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Achievement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2초

수학교과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평가 결과보고 방안 논의 (The Student-Centered Educational Evaluation and Reporting on School Mathematics)

  • 고형준;원승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2호
    • /
    • pp.205-215
    • /
    • 2006
  •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the 7th curriculum of Korea is the student-centered education. Since educational evalua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hole curriculum, if we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student-center education on the curriculum we should establish the student-centered educational evaluation system. Educational evaluation is defined by the theory of information to permit information users to identify, to measure, to manipulate and to communicate useful educational information concerning an educational curriculum for making decisions. If we accept the above definitions, the demands of information users are significant in the light of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al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al evaluation from information users' perspectives and to investigate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which satisfy information users' need for making decisions. We also show that students aren't provided sufficient evaluation results information to decide for their study plans by analyzing an evaluation study of the 7th primary curriculum. Finally, this study suggests how to improve an evaluation system for students in mathematics.

  • PDF

대학생활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관한 유형 분석 연구: 내러티브 분석 중심 (The Type and Dimension of a Faculty-Student Interaction: Narrative study focused)

  • 이봉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00-309
    • /
    • 2020
  • 본 연구는 지도교수를 중심으로 한 학생상담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학생간 상호작용의 작동원리를 파악하고 유형화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 내러티브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교수학생간 상호작용 경험 속에 나타나고 있는 구조적 패턴과 기전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학과소속 지도교수로부터 년 2회 총 6회 이상 학생상담을 경험한 4학년 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층인터뷰와 현장노트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Burke(1945)가 내러티브 분석에서 사용한 행위주체, 행위동기, 행위결과를 중심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최종 도출된 상호작용 유형은 주도적 상호작용, 피상적 상호작용, 보은적 상호작용이다. 주도적 상호작용 유형은 학생이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취지향적인 자아성자의 일면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는 유형이다. 반면 피상적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교수와의 교류를 통해 자아성장의 경험이 강하게 피력되지 않고 있는 특성이 있으며, 마지막 보은적 상호작용 유형은 정서지향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 자아성장의 일면을 강하게 나타내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세가지 상호작용 유형을 통해 교수자와 학생 모두 서로 발전시킬 수 있는 모델이 무엇이며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지도교수 중심 학생 상담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해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학업 성취도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 분석 - 수학과 3-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of Third-Grade Mathematics Achievement Tests)

  • 김은아;강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9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제작 학업 성취도 평가 도구와 교사 제작 학업 성취도 평가 도구의 내용타당도를 분석 비교하는데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는 학업 성취도 평가 도구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학업 성취도 평가 도구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행동차원별, 내용차원별로 수업목표와 평가목표의 비율차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교사 제작 수학과 3-가 학업 성취도 평가도구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에서 제작한 3학년 국가수준 기초진단 학업 성취도 평가도구는 행동차원과 내용차원에서 모두 내용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사 제작 학업 성취도 평가도구는 내용타당도는 높으나 평가 문항이 지식, 이해력, 적용력을 평가하는데 집중된 경향을 보여 창의력 신장을 위한 고등정신기능을 기르는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평가 방법 개선 방안과 평가 도구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며 각 학교간의 편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많은 교사들의 상호 교류도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임을 제언한다.

  • PDF

이슬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이해 평가 루브릭 개발 (Development of a Rubric for Assessing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Dew Point)

  • 이기영;이재봉;오현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84-694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이슬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다층 서답형 문항에 대한 중학생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응답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성취도 점수 평균에 따른 응답 유형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슬점 개념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포화수증기량 곡선에서 이슬점 찾기에 대한 학생 응답을 분석한 결과, 다수의 학생들이 이슬점에 대한 개념이 없거나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슬점에서 수증기 응결과정에 대한 학생 응답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 개념 유형의 비율은 매우 낮았으며, 오개념 유형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유형 또한 다양하였다. 셋째, 성취도 점수 평균에 따른 학생 응답 유형 분포 분석을 토대로 4수준의 평가 루브릭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구과학 분야에서 개념 이해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과 활용 측면에서 제언을 하였다.

원전 수업에서 변증(辨證) 기반 진료수행시험(CPX) 시나리오를 이용한 역할극에 대한 학생 만족도 조사 (A Survey of Student Satisfaction after Role Play using Syndrome Differentiation-based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Scenario in Class of Korean Medical Classics)

  • 조학준;조나영;박정수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73-86
    • /
    • 202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role play using the syndrome differentiation CPX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scenario in Korean Medicine Classics class, and to find out whether the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self-assessment of treatment skills and subject achievement. Methods : In the Korean Medicine Classics clas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44 first-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completed theoretical education and formative evaluation on the subject of internal damage fever, and then role-played using CPX scenarios. Among them, 41 students consented to the study. Students who agreed to the study answered the satisfaction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3 questions in 2 areas on learning methods and effects, and self-evalua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tems of medical technology consisting of 23 questions. Satisfaction and self-assessment results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and additionally, correlation with Korean Medicine Classics subject achievement was also analyzed. Results : The result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role play was 4.87±0.06 while the result of student self-assessment of clinical skill was 4.73±0.16. The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role play showed statistically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self-assessment of clinical skill and quiz score of Korean Medical Classics while it did not show correlations with the total score of Korean Medical Classics and paper test. Also, the self-assessment of clinical skill did not show correlations with the total score of Korean Medical Classics, paper test, and quiz. Conclusions : Even though the students who performed the role play using the syndrome differentiation based CPX scenario highly assessed their clinical skill and showed high satisfaction, it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chievement of Korean Medical Classics.

