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am reach for assessment system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2초

하천의 물리 환경 평가체계의 구축 (A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system for stream physical environments in Korea)

  • 정혜련;김기흥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8호
    • /
    • pp.713-727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하천의 고유성을 반영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평가 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 하천유형 분류, 평가구간 선정, 평가 항목 및 지표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요약하였다. 하천의 물리적 구조는 하천 유수력에 의한 반응의 결과이므로 하도경사, 하상재료의 입경 및 하도지형의 특성에 따라 하천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평가구간은 각 하천 유형의 대표적인 특징인 step 또는 여울출현 간격, 사행도에 따라 저수로 폭의 10배와 25배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평가지표는 하도 안정성, 흐름 상태, 횡단면 형상, 하안 안정성, 하도개수 및 하천횡단구조물과 같은 공통지표와 유효 서식지, 하상 매몰도, 흐름의 다양성 및 step과 여울 출현빈도와 같은 하천 유형별 특성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개발된 평가체계를 9개의 하천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비생물 및 생물 요인에 기초한 통합적 하천자연도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tegrated Stream Naturalness Assessment Based on Abiotic and Biotic Factors)

  • 표재훈;문형태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1호
    • /
    • pp.61-69
    • /
    • 2011
  • Integrated stream naturalness based on abiotic and biotic factors were developed. Abiotic factors considered in this study were types of land use in the riparian area, river bank and high water bed streamside, revetment, bed substrate and artificial construction of streamside. Biotic factors included types of vegetation, assemblages of fish, macroinvertebrate, bird and mammal(Otter) in streams. The presence/absence of legal species and biological assessment index were also weighted as important parameters in this study. Scoring criteria selected for each matrix was five rating system; 1=poor, 2=moderate, 3=fair, 4=good, 5=excellent. Numerical ratings for the matrix were then summed. This resulted in a minimum score of 13 if all matrix at a site were poor, and a maximum score of 65 if all matrix were excellent. Five grade system from poor(I) to excellent condition(V) was employed. To verify its validity in natural environment, the evaluation system was applied to the Gapchun stream which is a test bed selected. Our result showed that stream naturalness of each reach was clearly distinguished by biotic and abiotic characteristics. Determination of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biotic and biotic factors was also high ($R^2=0.96$, p<0.05). In conclusion, assessment for stream naturalness reflecting abiotic and biotic factors was useful method representing stream integrated.

위성영상을 활용한 하천환경 평가 세구간 설정 (Determination of Stream Reach for River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Using Satellite Image)

  • 강우철;최훈;장은경;고동우;강준구;여홍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4호
    • /
    • pp.179-19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하천환경 평가체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는 하천 유형화 및 세구간 설정 작업을 위해 위성영상의 활용방안을 검토하였다. 국내 하천 환경 평가체계의 경우 하천 유형화 결과에 따라 저수로 폭의 10배 또는 20배를 기준으로 평가 세구간을 설정하기를 제안한다. 연구수행을 위해 청미천 본류를 대상으로 하천 관련 기본자료들을 이용하여 하천 유형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위성영상에 최적분류법을 적용하여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다. 위성영상의 경우 10 m 해상도의 개방형 자료인 Sentiel-2를 이용하였으며, 다양한 유량 조건을 고려하기위해 총 4개의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였다: 2018년 2월 2일 (일유량 = 2.39 m3/s), 5월 23일 (일유량 = 15.51 m3/s), 6월 2일 (일유량 = 3.88 m3/s), 7월 7일 (일유량 = 33.61 m3/s). 토지피복분류 결과로부터 저수로 폭을 획득하였으며, 결과를 통해 하천환경평가를 위한 세구간을 설정하였다. 세구간 설정 결과는 하천 환경 물리적 지표 중 소의 다양성, 사행도, 하천횡단 형상, 하천횡단구조물에 대한 평가를 통해 검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하천환경 평가시스템을 위한 세구간 설정에 위성영상을 활용하는 경우 유량 조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천습지의 식생학적 자연도 평가 (Assessment of Degree of Naturalness of Vegetation on the Riverine Wetland)

