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ucture of wiggle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초소형 자유전자레이저 모듈에 있어서 위글러 구조에 따른 전자빔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n Beam Dependent with the Structure of Wiggler in the Miniaturized Free Electron Laser Module)

  • 김영철;안성준;김대욱;김호섭;안승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319-1326
    • /
    • 2011
  • 상업용 3-D simulation tool(OPERA)을 이용하여 슬릿형 위글러가 장착된 초소형 자유전자레이저 모듈에 있어서 위글러 구조에 따른 전자빔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자렌즈의 중앙 전극에 일정한 potential을 인가하여 전자빔이 평행빔이 되도록 divergence를 줄여서 위글러에 입사시켰으며 위글러의 구조 의존성에 따른 위글러 내부에서의 전기장과 potential 분포를 계산하여 위글러에서의 전자빔 궤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포항방사광가속기의 다극 위글러용 고 열량부하 슬릿 (High Heat-load Slits for the PLS Multi-pole Wiggler)

  • 길계환;김창균;정진화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6-51
    • /
    • 2007
  • 포항가속기연구소의 HFMX(High Flux Macromolecular X-ray crystallography) 빔라인은 다극 위글러의 방사광을 이용한다. 따라서 고 열량부하에 적합한 두 개의 수평 및 수직 슬릿이 빔라인의 프론트엔드 영역에 설치되었다. 빔 산란을 피하면서 고 열량부하를 처리하기 위하여, 빔을 차단하는 수평 슬릿의 두 글리드콥 블록은 수직면 상에서 기울어진, $10^{\circ}$의 스침각 경사면 구조를 이루고 있다. 글리드콥 블록들은 두 개의 구동막대에 의해서 궤도대를 따라 각각 병진함으로써 슬릿의 간격을 조정한다. 구동막대 내부에 가공된 유로를 통하여 흐르는 냉각수가 두 블록의 열량부하를 냉각시킨다. 수직 슬릿은 진공용기에 대한 설치 방향과 스침각 경사면 구조의 경사각만 다를 뿐 수평 슬릿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블록들이 궤도대 상에서 정밀하게 조정되므로 두 블록 간의 정렬이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으며 설치된 슬릿들은 안정적인 작동 성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두 슬릿의 냉각 성능도 만족할 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두 슬릿의 설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제시되고 그 작동 성능을 검토한다.

고압하에서 방사광을 이용한 흑연에 대한 연구 (High pressure X-ray diffraction study on a graphite using Synchrotron Radiation)

  • Kim, Young-Ho;Na, Ki-Chang
    • 암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4-40
    • /
    • 1994
  • High pressure X-ray diffraction study was carried out on a graphite to investigate its compressibility as well as any possible phase transition to the hexagonal diamond structure at room temperature. Energy dispersive X-ray diffraction method was introduced using a Mao-Bell type diamond anvil cell with Synchrotron Radiation. Polycrystalline sodium chloride was compressed together with graphite for the high pressure determinations. Because of the poor resolution of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of graphite, its compressibility was estimated to be almost same as that of NaCl by graphite (002) X-ray diffraction peak only. An observation of any new peak from a possible hexagonal diamond phase seems very unplausible for its definite identification based on the present data. Alternative approaches such as an Wiggler Radiation source as well as a Large Volume high pressure apparatus will be necessary for the detailed studies on a graphite in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