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ptomyces peucetius subsp. caesiu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doxA Cytochrome P-450 Hydroxylase Gene in Streptomyces peucetius subsp. caesius ATCC 27952

  • Hong, Young-Soo;Kim, Hang-Sub;Lee, Jeong-Hyung;Kim, Kyu-Won;Lee, Jung-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5호
    • /
    • pp.895-898
    • /
    • 2001
  • DNA sequence analysis of doxA from Streptomyces peucetius subsp. caesius ATCC 27952 revealed a $95\%$ amino acid identity with that of Streptomyces strain C5. DoxA from S. peucetius subsp. caesius ATCC 27952 encodes a peptide with both conserved heme-binding and dioxygen-binding motifs. Expression of this gene in S. lividans 1326 resulted in bioconversion of daunorubicin to doxorubicin.

  • PDF

Streptomyces peucetius subsp. caesius 돌연변이주에 의한 doxorubicin생산의 최적배양조건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Doxorubicin Production by a Mutant of Streptomyces peucetius subsp. caesius)

  • 김승욱;송수문;문순옥
    • 공업화학
    • /
    • 제8권4호
    • /
    • pp.660-666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Streptomyces peucetius subsp. caesius 돌연변이주에 의한 doxorubicin의 생산에 있어서 배양조건 및 배지의 성분을 확립하여 doxorubicind의 생산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Doxorubicin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은 4% maltose, 0.5% HEPES, 0.02% $K_2HPO_4$, 0.01% $MgSO_4$로 나타났고, 가장 적합한 종균 접종량과 시기는 10% (v/v), 72시간이었다. Doxorubicin생산에 적합한 소포제를 찾기위해 여러 종류의 소포제를 배지에 첨가한 결과 가장 적합한 소포제는 KG(10% K+10% G)이었으며 최적농도는 0.01%이었다. 교반식반응기에서 배양할 경우 적합한 통기량은 1.5v/v min으로 최대 29mg/l의 doxorubicin을 생산하였고, 1.0v/v min의 경우에도 플라스크 배양보다 15% 증가된 23mg/l의 doxorubicin을 생산하였다.

  • PDF

Streptomyces peucetius subsp. caesius와 S. platensis사이의 원형질체 융합균주의 발효특성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terspecific Protoplast Fusant of S. peucetius and S. platensis)

  • 임미송;이강만
    • 약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49-755
    • /
    • 1994
  • An interspecific fusant strain, Streptomyces MS1 was obtained by protoplast fusion between S. peucetius subsp. caesius and S. platensis. We studied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usant strain. The fermentation products of the fusant MS1 was identical with S. peucetius, but its production of anthracycline was more stable than S. peucetius under various fermentation conditions in regard to acidogenesis of fermentation broth.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 for anthracycline production by fusant MS1 as follows: sucrose 2.0%, glucose 1.0%, soytone 0.7%, $CaCO_3$ 0.2%, $KH_2PO_4$ 0.013%, casamino acids 0.01%, $K_2SO_4$ 0.025%, $MaCl_2\;6H_2O$ 1.024%, 5M $CaCl_2\;5H_2O$ 0.4%, 1N NaOH 0.7%, 20% L-proline 1.5%. In this condition, the productivity of anthracycline was $80{\sim}100\;{\mu}g/ml$.

  • PDF

Cloning and Sequencing of a Gene Cluster for the Resistance to Doxorubicin from Streptomyces peucetius subsp. caesius ATCC 27952

  • Hong, Young-Soo;Hwang, Cheol-Kyu;Hwang, Dong-Youn;Kim, Young-Ho;Kim, Sung-Jun;Lee, Jung-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권3호
    • /
    • pp.153-160
    • /
    • 1992
  • The doxorubicin resistance locus from Streptomyces peucetius subsp. caesius (the doxorubicin producer, ATCC 27952) has been cloned. The sequence data over 4.4 kb regions reveals the presence of four possible open reading frames (ORFs). ORF2 and ORF3 would encode proteins containing 329 and 283 amino acids, respectively. The protein encoded by ORF2 has two almost identical ATP binding domains with p-glycoprotein, the product of a multidrug resistance gene from tumor cells, and that encoded by ORF3 has several hydrophobic domains suggesting that it is located in the bacterial membrane. These two remarkable similarities of the gene product to p-glycoprotein of mammalian tumor cells suggest that the two proteins may enable bacteria to extrude a variety of toxic agents, including daunorubicin and doxorubicin, by an ATP dependent efflux mechanism analogous to the multidurg resistance protein of cancer cells.

  • PDF

Streptomyces peucetius subsp. caesius ATCC 27952 유래 Aklavinone 11-Hydroxylase 유전자의 대장균에서의 대량발현과 최적화 (Condition Optimization for Overexpression of the Aklavinone 11-Hydroxylase Gene from Streptomyces peucetius subsp. caesius ATCC 27952 in Escherichia coli.)

  • 민우근;홍영수;최용경;이정준;홍순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22
    • /
    • 1998
  • 일반적으로 Streptomyces류는 성장이 늦고 유지가 어려운 반면, E. coli는 배양기간이 짧고 유전자 조작도 간편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E. coli를 이용하여 유용단백질을 생산하는 연구가 일반적인 흐름이다. 그러나 E. coli에서 외래유전자를 도입하여 대량으로 생산을 시키는 경우에 비용해성의 inclusion body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용해성의 활성형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하여는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aklavlnone 11-hydroxylase gene(dnrF)을 E. coli BL2l에서 발현시킬 때의 배양조건을 배양온도와 IPTG농도의 두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변형시키는 방법으로, 활성형 단백질의 생산을 최대화하고 inclusion body의 형성을 최소화하는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7$^{\circ}C$에서 배양했을 때에는 0.02mM의 IPTG를 첨가하였을 때 inclusion body를 가장 적게 만들고, 그에 따라 생산되는 효소활성도 가장 높았다. 반면, 28$^{\circ}C$로 배양온도를 낮추었을 때에는 0.06mM의 IPTG를 첨가하였을 때 aklavinone 11-hydroxylase효소가 최대로 생산됨을 SDS-PAGE 및 효소 활성측정으로 확인하였다. IPTG농도를 0.1 mM로 높인 경우에는 28$^{\circ}C$, 37$^{\circ}C$에서 모두 aklavinone 11-hydroxylase효소가 과발현되어 Inclusion body를 가장 많이 생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방선균에서 동일 유전자를 대량발현시키는 경우 발현된 단백질의 효소 활성은 있으나 SDS-PAGE상에서의 단백질의 관찰이 불가능하였고, 동시에 단백질의 정제시 효소활성이 소실되어 정제가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효소 활성의 소실의 원인은 세포내의 어떤 저분자물질일 것으로 추정되며 본 연구에서 제작한 antibody를 이용하면, 효소의 정제가 용이하게 수행될 것이다. 특히 대장균계에서의 활성형 효소의 최적발현조건에서 세포를 배양하거나, inclusion body의 refolding을 실시한 후,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 assay를 지표로 효소를 정제하면, 미지의 cofactor의 정체도 밝혀지고 aklavinone 11-hydroxylase류의 효소 특성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 효소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bioconversion을 실시하여 그동안 background 때문에 생성된 product의 검출이 불가능했었던 소량의 생성산물의 분석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금후의 bioconversion연구에 기대하는 바가 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