  • 전승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1호
    • /
    • pp.1-11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the baseline data necessary for vegetation restoration at riverine wetland within stream corridor. We used the prevalence index for wetland assessment by applying the method of weighted averages with index values based on five hydrophyte indicator status as defined by estimated probability occurred in wetland. We selected near nature and urbanized reach of Gap and Yanghwa streams as experimental site. Although two sites have some different disturbance and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they showed that similarity of vegetation community including three dominant species - Salix koreensis,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acchariflorus - was very high. But in case of Yanghwa stream, various kinds of emergent plants along wetted condition were distinctly occurred, resulted from difference of hydrological regime and substrate, etc. Degree of naturalness of vegetation at the sampled areas indicated that near nature area of Gap stream and all area of Yanghwa stream were fitted as riverine wetland, while urbanized area of Gap stream has changed into upland condition. In conclusion assessment system using prevalence index would be considered an effective method for evaluating of natural states of riverine wetland, but further integrated consideration of physical, hydrological, and biological factors of stream process, and also with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qualitative data of vegetation community.

하천망분석도(KRF)의 활용성 증대를 위한 공간데이터 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design of Spatial Data Structure of Korean Reach File for Improving Adaptability)

  • 송현오;이혁;강태구;김경현;이재관;류덕희;정동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11-519
    • /
    • 2016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has developed the Korean Reach File (KRF) for scientific and systematic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water quality, pollutant sources and aquatic ecosystems in consideration of steam reach networks. The KRF provides a new framework for data production, storage, management and analysis for water related variables in relation to spatial characteristics, connections, and topologies of stream reaches. However, the current version of KRF (ver.2) has limited applicability because its nodes include not only the stream points based on topological characteristics but also those based on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which may undermine its generality. In this study, a new version of KRF (ver.3) was designed and established to overcome the weak point of version 2. The version 3 is a generalization of the old KRF graphic data and it integrates the attribute data while separating it from the graphic data to minimize additional work that is needed for data association and search. We tested the KRF (ver.3) on actual cases and convenience and adaptability for each application was verified.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developing a database link model and real-world applications that are targeted to process event data.

하천의 물리 환경성 평가체계의 적용 - 도시하천을 중심으로 - (An Application of Physico-Environmental Evaluation System of Stream - Focusing on urban streams -)

  • 정혜련;김기흥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7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restoration of physical stream environment by analyzing habitat variables because habitat environment is chang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waterfront space in urban streams. Assessment results of 10 habitat variables(three divisions) were almost same as optimal condition, in the reach of reference stream where there are no stream crossing structures and channel alteration. Assessment results of reaches in urban rivers, where streams were improved on water-friendly recreation activities, appeared to be marginal condition. Because habitat environment got worse due to stream improvement works such as construction of weir for water landscape, stepping stones for walking, low water revetment and high water revetment, and high water channel. In addition, in the case of mid gradient stream, the frequency of riffles was small or not existed because the intervals of the river crossing structures was short. In the case of mild stream types, the diversity of the pool was damaged due to the deposition of sludge in the upstream pool of weir and the installation of low water revetment.

내성천 유역 하천의 물리 서식지 특성 평가 (Assessment of Physical Habitats Characteristics in Naeseongcheon Basin Streams, Korea)

  • 김기흥;정혜련;홍일;여홍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143-160
    • /
    • 2023
  • 본 연구는 내성천 유역의 급경사 및 중경사 하천에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를 위한 기본 정보를 얻기 위해 하천의 물리 서식지 평가체계를 적용했다. 평가결과 내성천 유역의 급경사 및 중경사 하천 총연장은 약 273 km이며, 이 중에서 우수 약 8.2 km, 보통 180.3 km, 한계 84.7 km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급경사 하천 전체의 물리 서식지 질은 평균 106점 (53%)으로 보통 등급이며, 특히 수서 동물의 서식처에 가장 중요한 하도/수리 영역은 평균 54점 (45%)으로 한계상태에 가까운 보통 등급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경사 하천 물리 서식지 질은 평균 90점 (45%) 보통 등급이며, 하도/수리 영역 평균 39점 (32%) 한계상태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내성천 유역의 급경사 및 중경사 하천 165개 구간 중 우수 4개 (3%), 보통 119개 (72%) 및 한계 42개 (25%) 구간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내성천의 물리 서식지가 상당히 교란되었음을 보여준다. 내성천 유역의 하천 물리 서식지 교란은 하천주변의 경작지, 도시화, 저수지 건설 및 하천정비 등으로 발생하였다.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결과를 활용한 수생태계 훼손원인 진단체계 구축 (Establishing Diagnosis Systems for Impaired Stream Ecosystem using Stream/River Ecosystem Survey and Health Assessment)

