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atospheric ozon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3초

미규모 환경에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노출 (Microenvironmental Exposures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 조완근;강귀화;우형택;박종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5호
    • /
    • pp.61-61
    • /
    • 1995
  •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re of concern for their potential chronic toxicity, their suspected role in the formation of smog, and their suspected role in destruction of stratospheric ozon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xposures to selected VOCs in three microenvironments: 2 chlorinated and 5 aromatic VOCs in the indoor and outdoor air, and 5 aromatic VOCs in the breathing zone air of gas-service station attendants. With permissible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performances VOC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1) to be higher in indoor air than in outdoor air, 2) to be higher in two Taegu residential areas than in a residential area of Hayang, and 3) to be higher in the nighttime than in the daytime. Among five aromatics, Benzene and Toluene were two most highly measured VOCs in breathing zone air of service station attendants. Based on the sum of VOC concentrations, the VOC exposure during refueling was estimated to be about 10% of indoor and outdoor exposures. For Benzene only, the exposure during refueling was estimated to cause about 52% of indoor and outdoor exposure. The time used to calculate the exposures was 2 minutes for refueling and 24 hours for indoor and outdoor exposures.

미규모 환경에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노출 (Microenvironmental Exposures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 조완근;강귀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5호
    • /
    • pp.447-459
    • /
    • 1995
  •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re of concern for their potential chronic toxicity, their suspected role in the formation of smog, and their suspected role in destruction of stratospheric ozon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xposures to selected VOCs in three microenvironments: 2 chlorinated and 5 aromatic VOCs in the indoor and outdoor air, and 5 aromatic VOCs in the breathing zone air of gas-service station attendants. With permissible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performances VOC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1) to be higher in indoor air than in outdoor air, 2) to be higher in two Taegu residential areas than in a residential area of Hayang, and 3) to be higher in the nighttime than in the daytime. Among five aromatics, Benzene and Toluene were two most highly measured VOCs in breathing zone air of service station attendants. Based on the sum of VOC concentrations, the VOC exposure during refueling was estimated to be about 10% of indoor and outdoor exposures. For Benzene only, the exposure during refueling was estimated to cause about 52% of indoor and outdoor exposure. The time used to calculate the exposures was 2 minutes for refueling and 24 hours for indoor and outdoor exposures.

  • PDF

오존층 파괴에 의한 자외선 증가가 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hanced Ultraviolet-B Radiation on Plants)

  • Hak Yoon Kim;Moon Soo Cho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7-206
    • /
    • 2001
  • 오존층 파괴에 의해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 특히 UV-B(ultraviolet-B radiation, 280∼320nm)의 방사량이 증가하고 있다. UV-B는 유전자의 직접적인 손상, 호르몬 분해, 광합성 억제 등 생리·생화학적 대사기구에 영향을 미쳐 육상 생태계와 안정된 식량 확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그러나 식물은 UV-B에 대한 방어 기능을 갖고 있으며 형태적 적응, 광 회복 기능, UV-흡수물질의 생합성 촉진 등을 통해 UV-B로부터 생체를 보호한다.

  • PDF

물과 토양에서 훈증제의 동시분석법 확립 (Multi Analysis of Fumigants in Soil and Water)

  • 김정호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4호
    • /
    • pp.365-373
    • /
    • 2006
  • Emission of methyl bromide (MeBr) from soil was implicated in stratospheric ozone depletion. To determine multi analysis of alternatives fumigants for MeBr, this paper describes the methods of analysis in water and soil. The MeBr, methyl iodide (Mel), propargyl bromide (PBr), cis 1,3-dichloropropene (cis 1,3-D), trans 1,3-dichloropropene (trans 1,3-D) and chloropicrin(CP) are separated on the base line on GC-ECD at three column of AT+DB+DB (90m) with temperature programing of $35^{\circ}C{\rightarrow}110^{\circ}C$ on GC-ECD. The relative retention time for MeBr, Mel, PBr, cis 1,3-D, trans 1,3-D and CP is 1.0, 1.4, 2.3, 3.2, 3.6 and 3.7, respertively. The detection limit for MeBr, Mel, PBr, cis 1,3-D, trans 1,3-D and CP is 469 pg, 5 pg, 21 pg, 79 pg, 101 PE and 5pg, respectively. Recovery of MeBr Mel, PBr, cis 1,3-D, trans 1,3-D and CP in water added 150 ppm fumigants were 81%, 96%, 95%, 97%, 98% and 99%, respectively. Recovery of MeBr, MeI, PBr, cis 1, 3-D, trans 1,3-D and CP in soil added 150ppm fumigants were 56%, 84%), 85%, 81%, 87% and 88%, respectively.

