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ful events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9초

Changes in Adolescent Health Behavior and the Exacerbation of Economic Hardship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ross-sectional Study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 Chaeeun Kim;Haeun Lee;Kyunghee Jung-Choi;Hyesook Par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7권1호
    • /
    • pp.18-27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exacerbated economic hardship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nd changes in the health behaviors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the 2021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and included 44 908 students (22 823 boys and 22 085 girls) as study subjects.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changes in health behaviors (breakfast habits, physical activity, and alcohol use) that occurr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aggravation of economic hardship by COVID-19 and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were used as exposure variabl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calculate the prevalence odds ratios (PORs). Results: Severe exacerbation of a family's economic hardship due to COVID-19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health behaviors of adolescents, including increased breakfast skipping (POR, 1.85; 95% confidence interval [CI], 1.55 to 2.21 for boys and POR, 1.56; 95% CI, 1.27 to 1.92 for girls) and decreased physical activity (POR, 1.37; 95% CI, 1.19 to 1.57 for boys and POR, 1.38; 95% CI, 1.19 to 1.60 for girls). These negative changes in health behaviors were further amplified when combined with a low subjective family economic status. Conclusions: The experience of worsening household hardship can lead to negative changes in health behavior among adolescents. It is crucial to implement measures that address the economic challenges that arise from stressful events such as COVID-19 and to strive to improve the lifestyles of adolescents under such circumstances.

SRRS를 이용한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 환자의 생활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on Patients with Recurrent Ahthous Ulcer.)

  • 고명연;김영애;옥수민;허준영;정성희;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195-203
    • /
    • 2012
  •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은 5~60%의 유병률을 가진 가장 흔한 형태의 구강 궤양이다. 가장 흔히 발병하는 나이는 10세~19세이며 환자의 성인기 및 평생 동안 지속될 수 있고, 성별의 차이는 없으며 소아프타, 대아프타 및 포진성 궤양의 세가지 형태로 나누어진다.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다양한 유발인자 혹은 기여요인들이 있다. 이러한 기여요인에는 가족력 혹은 유전적 소인, Allergy 반응, 약물, 호르몬, 스트레스 또는 불안 및 면역계 이상 등을 들 수 있다. 구강 질환의 발병과정에 있어서 정신적 요인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이 지난 몇 십 년 동안 점점 더 인정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들이 구강질환에 있어서 정신사회적 요소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도 정서적 스트레스가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임상검사 결과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으로 진단된 환자 30명과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 중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의 증상 및 병력이 없는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스트레스 상황의 평가를 위해서는 한국적 문화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한 Holmes와 Rahe의 사회적 재적응 평정척도 설문지(SRR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들이 대조군에 비해 내원 전 7개월에서 12개월 사이 기간 및 내원 전 1년 동안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빈도 및 스트레스의 정도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에서 스트레스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nor Stressful Events on Sleep in College Students)

