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Sleepines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Proposed Data-Driven Approach for Occupational Risk Management of Aircrew Fatigue

  • Seah, Benjamin Zhi Qiang;Gan, Wee Hoe;Wong, Sheau Hwa;Lim, Mei Ann;Goh, Poh Hui;Singh, Jarnail;Koh, David Soo Quee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4호
    • /
    • pp.462-470
    • /
    • 2021
  • Background: Fatigue is pervasive, under-reported, and potentially deadly where flight operations are concerned. The aviation industry appears to lack a standardized, practical, and easily replicable protocol for fatigue risk assessment which can be consistently applied across operators. Aim: Our paper sought to present a framework, supported by real-world data with subjective and objective parameters, to monitor aircrew fatigue and performance, and to determine the safe crew configuration for commercial airline operations. Methods: Our protocol identified risk factors for fatigue-induced performance degradation as triggers for fatigue risk and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ments of sleep, fatigue, and performance in the form of instruments such as the Karolinska Sleepiness Scale, Samn-Perelli Crew Status Check, Psychomotor Vigilance Task, sleep logs, and a wearable actigraph for sleep log correlation and sleep duration and quality charting, a workflow flagging fatigue-prone flight operations for risk mitigation was developed and trialed. Results: In an operational study aimed at occupational assessment of fatigue and performance in airline pilots on a three-men crew versus a four-men crew for a long-haul flight, we affirmed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our proposed framework and approach, the validity of the battery of assessment instruments, and the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fatigue and work performance indicators to enable the formulation of safe work recommendations. Conclusion: A standardized occupational assessment protocol like ours is useful to achieve consistency and objectivity in the occupational assessment of fatigue and work performance.

코막힘으로 인해 양압기에 적응하지 못한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시행된 코수술 1례 (A Case of Nasal Surgery for a Positive Airway Pressure-Intolerant OSAS Patient Due to Nasal Obstruction)

  • 정재현;선상우;홍승노;최지호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2호
    • /
    • pp.97-99
    • /
    • 2016
  • Positive airway pressure (PAP) is currently recommended as a primary treatment for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and positively affects various subjective and objective parameters related to OSAS, such as the apnea-hypopnea index,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blood pressure. However, PAP also exhibits various adverse effects, including skin breakdown, pressure intolerance, claustrophobia, unintentional mask removal, mouth leaks, and dryness. Especially, unintentional mask removal due to nasal obstruction may result in poor PAP compliance. A 47-year-old male patient with severe OSAS who had low PAP compliance due to nasal obstruction underwent nasal surgery. After the surgery, nasal obstruction was corrected and the patient experienced improved PAP compliance (from 30.4% to 86.7%). This case demonstrates that nasal surgery may be useful for improving PAP compliance in OSAS patients with nasal obstruction.

중풍환자의 불면에 대한 산조인 단미(안심산)의 유효성 및 적응증 평가 (Effectiveness of Zizyphus seed (Ansim-san) for Insomnia in Stroke Patients)