하부 성층권 온도에 대한 위성자료와 모델 재분석들과의 비교 (Intercomparison of Satellite Data with Model Reanalyses on Lower- Stratospheric Temperature)

  • 유정문;김진남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7-158
    • /
    • 2000
  • 측과 모델에서 각각 유도된 하부 성층권의 온도를 비교 ${\cdot}$ 분석하기 위하여 전구에 대한 1980-98년 기간의 위성관측 MSU 채널4 (하부 성층권) 밝기온도와 두 개의 대기대순환 모델(NCEP, 1980-97년; GEOS, 1981-94년) 재분석 자료를 상관 및 경험직교함수 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월평균 기후값의 아노말리에서 MSU 온도는 남반구 겨울에 고위도 지역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20-22K), 남반구 봄인 10월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이남 지역에서 하부 성층권 온도 및 오존 전량이 주목 할만하게 동시에 상승하였다. 열대지방에서는 온도 연주기가 중 ${\cdot}$ 고위도에 비하여 뚜렷하지 않았다. 전구 대부분의 지역에서관측과 모델 사이에 상관은 높았으나 (r${\ge}$0.95), 아열대 제트기류가 통과하는 20N-3ON 지역, 북미 대륙 그리고 안데스산맥 남단지역에서 낮았다(r${\sim}$O.75). MSU 및 모델 재분석들의 월평균값에 대한 모드 1은 연주기와 함께 화산 폭발시에 하부 성층권의 온도 상승을 나타냈다. 한반도 지역에 대한 분석은 하부 성층권 온도가 대류권과 대조적으로 여름에 하강하고 겨울에 상승하는 형태를 보였다. 열대 태평양에 대한 MSY 및 재분석들의 아노말리 모드 1은 화산폭발에 의한 하부 성층권 온도 상승을 나타냈다. 모드 2는 MSH와 GEOS에서 준2년 주기진동 (QBO), 그러나 NCEP에서 엘니뇨 특징을 보였다. 엘니뇨 특징은 MSU와 GEOS의 경우에 모드 3에서 나타났다. 관측과 모델 모두에서 하부 성층권 온도에 대한 기여율이 대체로 화산폭발, QBO, 엘니뇨 순으로 높았다. 열대 대서양의 결과도 무시할 만한 엘니뇨 기여를 제외하고 열대 태평양과 비슷하였다 본 연구는 하부 성층권 온도에 대한 위성관측과 모델 재분석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상호 정확성을 진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ILAS와 ILAS-II 자료에서 나타난 남극 와동 붕괴기간의 미량기체 분포변화 (Variation of Tracer Distribution During the Antarctic Polar Vortex Breakup Shown in ILAS and ILAS-II Data)

  • 최우갑;임경수
    • 대기
    • /
    • 제20권3호
    • /
    • pp.367-377
    • /
    • 2010
  • Variation of tracer distribution during the vortex-breakup period in the Antarctic region was observed by the data from the Improved Limb Atmospheric Spectrometer (ILAS) and ILAS-II. All four trace species including methane, nitrous oxide, ozone, and water vapor show similar patterns of vertical gradient in spite of different structures of zonal mean mixing ratio. Timings of vortex breakup on each level are estimated by two different methods, and they are compared with zonal standard deviations following the latitude circle of each trace species. Although the tracers have different chemical life times and sink/source, the zonal standard deviation patterns show remarkable similarities. The zonal standard deviation shown here to measure the zonal asymmetry of tracer distribution is believed to diagnose the timing of the Antarctic polar-vortex breakup reasonably well.

THE EFFECT OF ATMOSPHERIC SCATTERING AS INFERRED FROM THE ROCKET-BORNE UV RADIOMETER MEASUREMENTS

  • Kim, Jho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87-93
    • /
    • 1997
  • Radiometers in UV and visible wavelengths were onboard the Korean Sounding Rocket(KSR)-1 and 2 which were launched on June 4th and September 1st, 1993. These radiometers were designed to capture the solar radiation during the ascending period of the rocket flight. The purpose of the instrument was to measure the vertical profiles of stratospheric ozone densities. Since the instrument measured the solar radiation from the ground to its apogee,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altitude variation of the measured intensity and to estimate the effect of atmospheric scattering by comparing the UV and visible intensity. The visible channel was a reference because the 450-nm wavelength is in the atmospheric window region, where the solar radi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atmosphere without being absorbed by other atmospheric gases. The use of 450-nm channel intensity as a reference should be limited to the altitude ranges above the certain altitudes, say 20 to 25km where the signals are not perturbed by atmospheric scattering effects.