  • 강승걸;윤호경;함병주;최윤경;김승현;조숙행;서광윤;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9권1호
    • /
    • pp.48-55
    • /
    • 2002
  • 목 적 : 스트레스가 단기간 불면의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환자들은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의 어려움을 흔히 호소한다. 그러나, 스트레스와 수면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일관되지 못한 결과를 보이고 있고, 국내에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스트레스에 대해서도 이전에는 주요 생활사건에 중점을 두었지만 1980년대 들어 사소한 생활사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이런 일상의 사소한 일들이 개인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소한 생활사건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남녀 대학생 자원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수면 등을 평가하는 자가평가지를 배부하였다. 대상자들의 평균적인 스트레스와 수면 상태를 알기 위해서, 일상 생활 스트레스 평가 척도와 매일 수면평가지를 3일 연속 측정하도록 하였다. 이외에 커피, 콜라 등의 카페인 사용량, 흡연, 음주, 우울과 불안의 정도 등도 조사하였다.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version 10.0을 사용하였고 기술분석, 피어슨 상관분석, 부분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을 하였다. 결 과 : 연구에 포함된 학생들은 총 202명으로, 남녀 각각 101명씩이었다. 스트레스는 비회복 수면양상의 증상들 (기상하기 어려움, 기상시 불쾌감, 못 잔 것 같은 느낌, 기상시 신체적인 불편감이나 통증, 주간 졸음과 우울감, 피곤함, 집중하기 어려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총 PSQI 점수, 수면 시간이나 입면시간, 각성횟수, 낮잠의 횟수와 시간 등은 스트레스 점수로 설명되지 않았다. 스트레스 중에서는 개인적 능력에 대한 스트레스가 다른 유형의 스트레스에 비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우울과 불안, 카페인과 같은 요소들이 수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사소한 생활사건이 다른 수면의 요소들 보다 비회복 수면으로 인한 이차증상들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는 사소한 생활사건이 각성(arousal)을 증가시켜 수면의 회복성을 저해한다고 유추할 수 있으며, 수면다원검사로 직접적인 관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산욕기 산모의 산후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 최의순;오정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58-37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for effective prevention for Postpartum Depression (PPD)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PPD in postpartum 2 weeks women. The subjects were 384 women who visited obstetrical clinics for postnatal ca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9. 1999 to April. 2000, using a 46-item questionnaire related to PPD, and analyzed by SAS program for t-test, ANOVA, Scheffe tes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PP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omen had mild PPD (Min score; 46.0, Max score; 124.0). The PPD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and marital satisfaction (p<0.05). 2. The level of PPD according to obstetrical characteristics 1) Characteristics related to pregnancy The PPD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mood change, confidence of body weight recovery, depression related to appearance change, husband's help to housework, and husband's emotional support (p<0.05). 2) Stressful events during pregnancy The PPD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financial problem, conflict between partners, conflict between family, and husband's job change (p<0.05). 3) Characteristics related to delivery and post natal period The PPD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baby's health state, parenting confidence, and difficulties related to postpartum care (p<0.05). 3. The variables to predict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are depression related to appearance change (10.4%), parenting confidence (8.8%), husband's help to housework (2.7%), confidence of body weight recovery (2.4%), husband's job change (1.9%), baby's health state (1.9%), difficulties related to postpartum care (1.6%), mood change (1.2%), conflict between partners (0.6%), marital satisfaction (0.5%), financial problem (0.4%). The sum total of all the above variables can account for 32.4% of postpartum depression. 4. The level of PPD according to PPD factors. Women had the highest degree of PPD in biophysiological phenomena-disturbance of physical functioning factor. The factors of relationship to baby-negative feeling and cognitive phenomena-self concept disturbance were showed the lowest degree of PPD. As a result of the above findings, a systemic and individualized program is strongly recommended for PPD prevention, diagnosis, and care for PPD in postpartum women. In near future, this study should be expanded to investigate the coping skills according to the PPD levels in postpartum women.

  • PDF

청소년의 높은 스트레스 지각과 대처양식, 가족 내 지지, 부모양육행동 간의 관계 (COPING STYLE, FAMILY SUPPORT, PARENTING BEHAVIOR IN ADOLESCENTS WITH HIGHLY PERCEIVED STRESS)

  • 조인희;이병조;하지현;유희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63-71
    • /
    • 2005
  •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지각된 스트레스의 수준과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 가족 내 지지, 부모양육행동이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를 알아보고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청소년들이 정서행동상의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 데에 관여하는 위험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대상 및 방법 : 남녀 고등학교 학생 795명을 대상으로 생활경험설문지를 실시하여 최근 6개월 이내의 생활사건 스트레스를 측정한 뒤 지각된 스트레스 점수가 높은 군과 낮은 군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두 군 모두 대처양식척도와 가정환경척도, 부모양육행동척도를 시행하였으며 변량분석, 판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스트레스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인지적 대처, 행동적 대처, 회피적 대처양식 모두를 유의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내 결합력과 표현력은 낮은 반면 가족 간 갈등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양육행동에서는 부모 양쪽 모두에서 부정적인 양육태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두 집단을 가장 잘 구분하는 판별요인은 회피적 대처, 행동적 대처, 표현력, 경제수준, 결합력의 순이었으며 회귀분석을 통하여 낮은 가족 내 결합력과 표현력은 스트레스 수준과 무관하게 행동적 대처양식의 사용을 감소시키며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매개로 할 때 회피적 대처양식의 사용을 증가시켰다. 결론 : 가족 내 지지적인 환경의 결여는 적극적인 대처양식의 사용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높은 스트레스 상황 하에서는 회피적 행동양식의 사용을 더 증가시킴으로써 정서행동 문제의 발생을 높일 수 있다.