  • 정기현;노기환;이대식;문상관;조기호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01-106
    • /
    • 2001
  • Objectives : Zizyphus seed has long been used in hypnotics and sedatives in oriental medicine, and it is reported that the Zizyphus seed elicited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actions besides CNS depression. We did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Zizyphus seed (Ansim-san) for insomnia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o 41 stroke patients suffering from insomnia, we administered the extract of Zizyphus seed (Ansim-san). Outcome measures were subjective in nature and included a morning questionnaire, visual analog scales, and observation forms by study personnel. We also, to find the applicable symptom-complex of Zizyphus seed (Ansim-san), examined accompanying symptoms. Results : 1. Zizyphus seed extract use meant that sleep latency was shorter, total sleep time was longer, number of wakenings was lower, wake time during sleep was shorter, sleep quality was improved, condition upon awakening was improved, ability to concentrate was improved, and the patients fell asleep more easily (P<0.00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orning sleepiness. 2. Among accompanying symptoms, an oppressed feeling in the chest was significant (P=0.035) in the patients who improved sleep quality.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clinical study suggest that in stroke patients, Zizyphus seed (Ansim-san) can be effective for insomnia, and significantly effective in patients who have an oppressed feeling in the chest.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순응도 (Compliance of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최종배;이승희;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3권1호
    • /
    • pp.27-32
    • /
    • 2006
  • 목 적:이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nCPAP)의 순응도를 조사하고, 순응도를 좌우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게 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1995년 1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수면다원검사실에서 nCPAP 처방압력 측정 검사를 받은 모든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열람하여 연령, 성별, 학력, 체중, 신장, 호흡장애지수, 평균 산소포화도, nCPAP 처방 압력, 이비인후과 수술여부, 주간 졸림 여부, 고혈압의 병력 등을 조사하였고, 환자들을 외래에서 직접 면담하거나 주소지로 전화하여 nCPAP의 구입여부, 현재 nCPAP 치료 여부, 사용기간, nCPAP 중단 이유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대상 환자 120명 중 83명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83명 중 60명은 nCPAP 기기를 구입하였고 23명은 nCPAP을 구입하지 않았는데, nCPAP 기기를 구입한 환자들은 주간 졸림증이 있었고 학력이 높았다. nCPAP 기기를 구입한 60명 중에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환자들은 26명(43.3%)이었고 나머지 34명(56.7%)은 사용을 중단하였는데, 가장 큰 중단 사유는 마스크의 불편(26.5%)이었고, 그밖에 소리가 시끄러움(17.6%), 다른 방법으로 해결(17.6%), 코가 막히고 입이 마름(11.8%) 등의 순이었다. 치료를 중단한 환자들 중 25명(73.5%)이 치료를 시작한 후 3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중단하였으며, 31명(91.2%)이 1년 내에 그만 두었다. nCPAP을 6개월 미만으로 사용한 25명(41.7%)과 6개월 이상 사용한 35명(58.3%)간에 성별, 연령, 호흡장애지수, 평균산소포화도, 처방압력, 이비인후과 수술 여부, 체질량지수, 고혈압의 병력, 주간졸림 여부, 학력 등을 비교하였는데, 주간 졸림 여부에서만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고, 나머지 변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이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nCPAP 순응도가 외국의 연구에 비해 다소 낮고, 초기 주간 졸림의 여부가 nCPAP의 장기 사용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초기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환자들이 장기적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nCPAP 치료를 할 때 환자를 적절히 선택하고 교육을 지속적으로 해야 nCPAP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 PDF

알코올의존 환자에서의 수면장애에 대한 아침 광치료의 임상시도 (Open Clinical Trial of Morning Light Therapy in Sleep Disturbance of Alcohol Dependent Patients)

  • 고영훈;조숙행;전승규;김병규;권성민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2호
    • /
    • pp.196-204
    • /
    • 2003
  • 연구목적: 알코올의존 환자의 수면 장애에 대한 치료에 있어서 기존의 진정수면제 등의 약물은 교차 내성을 일으키고, 수면의 질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광치료는 일주기리듬장애, jet-lag, 순환제교대근무에서 나타나는 수면장애와 노화와 관련된 수면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인 비약물적 치료중재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미 여러 질환의 수면장애에 시도되고 있던 광치료의 회복기 알코올의존환자의 수면장애에 대한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알코올 금단 증상을 보이지 않는 13명의 알코올의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2500Lux의 광상자로 하루에 오전 1시간 씩 3일에 걸쳐 광치료를 시행하였다. 총수면시간, 실제수면시간, 수면잠복기, 수면효율, 각성빈도 등을 수면기록지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visual-analogue scale을 통해 주관적인 수면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오전 8시, 오후 2시, 오후 8시 3차례에 걸쳐 연구대상자의 졸림 정도를 스탠포드졸림척도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visual-analogue scale을 통해 불안, 우울 기분 및 피로감을 평가하였다. 수면상태를 반영하는 수행 능력의 평가를 위하여 기초단계와 연구 4일째에 기호잇기검사(trail making test)A, B 및 기호바꿔쓰기검사(digit symbol substitution test)를 시행하였다. 각 측정값은 반복측정분산분석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수행능력의 평가는 사전사후차이검증을 이용하였다. 결 과: 수면기록지로 평가된 수면잠복기, 수면효율은 광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초 단계에 비해 연구 1일째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면에 대한 만족도도 광치료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연구 1일째부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오후 2시에 평가된 졸림은 광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오전 8시에는 광치료에 따라 졸림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오후 8시에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기호잇기검사와 기호바꿔쓰기검사에서 환자들은 광치료 전후 수행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Visual analogue scale에 의한 피로감의 평가에서 오후 2시와 오후 8시에 광치료에 따라 유의하게 피로감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우울기분과 불안은 광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금단 증상에서 회복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알코올의존 환자들에 있어 비록 제한적이지만 광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임상 실제에서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수면장애에 단기간의 광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도구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추후 보다 객관적인 수면 평가 도구를 이용한 장기간의 대조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순환제교대근무자에서 야간 근무 적응에 대한 광치료 효과 (Effect of Bright Light Exposure on Adaptation to Rapid Night Shift : A Field Study of Shift Work Nurses in Psychiatric Ward)