  • 이종원;이상우;황순진;장민호;원두희;안경진;박혜진;이정아
    • 생태와환경
    • /
    • 제53권1호
    • /
    • pp.1-10
    • /
    • 2020
  • 본 연구는 훼손된 하천 수생태계의 훼손원인을 식별하고 그 전이 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수생태계 훼손원인 진단체계를 구축하고 정책적 활용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결과는 하천의 훼손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알 수 있어 하천 복원 및 관리의 판단 근거로 사용된다. 그러나 하천이 훼손된 원인이나 훼손이 발생하게 된 전이 과정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진단체계를 제안하여 훼손원인과 그 전이 과정을 규명하였다. 미국, 호주, 유럽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진단체계를 제안하였다. 총 8단계로 구성되며, 기초자료 조사, 하천 수생태계 훼손 판단, 훼손 구간 설정, 훼손 유형화 및 잠재적 훼손원인 도출, 본 조사, 주훼손원인 진단 및 최적 훼손 모델 도출, 종합분석 및 하천 복원방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진단체계는 하천 생태계의 복잡하고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훼손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하천 복원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수생태계 건강성 통합정보 분석을 위한 GIS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Building a GIS Database for Analyz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on Aquatic Ecosystem Health and Its Application)

  • 조명희;이수형;최희락;장성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89-203
    • /
    • 2013
  • 본 연구는 수생태계 건강성 변화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상호 연계 또는 중첩,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수생태계 건강성 정보를 기반으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개체 또는 개체군들 간의 상호작용 및 생태계 차원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태현상들을 그 지역의 환경변화(오염발생원, 수변환경 변화 등)와 결부시킨 종합적인 분석이 가능한 DB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결과자료와 한국형 Reach File(KRF), 하천자연도, 물환경정보시스템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결과 및 한국형 Reach File, 하천자연도 등은 자료 DB 개별속성에 대해 상세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수집데이터의 형식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데이터형식별 구성현황 및 상세 데이터 내에 대해 조사 및 분류별 정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데이터에 대한 핵심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주제별 특성과 관련된 항목정보들을 추출하여 주제별로 분류 관련 엔터티를 도출하였다. 또한, 개별 주제별 엔터티간 연계를 위한 관계값을 가진 엔터티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계 건강성 결과 자료의 효율적인 분석 및 보전, 복원을 위한 방안 제시를 위해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한국형 Reach File, 하천자연도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 속성 위상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 자료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정확하고 과학적인 수생태계의 건강성 통합정보 분석방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식생우세도 지수에 의한 하천습지의 자연도 평가 (Naturalness Assessment of Riverine Wetland by Vegetational Prevalence Index)

  • 전승훈;고신혜;안홍규;채수권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35-545
    • /
    • 2011
  • 본 연구는 하도 내 홍수터 중심의 하천습지를 대상으로 현존 식생군집의 분석결과를 기준으로 식생 우세도지수를 산정하여 하천습지의 자연도를 평가함으로써 식생학적 복원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금강수계의 논산천과 한강수계의 홍천강으로 일정한 하천구간을 선정하여 자연구간과 도시구간으로 구분 한 후 상관식생의 군집 및 토지이용 유형을 조사분석하고, 습지식생의 우세도 지수를 적용하여 하천습지의 자연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논산천과 홍천강은 유역의 규모와 특성, 하천환경의 교란과정 및 훼손의 상태 등에 있어서의 상당한 차이를 반영하듯 조사분석된 식생군집 및 토지이용의 양상도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상관 식생군집의 공통성도 갯버들 1종을 제외하고는 매우 상이하였고, 또한 토지이용 양상도 많은 차이를 보였다. 습지식생의 우세도 지수를 적용하여 하천습지의 자연도를 평가한 결과 논산천과 홍천강 모두 자연구간이 도시구간에 비해 습지로서의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논산천과 홍천강의 자연구간만의 비교평가시 논산천의 자연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홍천강의 경우 제방사면이나 천이고지에 정착한 육상형 식생군집이 포함된데 기인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습지식생 우세도 지수에 의한 하천습지의 자연도 평가결과는 양하천수계 및 구간의 하천환경 특성을 상당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