  • PDF

스트레스 유발 마우스모델에서 뇌염증 및 신경행동 장애 변화 (Neuro-inflammation induced by restraint stress causes impairs neurobehavior in mice)

  • 오태우;도현주;김광연;김영우;이병욱;마진열;박광일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83-497
    • /
    • 2017
  • Background : Behavioral stress has been suggested a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is able to disrupt physiological systems and cause depression as well as changes in various body systems. The stressful events can alter cognition, learning, memory and emotional responses, resulting in mental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Results : We used a restraint stress model to evaluate the alteration of behavior and stress-related blood parameter. The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f five animals each group. Furthermore, we assessed the change of body weight to evaluate the locomotor activity as well as status of emotional and anxiety in mice. After 7 days of restraint stress, the body weight had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estraint stress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e also observed stress-associated behavioral alterations, a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open field and forced swim test, whereas the immobilization tim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tres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e observe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neuronal death and microglia by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 In our study restraint stress did not cause change in neuronal cell density in the frontal cortex and CA1 hippocampus region, but there was a trend for an increased COX-2 and iNOS protein expression and microglia (CD11b) in brain, which is restraint stress. Conclusion : Our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alterations observed in the behavioral studies. We found that mice undergoing restraint stress changed behavior, confirming the increased expression of inflammatory factors in the brain.

두경부 편평 세포암에서 예후인자로서의 p53 발현 (The Overexpression of p53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as Prognostic Marker)

  • 정승원;이형석;박철원;박용욱;박찬금;장세진;태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9-173
    • /
    • 2001
  • Objectives: The p53 tumor suppressor gene encodes a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that is critical regulator of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through its action in cell-cycle checkpoint control. The wide variety of stressful stmuli which include DNA damage, hypoxia, heat shock, metabolic changes activate the p53 protein, which in turn drives a series of events that culminate either in cell cycle arrest or apoptosis. Mutations of the p53 gene is the most common genetic alteration in human cancer. This gene is altered in approximately 40-60% of head and neck cancers. Whereas the wild-type form of the p53 protein plays a central role in cell-cycle control in response to DNA damage, most of the mutant forms are unable to do so. The high levels of p53 protein expression in tissues are related to the increased cellular proliferative activity and may be associated with the poor clinical outcome. To determine whether the expression of the p53 protein has prognostic significance and is associated with patterns of treatment failure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We analyzed p53 overexpression in 40 cases of HNSCC. Materials and Methods: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ith a monoclonal antibody (DO7) specific for p53 protein was used to detect expression of the protein i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umor samples from 40 HNSCC. We evaluated p53 protein expression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53 overexpression and age, sex, primary tumor site, stage, survival rate, recurrence. All reported P values resulted from two-sided statistical tests. Results: Overexpression of p53 was detected in 20 cases(50%) among 40 cases of HNSCC. The p53 overexpression was not associated with age, sex, primary tumor site, stage, recurrence and survival rate. Conclusions: In our results, p53 was not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HNSCC. Based on many previous studies, It is evident that p53 has a certain role in tumorigenesis of HNSCC. So,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p53 in HNSCC.