  • 고영훈;조숙행
    • 수면정신생리
    • /
    • 제9권1호
    • /
    • pp.41-47
    • /
    • 2002
  • 목 적 : 여러 모의 연구(simulated study)에서 순환제 교대근무자의 야간 근무에 따른 수면장애와 작업수행의 어려움에 대해 광치료가 치료적 도구로 제안되고 있어 실제 순환제 교대 근무 환경에서의 야간 근무 동안 광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인 5명의 병동 근무 간호사들은 기초평가단계 동안 연속적인 3일간의 낮 근무 후 650 lux의 실내 조명 하에서 연속적인 3일간의 야간근무를 하도록 계획되었으며, 2주 후의 광치료시행단계에서는 동일한 순환주기로 근무하는 동안 자정부터 오전 4시까지 2500 lux의 광박스를 이용한 광치료를 시행하였다. 야간근무 후의 낮수면은 actiwatch를 이용하여 평가되었으며 야간 근무 동안은 스탠포드 졸리움 척도를 이용한 각성상태, 고막체온, STIM을 이용한 수행능력 및 visual analogue를 이용한 우울감, 불안감, 신체적 불편감, 피로감을 기초평가단계와 광치료시행단계 각각에서 야간근무 첫째날과 셋째날을 비교평가하였다. 결 과 : 야간근무 후의 낮 수면은 기초평가단계와 광치료 시행단계 모두 야간 근무 1일째와 3일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주기리듬의 위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된 고막 온도는 야간근무 3일째에 기초평가단계에서는 위상전진을 나타낸 반면 광치료시행단계에서는 위상변화가 없었다. 또한, 각성상태, 우울감, 불안감, 피로감, 신체적 불편감, 졸리움 등의 변화도 기초평가단계에서 야간근무 3일째에 유의하게 악화된 반면 광치료시행단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주의력에서는 광치료시행단계에서만 야간근무 3일째가 1일째에 비해 유의하게 호전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위약효과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실제근무 환경에서 단기간의 광치료가 순환제 교대근무자들의 주간 수면의 질을 뚜렷하게 변화시키진 않았으나, 야간 근무동안 졸리움 감소와 주의력 향상을 통한 야간 업무 수행능력의 호전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주의력 결함 및 수면다원검사 특징 (Attention Deficits and Characteristics of Polysomnogram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 이유경;장문선;이호원;곽호완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6권3호
    • /
    • pp.557-57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obstructive sleep Apnea, OSA)의 연령수준에 따른 주의력 결함 특성을 알아보고, 이들의 주의력 결함이 어떤 수면다원검사 지표들과 관련이 있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두 하위 연령집단 및 정상군에 대해 전산화 주의력측정검사인 연속수행과제와 변화맹시과제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수면다원검사의 하위 지표들을 추출하고 주관적 주간 졸음을 측정하는 엡워스 주간 졸리움 척도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OSA군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연속수행과제에서 누락 오류와 오경보 오류의 수가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변화맹시 과제에서 정반응률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OSA군의 주의력 결함은 수면다원검사 지표들 중 저산소혈증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OSA군은 부주의하고, 반응 억제에 어려움을 보이며, 환경적 자극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변화를 탐지하는데 결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의력 결함의 정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주의력 결함과 비가역적 대뇌 손상을 초래하는 저산소혈증과의 관련성은 OSA 환자의 인지기능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조기치료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과도한 주간 졸림과 탈력발작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발견된 갑상선 중독증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se Confounding with Thyrotoxicosis)

