 직무소진의 하위영역인 냉소를 낮추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기관 여성 행정직원의 상태불안을 낮추는 병원직무관리 및 정신보건교육에 활용될 수 있다. 추후연구에서는 의료기관 여성 행정직원의 상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방정식모형의 개발 및 해석이 필요하다.

영화방송예술분야 종사자의 직업안전보건 특성 및 건강 보호방안 연구 (Research on the Health Prot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Working Conditions and Occupational Safety & Health in the Film and Television Artist)

  • 이관형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7-24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veral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engaged in the field of the film and television artists, an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profession and working environment, safety recognition and education, safety activities, accident experience, and job stress survey.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s to be used for 302 worker directly interview research. Safety awareness level of himself or herself was "middle level" of 3.1 points. Those of colleagues and the general public were evaluated to be low as 2.8 points and 2.5 points, respectively. During the last 12 months, 4.6% of total workers have received an industrial safety health education for work-related accident or disease. Regarding cases of having experienced work-related accident or having been exposed to work-related disease over the past 1 year, 20.2% of total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accident. 16.2% of total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work-related disease. And the workers are approximately one's own subjective feeling of physical symptoms that have appeared. In addition, the film sector workers in particular occupations men than women have higher job stress. Preventive education for industrial safety is required to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Safety education is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prevent, and to reduce accident. Safety and health guideline is required to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in order to prevent accident in advance. Finally, the actor and their staff members to reduce the stress, mental health care and education carefully needs to be in parallel. Also, when taking measures to reinforce safe work environment, it needs to be protec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Number of Teeth, Salivary Flow Rat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 Lee, JooHee;Jung, Hyo-Jung;Min, Yong-Guang;Ahn, Hyung-Joo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6권4호
    • /
    • pp.131-135
    • /
    • 2021
  • Purpose: Depression is a condition that weakens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reduces quality of life. In Korea,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s 29.2% and depression is a considerable public health concern for the elderly. Depress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ral conditions such as number of teeth and salivary flow rat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 is the concept including subjective evaluations of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aspects of oral health. Tooth loss and hyposalivation can affect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r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number of teeth, salivation, OHRQoL,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in Korea. Methods: We recruited 100 participants, aged over 65 years, and assessed their number of teeth,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All participants filled out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OHIP-14) and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ore (SDS) for checking OHRQoL and depressive symptoms.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R program. Results: We foun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HIP-14 and SDS after Mann-Whitney test (p=0.03). The lower SDS group had an OHIP-14 median score of 4.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SDS group had a median value of 7.5. The other factors (number of teeth and salivary flow rate) did not show correlations with OHIP-14 or SDS. Conclusions: OHRQoL and depressive symptoms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노인 장기요양보험급여 이용자들의 삶의 질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의 관련성 (Quality of Life and Its Association with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in the Elderly People Affiliat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 김형선;박재영;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808-3819
    • /
    • 2010
  •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 인정자로 판정받은 노인들의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중 2008년 7월부터 실시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해 장기요양인정자로 판정받은 노인 958명(1등급 305명, 2등급 323명, 3등급 330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09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 평균점수는 $55.4{\pm}15.62$점이었으며, 장기요양등급별로는 1등급이 $49.7{\pm}14.17$점, 2등급이 $56.8{\pm}14.62$점, 3등급이 $59.4{\pm}16.36$점으로 등급이 높을수록 삶의 질 점수는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장기요양등급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에서는 교육정도, 월수입,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및 인지기능장애가 1, 2, 3등급에서 공통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5~62%로 비교적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치매환자를 돌보는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이 건강지각과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aring burden of Caregivers who manage Dementia patients on the Health perception and Somatic symptoms)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27-440
    • /
    • 2018
  • 본 연구는 치매환자를 돌보고 있는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을 알아보고, 케어부담감이 신체증상과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요양보호사 174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였다. 자료분석은 t-test 및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effe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케어부담감은 "중상", 신체증상은 "중간"수준으로 나타났고, 건강은 좋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주관적 안녕감은 낮게 나타났다. 케어부담감은 신체증상(r=.157, p<.05), 신체증상은 지각된 건강과 양의 상관관계(r=.220, p<.01)를 보였고, 신체증상과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요양보호사 근무동기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연구결과를 근거로 요양보호사의 근무지에 따른 케어 부담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해보는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반복연구를 수행해 볼 필요가 있겠다.

안정화된 만성 조현병 환자에서 강박장애 증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omorbid Obsessive Compulsive Symptoms on Quality of Life in Stable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 문정윤;강석훈;석정호;김찬형;김태용;최진희;소형석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1-147
    • /
    • 2017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orbid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OCD) and quality of life in stabl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 We interviewed 162 symptom-stable inpatients who have been on a constant dose of antipsychotics for at least 3 months prior and diagnosed as chronic schizophrenia. Subsequently,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OCD as evaluated using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DSM-IV). Further, all clinical and demographic data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To investigate potential interrelationships, the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 (Y-BOCS), Korea-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Scale (K-PANSS), Korean Modification of the Scale to Measure Subjective Well-Being under Neuroleptic Treatment (KmSWN) and Korean Version Quality of Life Scale (K-QOLS) were performed.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compare group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BOCS and quality of life. Results : Schizophrenia patients with OCD showed significantly earlier onset of schizophrenia, more severe psychiatric symptoms and lower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ose without comorbid OCD. OCD might be associated with lower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a. Conclusion : Schizophrenia patients with OCD showed lower quality of life than those without OCD. In the treatment for schizophrenia, evaluation of OCD might be neede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social function.

사상체질에 따른 수면의 질과 피로 및 삶의 질 관련성 (Effect of Sleep Quality o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 a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erspective)

  • 박지은;문수정;이시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7-44
    • /
    • 2020
  •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an association between poor sleep and various symptoms and diseases, such as fatigue, obesity, depression, and anxiety. The effects of poor sleep may differ by age and sex. In addition, sleep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s may vary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al typ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sleep quality, fatigue, and quality of life and to assess whether these differ by constitutional type. Participants were individuals aged 40-69 years living in two Korean communities in 2012-2014. Sleep quality, fatigue,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the Fatigue Severity Scale, and the 12-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respectively. The effects of total PSQI score and PSQI component scores were analyzed using a generalized additive model. A Korean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Sasang constitution. Data for 5,793 participants were analyzed. Poor sleep quality was related to greater fatigue, and lower physical and mental quality of life. The PSQI components including subjective sleep quality, sleep latency, sleep disturbances, use of sleep medications, and daytime dysfunction were associated with fatigue and physical and mental quality of life. Sleep qual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So-Eum compared to So-Yang and Tae-Eum. PSQI component scores for fatigue and quality of life differed significantly by Sasang constitution: for Tae-Eum, sleep latency and use of sleep medications; for So-Eum, daytime dysfunction; and for So-Yang, use of sleep medications and daytime dysfunction. The effects of different aspects of sleep quality differ by Sasang constitution. To improve sleep quality, interventions need to be tailored to constitutional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