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Matter Education of Computer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9초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가정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체제 및 구조 개선 연구

  • 김경애;윤인경;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5-79
    • /
    • 1996
  • This study proposes a model curriculum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in the 7th Curriculum Revision. The model in the study is first drawn from the assumptions that reflect ever changing demands of industrial society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other perspective employed in the study is historical analysis that focuses on the evolution of the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a from the 1st through the 6th revision. This study also employes comparative research tools for the national level comparison such as USA, Japan, Taiwan, and Korea. The proposed model curriculum in this study is concluded from those step-by-step studies as follows:1) Problem definition and design in current curriculum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2) Needs and roles analysi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for the future; and 3)Historical analysis of our curriculum revisions in the past and coparative analysis with other countries. Authors conducted this research project for 3 month period from June 15, 1996 to September 15, 1996. During this period, authors collected the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those method a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and curriculum specialist conference. The key and critical features of the proposed curriculum in the study are as follows:1) In the numbers of department, a proposed model curriculum offers 8 as opposed to 6 in the 6th revision, reflecting two additional departments of “Elderly Welfare”and “Cosmotology”. 2) In the stat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 model curriculum emphasizes a more concrete statement to each specific skills according to the changing societal needs. 3) In the numbers of total subject matters, there would be 40 in the new as opposed to 23 in the current curriculum. Among these changes, 17 would occurr in the newly introduced subject matters, while 11 would simply change the subject matter name. Among 40 subject matter, “Introduction to Computer” and “Home Economics in Vocational Education”would be required subject matter. 4) In the total numbers of required unit for graduation in three years, a model offers 86∼132 unit. A maximum unit for each subject matter would be 12.

  • PDF

교과교육 방법적 지식과 컴퓨터교사의 전문성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Professional Knowledge of Computer Teachers)

  • 안미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5-143
    • /
    • 2001
  • 컴퓨터교육의 영역을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그리고 컴퓨터활용교육으로 나눈다면, 컴퓨터교사의 지식은 교과내용에 대한 전문지식, 교과교육의 이해와 활용방법에 대한 지식을 주로 말한다. 그 중 교과교육학은 교수-학습을 위한 설계 및 운영과 평가를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교과교육학을 더 특성화된 지식으로 과목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교육방법(PCK)을 살펴보자 한다.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PCK에 대한 이해 정도와 교수능력은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컴퓨터교사의 지식과 PCK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수학교육과 음악교육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과목이 서로 다르게 접근되어야 하듯이 컴퓨터교육에서도 컴퓨터교과목의 특성과 방법적*상황적 지식을 포함하는 컴퓨터 교과교육방법적 지식(C-PCK)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교사의 전문지식의 하나로 C-PCK를 포함한 것을 제안하며, 앞으로 이어질 C-PCK에 대한 연구결과는 컴퓨터교육방법을 개선하고 컴퓨터교육의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구심점이 되며,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영국의 컴퓨터과학 교육의 정책적 배경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about Policy Background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UK School: Lesson from the UK)

  • 김홍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07-218
    • /
    • 2016
  • 본 논문은 영국의 컴퓨터과학 교육의 정책적 배경을 탐구하는 것이다. 영국은 2014년 9월부터 '컴퓨팅'을 교과로써 초등학교부터 고등학생까지 가르친다. 교육부는 기존의 ICT 교과를 컴퓨터과학으로 대체하였다. 영국 교육부는 기존의 ICT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문제인식과, 학계의 요구, 미래 산업을 위한 인재에 대한 요구를 받아들였다. 풀뿌리 조직으로 시작한 CAS의 노력이 영국의 교육 제도를 변화시키는 과정에 정부, 대학, 기업, 평가기관, 비영리 기관 등 다양한 조직의 적극적인 협력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교육 발전을 위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중등 컴퓨터 예비교사의 진학 동기, 교과교육학 지식, 전공 공부 및 비전 형성 (Computer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s of Entering College of Education,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Study of subject matter, and Vision Formation)

  • 전영국;명성원;심혜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3-2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예비 교사들의 진학 동기, 교과교육학 지식과 비전 형성에 대하여 연구한다. 사범대학 진학 동기 및 선행 경험, 교육학 및 교과교육학 지식, 전공 공부, 일상 생활 및 장래비전의 네 범주에 따라 컴퓨터 예비 교사들이 교직 전문성을 어떻게 발달시키는지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S 대학의 사범대학생 1,2,3학년생 6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이들 중 5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만족도와 사범대 생활의 적응 과정을 면담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학년별 차이는 없었으며 대체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네 범주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면담 자료의 해석을 통하여 예비교사들의 사례를 묘사하였으며 특히 전공공부의 어려움과 복수전공에 따른 학업의 부하가 예비교사의 학구적 삶에 끼치는 요인을 질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4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면담한 내용을 토대로 교생실습과 관련된 교과교육학 지식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전문성을 신장하는 방향에 대하여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교과교육에서의 데이터베이스 기반 마인드 툴의 적용 (Database As Mindtools in Subject Matter Education)

  • 유재천;홍명희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70-380
    • /
    • 2004
  • 정보화시대에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기술 중에 하나는 많은 양의 정보를 조작하는 능력으로, 데이터베이스는 이러한 기술을 가르치는데 이상적이다. 데이터베이스 기반 마인드 툴은 지식을 표현할 때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한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많은 분야에서 사용이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교과교육에서 활용되는 사례는 많지 않으나 그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이 논문에서는 교과교육에서 데이터베이스 기반 마인드 틀을 사용할 수 있는 내용과 그 방안을 분석해보고 구체적으로 적용해 보고자한다.