  • 정재경;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1호
    • /
    • pp.40-44
    • /
    • 2011
  • 기면병은 과도한 주간 졸림, 탈력발작, 수면 분절화, 입면환각의 특징을 가진 수면 질환이다. 기면병의 증상은 내과적, 신경과적 질환으로부터 생길 수도 있다. 17세의 고등학생 남자 환자가 3개월 전부터 발생한 참을 수 없는 과도한 주간 졸림으로 본원 수면클리닉을 통해 입원하였다. 내원 이후 측정된 체질량지수는 30.4 kg/$m^2$였고 맥박은 분당 70~90회, 혈압은 150/100~120/70 mmHg로 관찰되었다. 갑상선기능 검사에서 T3 391.2 ng/dL(60~181), free T4 4.38 ng/dL(0.89~1.76), 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 <0.01 ${\mu}IU$/mL(0.35~5.5)로 갑상선 중독증이 시사되었다. 수면다원검사가 실시되었고, 수면 자세의 변환은 시간당 81 회로 매우 많은 편이었다. 입면 잠복기는 33.5분, 수면 효율은 47.9%, 입면에서 렘수면 입면시간은 153.6분으로 지연되었고 렘수면은 27.1%로 증가하였다. 주기성 사지 운동지수는 13.4/h로 나타났다. 수면잠복기반복검사에서 평균 입면잠복시간은 24초, SOREMP(sleep onset REM period)은 3회에서 관찰되었다. actogram상 수면-각성의 경계가 불분명하였고, HLA typing에서 DQB1 $^*0602$는 음성이었다. 환자의 갑상선중독증은 대해 3개월간 methimazole 30 mg, propranolol 40 mg이 투약되며 갑상선 기능이 호전되었다. 탈력발작은 venlafaxine 75 mg으로 조절되었고, 야간 수면 유지와 주기적 사지운동증을 치료 하기 위해 clonaze-pam 0.5 mg이 사용되었고 주관적인 야간 수면의 질은 향상되었다. 과도한 주간 졸림에 대해서는 3개월간 modafinil 200~400 mg이 투여되었고 부분적이긴 하지만 다소의 호전을 보이고 있다. 본 증례는 기면병으로 최종 진단된 환자에 있어 병력과 검사상 발견된 갑상선 중독증, 그리고 수면 효율 감소 등이 과도한 주간 졸림을 평가하는데 혼란 변수로 작용한 경우라 하겠다. 다만, 주간 과다 졸림이 modafinil에 부분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 HLA DQB1 $^*0602$ 음성의 결과를 보인 환자에게 나타났던 탈력발작에 대해서도 더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CSF hypocretin level을 추가로 측정하고 수면 문제의 추이를 관찰하면서 추가적인 PSG와 MSLT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령에 따른 비행시차 후의 수면-각성주기 변화 (The Changes of Sleep-Wake Cycle from Jet-Lag by Age)