  • PDF

SRRS를 이용한 구강 편평태선 환자의 생활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fe Changes of Oral Lichen Planus Patients by SRRS)

  • 고명연;박수현;옥수민;허준영;안용우;정성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1호
    • /
    • pp.9-17
    • /
    • 2012
  • 편평태선은 피부와 점막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써 신체 여러 부위에 침범하여 매우 다양한 임상소견을 나타낸다.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피부나 점막에서 유도된 항원변화에 대한 상피와 결체조직 사이의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년 여성에서 호발하고, 증상의 악화와 완화가 번갈아 일어나는 것이 이 질환의 특징으로, 정신적 스트레스,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약물 등의 여러 요소가 증상의 악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피부 편평태선 환자의 60-70%에서 구강 편평태선이 동반되고, 구강 편평태선 환자의 2/3 가량이 단독병소로써 나타난다. 이번 연구에서는 정서적 스트레스가 구강 편평태선을 악화시키는데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임상검사 혹은 조직검사 결과 구강 편평태선으로 진단된 환자 30명과 치과대학 학생들의 부모들 중 구강 편평태선의 증상 및 병력이 없는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스트레스 상황의 평가를 위해서는 한국적 문화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한 Holmes와 Rahe의 사회적 재적응 평정척도 설문지(SRR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구강 편평태선 환자들이 대조군에 비해 최근 1년 동안 더 많은 수의 스트레스성 사건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과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 -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employee's Innovative Work Behavior :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Error Management Culture)

  • 조영복;이나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155-169
    • /
    • 2014
  • 사람은 누구나 다 살아가면서 역경과 어려움을 겪기 마련이다. 하지만 부정적인 생활사건이나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모두 신체적,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물은 내는 것은 아니다. 즉,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자원에 따라 스트레스나 역경의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거나,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적응하고, 혁신적인 성과를 보이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상황에서 위기나 위협의 요인들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개인적 속성, 즉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회복탄력성의 결과요인으로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개인특성인 회복탄력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조직변수 즉, 환경적 요인으로 조직지원과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도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195명의 조직구성원을 표본으로 하여 회복탄력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러한 관계에 대한 상사지원, 동료지원,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회복탄력성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상사지원과 실책관리문화는 회복탄력성과 혁신행동 간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이 급변하는 조직외부환경에 적응하고 진취적이고 역동적이며, 도전적인 혁신행동을 발휘함에 있어 개인적 특성인 회복탄력성과 조직상황 변수인 조직지원과 실책관리문화가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즉, 조직에서는 조직구성원 개인의 회복탄력성을 발현하고 키울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제공 및 조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조직문화와 상사 및 동료 간 지원이 혁신행동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사암침법의 정신과적 활용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 의료기관에 대한 현장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of Application of Saam Five Element Acupuncture in Psychiatry -the Field Study of a Clinic-)

  • 서효원;이정환;곽희용;정선용;김종우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3-195
    • /
    • 2018
  • Objectives: To investigat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Saam five element acupuncture treatment in psychological problems. Methods: We selected a Korean medicine doctor known to apply Saam five element acupuncture treatment to the psychiatry field. An investigator visited the doctor's clinic to observe the cases and interview patients. Duration of each interview was 30 minutes to one hour.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in-depth interview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converted into texts. Converted texts were then summariz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Results and Discussion: Treatment process of Saam five element acupuncture designed for psychiatric use is divided into four stages: qi transformation (氣化), acupuncture treatment, deep breathing, and acupressure. In the first stage, patients are asked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emotions in a physical sense; to imagine their feelings have colors, weight, and physical form, and to describe those characteristics. Next, the doctor evaluates each patient's qi according to the six qi (六氣), and then determines protocol of Saam five element acupuncture treatment. This treatment is focused on suffering of the patient and specific symptoms or emotions. The treatment duration is brief and changes in symptoms are frequently checked during treatment sessions. Without discussing details of stressful events, the doctor enables patients to express physical aspects of their feelings. He also provides them with psychoeducational resources. As a result, patients experienced immediate changes in body sensation, emotions and thinking, decreased response to triggers, and increased self-control after treatment. Conclusions: The Saam five element acupuncture treatment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treatment for psychiatric disorders. Treatment can be effective in managing psychiatric disorders when applied by primary Korean medicine clin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