TIMSS 수학 평가에서 학교급 전환에 따른 학생들의 학업성취 변화 추이 분석 (Analysis of the trend of mathematical achievement of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grade change in TIMSS)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121-14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TIMSS 수학 평가에서 이전 주기 초등학교 4학년이 다음 주기 중학교 2학년이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으로 학교급이 전환됨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TIMSS 수학 평가 주요 8개국(우리나라, 싱가포르, 대만, 일본, 미국, 영국, 호주, 러시아 연방)을 선정하여 비교함으로써 학교급 전환에 따른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 학생들의 학업성취 변화 추이는 전체뿐만 아니라 내용 영역(수, 도형과 측정(기하), 자료 표현(자료와 가능성/자료와 확률), 성별, 지역 규모 등에 걸쳐 분석하였고, 학업성취도 평균과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급이 전환됨에 따라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균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성취수준별 비율에서 학업성취 격차가 심화되었다. 둘째, 학교급 전환에 따라 내용영역별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었으며, 평가 주기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셋째, 성별이나 학교 소재지의 지역 규모에 따라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가 학교급 전환에 따라 심화되었으며, 학업성취도의 성취수준, 수학의 내용영역, 학생의 성별 및 학교 소재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국가나 시도교육청의 정책 실행 이외에 좀더 내실 있는 연구와 지원을 제안한다.

국민학교(國民學校) 과학영재(科學英才) 선발(選拔) 준거(準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Science Gifted Children)

  • 서형두;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2-186
    • /
    • 1993
  • This stady was carried out to define Gifted student for science, model for selection, the tools and methods and related theory for the selection of the Gifted students for the science in primary school level. Also the developed tools and materials are applied to student and analysed the results to generalize the methods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for science. The definition of Gifted students for science was carried out by the three-ring conception model by Renzulli(1982) and Lee long-Sung which defined the characteristics as three parts such as above average ability, creativity and tesk comitment. The Gifted students for science upper 2 percent which have three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s, namely overlapping three characteristics. The model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consist of four step; such as screeing, selection,differentiation, judgement. The materials for the selection are input at each stage, analysed the results and standard for the selection are made. In the first stage screening, 202 students are selected from the 5060 of 4th and 5th graders according to their achievment, intellecture ability and observation of students activity. In second selection and third differentiation stage, 65 students are seletted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In this study it is approved that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have to be selection by various test such as achievement, intellectual ability, aptitude in science, inquiry activity, manual skill etc, rather rather then simple test such as achievement and intellecture ability. Also it is important to select upper 2 percent who have general abilites overlapping three characteristics mentioned in definition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selections model

  • PDF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한 학업성취도 분석 기반의 수행평가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for promo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김현정;최진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13-323
    • /
    • 2009
  •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 교과의 수행평가 시스템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하여 학업성취도를 분석 및 예측하는 기능 구현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구현한 수행평가 시스템은 우선 루브릭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수행평가의 채점을 논리력, 문제해결력, 창의력으로 단순한 점수가 아닌 이원분류를 통해 고차원적인 인지능력에 대한 항목별 근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학업성취도를 단순히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분석하여 학생별 학업성취도를 측정 준거 별로 분석할 수 있도록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나아가 학업성취도에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향후 점수를 예측할 수 있게 하였다. 이로 인해 학생은 평가 결과 그래프로 현재 자신의 학습상태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학업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함으로써 자신의 학습 준거 별장 단점을 분석하여 학습 방향 및 학습시간에 대한 자기 성찰에 도움을 주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에게는 학업상태에 따라 완전학습을 추구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을 차등 지원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 PDF

플립러닝 융합 수업에서 학습전략 사용 양상 (The Learning Strategy Use in a Convergence Flipped Class)

  • 허근;이정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73-179
    • /
    • 2018
  • 본 논문은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전공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전략 사용은 어떠한 양상을 미치는지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라 학습전략사용 양상에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탐색한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영어교육 기초이론 수업을 수강한 33명의 대학 2학년 학생이었으며 15주 동안 실험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성적, 학습전략 사전 및 사후 결과, 학생설문결과 및 수업 활동자료들이다. 자료의 분석은 대응표본 t-검증과 ANOVA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플립러닝 수업을 통하여 학습전략 사용에 있어서 변화를 보였으며, 학업 성적의 차이에 따라 나뉜 상 중 하 세 집단 간 학습전략 사용의 양상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시간관리, 주의집중, 주제선정, 자기점검, 시험전략에 있어서 세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플립러닝 환경에서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사용을 위해서는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학업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 심층 분석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387-401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에 이루어진 대표적인 수학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인 PISA와 TIMSS-R의 성취도를 표준화하여 비교함으로써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과 호주를 비롯한 영어권 국가들이 각각 유사한 성취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를 보다 체계화하기 위해 PISA의 결과를 문항반응이론에 의해 분석하여 국가별, 문항별 난이도를 조사하였다.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하여 각 국가의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더 어렵고 쉬운 문항을 판별한 결과, 30개 중 16개의 문항에서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과 호주가 각각 동일한 성취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취 경향의 유사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과 호주가 각각 강세를 보인 문항들을 추출하여 그 공통점을 탐색하였다. 미국과 호주의 학생들은 열린 구성반응형 문항을 해결하는데 상대적으로 능숙하고, 한국과 일본의 학생들은 함수와 통계 영역의 문항에서 성취 수준이 높지 않으며, 형식화된 수학적 지식을 요구하는 문항일수록 한국과 일본 학생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