  • 김인;이승환;서광윤
    • 수면정신생리
    • /
    • 제3권2호
    • /
    • pp.18-31
    • /
    • 1996
  • Jet-lag can be defined as the cumulativ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rapid air travel across multiple time zones. Many reports have suggested that age-related changes in sleep reflect fundamental changes in the circadian system and in significant declines in slow wave sleep. Jet lag is a dramatic situation in which the changes of the phase of circadian process and homeostatic process of sleep occur. Thus the authors evaluatead the changes of sleep-wake cycle from jet lag by age. Thirty-eight healthy travellers were studied for 3 days before and 7 days after jet-flights across seven to ten time zone. They were aged 19-70, They trareled eastbound, Seoul to North America (USA, Canada). Sleep onset time, wake-up time, sleep latency, awakening frequency on night sleep, awakening duration on night sleep, sleepiness at wake-up and nap length were evaluated. Our results suggest that by the 7 to 10 time zone shift, the old age group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in sleep-wake cycles. The date on which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was recovered was $6.23{\pm}83$ day after arrivals for old age group, while for young and middle age group, $4.46{\pm}1.50$ day and $4.83{\pm}1.52$ day, respectively. In old age group, sleep onset time was later than baselines and could not recover untill 7th day. But in other groups, the recovery was within 5th day. Nap dura fion was longer in old age group through jet lag than younger age group. In other parameters, there was no definite difference among three age groups.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old ag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isharmony between internal body clock and sleep-wake cycle needed at the travel site. Thus we proved that recovery ability from jet lag was age-dependent as well as travelling direction-dependent. To demonstrate more definite evidence, EEG monitoring and staging of sleep were funthun encouraged.

  • PDF

Polysomnographic Results before and after Uvulopalatopharyngoplasty

  • Kim, Cheon-Sik;Kim, Dae-Sik;Lee, Yong-Seok;Cho, Cheon-Ung;Pae, Sang-Ho;Kim, Won-Tae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73-76
    • /
    • 2013
  • Uvulopalatopharyngoplasty (UPPP) is one possibility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The aim of this study was study the analysis of polysomnography of pre-UPPP and post-UPPP. All patients were evaluated by means of a physical examination,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the nocturnal polysomnography (PSG) before surgery, and 6~12 months after surgery. A total of 15 patients were investigated. All underwent UPPP. The patients were between 26 and 62 years old ($mean{\pm}SD$; $39.7{\pm}10.9$) with a lean body mass index (BMI) of $mean{\pm}SD$; $26.2{\pm}3.0kg/m^2$. The comparison of sleep questionnaires showed that after UPPP, the patients had a significantly lower BMI ($26.2{\pm}3.0kg/m^2$ vs $26.0{\pm}3.4kg/m^2$, p=0.241), ESS ($10.0{\pm}5.4$ vs $6.9{\pm}3.2$, p=0.022), BDI ($9.2{\pm}8.2$ vs $4.2{\pm}4.3$, p=0.343) and higher blood pressure ($127.5{\pm}12.1$ vs $123.7{\pm}12.0$, p=0.272) compared to before UPPP. The comparison of sleep parameters showed that after UPPP, patients had a significantly lower stage N1 ($108.8{\pm}53.1$ vs $82.2{\pm}48.9$, p=0.016), lower sleep latency ($4.9{\pm}4.4$ vs $2.0{\pm}1.7$, p=0.083), a lower total arousal number ($210.6{\pm}90.3$ vs $147.1{\pm}87.3$, p=0.019), lower oxygen desaturation index (ODI) ($30.2{\pm}20.9$ vs $10.2{\pm}15.1$, p=0.006), lower apnea-hypopnea index (AHI) ($31.6{\pm}22.4$ vs $10.9{\pm}15.4$, p=0.005), and a lower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37.4{\pm}21.3$ vs $18.5{\pm}16.5$, p=0.008) compared to after UPPP. The comparison of sleep parameters showed that after UPPP, patients had a significantly higher stage N2 ($154.0{\pm}39.9$ vs $180.5{\pm}49.5$, p=0.017), higher REM ($58.5{\pm}29.7$ vs $72.6{\pm}34.0$, p=0.249), higher $meanSaO_2$ ($94.3{\pm}2.0$ vs $95.9{\pm}0.9$, p=0.043), and higher $meanSaO_2$ ($79.3{\pm}8.5$ vs $83.1{\pm}7.9$, p=0.116) than before UPPP. After UPPP, 6 patients were cured, 2 showed marked improvement, and 7 did not improve. After surgery, the success of the treatment was at 53%. The subjective patient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before the surge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