  • PDF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운영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 이정;김경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3-55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reasearch is to supply the basic data to improve Home Economics curriculum. This research was intended for 190 home economics teachers who are teaching in Kwang-Ju and chun-n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objects of Home economics, the most important objects were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family life and development of family numbers. It requires 4 or 5 hours a week to learn these objects. 2. The amount of curriculum was immense and the level of curriculum was higher than students’level. More intencifying field are in this order; sex education, propriety education, consumption life, occupation, and computer education. 3.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main stress was laid upon the application of action and learning content was focused on the matter set in the examination. 4. Theory and practical training classes were usually in the ratio of 7:3 and 8:2 in the current school classes. Ideal training classes are in the ration of 4:6, 5:5, 6:4, which showed that much weight was given to the practical exercises. 5. In practing subject matter, students tended to practice only main subject matter. The reason was primarily due to the lacks of equipments and faccilities, the limitation of training time for enterance examination and budgetary deficit. 6. Application of resorces was in the order of files, realia, samples, hanging chart, O.H.P and V.T.R. 7. The method of evaluation was mostly composed of paper and pens and practical evaluation when the practical evaluation was carrient out, in the case of necessity the standard of evaluation was made out.

  • PDF

초등컴퓨터 교육에서 문제중심 학습을 이용한 네트워크 개념의 교수학습 효과 (An Instructional Learning Effectiveness of Network Concept by Problem-Oriented Learning for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임화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91-99
    • /
    • 2004
  • 초등학생들은 통합된 멀티미디어를 제공하는 인터넷 게임에 대단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네트워크 관련 용어(게임서버, 인터넷 서비스, 인터넷 속도 등) 및 인터넷상에서 일어나는 기술 현상에 대해서도 익숙해져 있다. 그러나 초등 컴퓨터 교과 내용은 ICT 소양교육과 활용교육, 즉 도구 사용 기술로만 되어 있어 이러한 현상들에 대한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구 학습이 아닌 인터넷의 기반인 네트워크 개념에 대한 교수학습을 문제중심 모형을 이용하여 설계하고 수업현장에 적용한다. 그 결과로 보다 더 원리와 개념 이해영역으로 초등 컴퓨터 교과 내용의 변화가 필요함을 보이고자 한다.

  • PDF

교과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정보영역 교육과정 구성 방향 (Information Domain Curriculum Composition Direction in Subject-Centered Curriculum)

  • 신수범;한규정;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09-315
    • /
    • 2021
  • 이 연구는 국내의 교과중심 교육과정체제에서 정보영역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과중심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2개의 유형에서 정보영역이 어떻게 편제되어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국내 교육과정은 역량을 강조하지만 국가수준의 교육목표 제시, 교과학습모형, 교과서 등을 강조하고 있어서 교과중심 교육과정에 치우친 형태로 판단하였다. 정보영역 교과중심 교육과정 사례로 초등 실과과의 정보영역, 중학교 정보교과를 제시하였으며 SW융합교육과정은 진보적인 교육과정 사례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여건에서 SW AI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영역을 통해 학습자가 미래 지능형사회에서 주도적인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과학을 모학문으로 하여 교과중심 관점으로 명시적으로 기술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Anderson의 교육목표분류법을 이용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수업목표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f Analysis about Learning Objectives of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using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최현종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1-63
    • /
    • 2014
  • 수업 목표는 수업 시간에 제시되는 목표로 수업 설계의 기본 방향과 틀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설계할 수 있게 해주고, 수업 평가의 지침이 된다. 다른 교과에서는 Bloom의 교육목표 분류법의 문제점을 수정한 Anderson의 분류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교과의 수업목표와 평가의 성취수준을 분석하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nderson의 분류법이 정보 교과의 수업목표 진술에 적절한지 정보 교사의 설문을 통해 확인하고, Anderson의 분류법으로 중학교 정보 교과서 6종의 수업목표를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를 통해 Anderson의 분류법이 Bloom의 분류법보다 정보 교과의 목표 진술에 더 유용하다는 결과를 얻었고, 정보 교과서 6종의 분석 결과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이해하다와 적용하다의 목표들이 더 많이 제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교육목표 분류법 연구와 교과서 개발에 좋은 사례 연구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 PDF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과목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 성취기준 및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area of "Information Society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2007 revised middle school 'Informatics' subject.)

  • 김경훈;이경낭;강신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3-7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과목 교육과정의 "정보 사회와 정보 기술"영역의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영역의 성취기준을 상세화하고, 성취 기준에 근거한 평가기준을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제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은 새 교육과정을 근거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2010년도에 적용되는 새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정보 교과의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사들의 학습 목표의 설정, 학습 범위와 내용 수준 설정, 교수-학습 방법 개선, 평가 방법 개선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