  • PDF

위성관측(MODIS)에서 유도된 수도권 지역의 대류권 오존 및 수치실험 (Tropospheric Ozone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Derived from Satellite Observations (MODIS) and Numerical Simulation)

  • 유정문;박유민;이석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3-29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복사전달모델을 통하여 $9.7{\mu}m$오존 흡수대에 미치는 오존 및 열적(i.e., 지표 온도) 효과를 각각 조사하였다. 또한 오존주의보가 수도권 지역(37.2-37.7 N, 125.7-127.2 E)에 발령되었던 2003년 4일에 대한 위성(MODIS Aqua; ECT 13:30) 및 지상 오존(79개 관측소)의 동시 관측 자료를 기초로 지상 오존에 대한 원격탐사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구름 효과를 제거하고 오존 연직 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종관기상 자료도 사용하였다. 주어진 오존 농도($327\~391$ DU)에 대하여 산출된 $9.6{\mu}m$에서의 상향 복사휘도는 표면온도 Ts = 290 K에서 $5.52\~5.78Wm^{-2}sr^{-1}$, 그리고 Ts = 325 K에서는 $9.00\~9,57Wm^{-2}sr^{-1}$이었다. 따라서 오존 흡수 세기(i.e., $11{\mu}m$$9.7{\mu}m$ 밝기온도 간의 차; $T_{11-9.7}$)를 이용한 오존 원격탐사 시에 세기 변화에 대한 순수한 오존 효과는$0.26Wm^{-2}sr^{-1}/64\;DU$, 그리고 열적 효과는 $0.31Wm^{-2}sr^{-1}/35 K$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흡수 세기와 지상 관측 간에 유의적인 상관을 보이는 경우에 대하여 적외선 위성 관측에서 지상 오존을 원격탐사하는 경험식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지상 오존 농도와 관측값과의 상관은 $49\~63\%$로 유의수준 $1\%$에서 유의미하였다. 경험식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지상 오존 대신에 대류권 오존 자료를 사용하고, 성층권 오존 변화도 고려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대기 복사 모형에 의한 남극 세종기지에서의 복사학적 특징 : 지표면에서 UV-A와 Erythemal UV-B 자외선 양 변화 (Radiative Properties at King Sejong Station in West Antarctica with the Radiative Transfer Model : A Surface UV-A and Erythemal UV-B Radiation Changes)

  • 이규태;이방용;원영인;지준범;이원학;김윤정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9-20
    • /
    • 2003
  • A solar radiation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UV radiation at the surface offing Sejong Station in West Antarctica. The results calculated by this model were compared with the values measured by UV-Biometer and UV-A meter during 1999-2000. In this study, the parameterization of solar radiative transfer process was based on Chou and Lee(1996). The total ozone amounts measured by Breve. Ozone Spectrophotometer and the aerosol amounts by Nakajima et al.(1996) was used as the input data of the solar radiative transfer model. And the surface albedo is assumed to be 0.20 in summer and 0.85 in winter. The sensitivity test of solar radiative transfer model was done with the variation of total ozone, aerosol amount, and surface albedo. When the cosine of solar zenith angle is 0.3, Erythemal UV-B radiation decreased 73% with the 200% increase of total ozone from 100 DU to 300 DU, but the decrease of UV-A radiation is about 1%. Also, for the same solar zenith angle, UV-A radiation was decreased 31.0% with the variation of aerosol optical thickness from 0.0 to 0.3 and Erythemal UV-B radiation was decreased only 6.1%. The increase of Erythemal W-B radiation with the variation of surface albedo was twice that of UV-A increase. The surface Erythemal UV-B and UV-A radiation calculated by solar raditive transfer model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values fer the relatively clear day at King Sejong Station in West Antarctica. The model calculated Erythemal UV-B radiation at the surface coincide well with the measured values except for cloudy day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el calculated UV-A radiation and the measured value at the surface was large because of cloud scattering effect. So, the cloud property data is needed to calculate the UV radiation more exactly at King Sejong Station in West Antarctica.

포항지역 오존의 수직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Vertical Ozone Distributions in the Pohang Area, Korea)

  • 김지영;윤용훈;송기범;김기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7-301
    • /
    • 2000
  • 본 연구진은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1995년부터 1997년의 3년간 오존존데로 관측한 고도별 오존농도 및 오존전량 자료를 이용하여 오존의 수직분포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존의 수직분포를 체계적으로 밝히기 위해, 지상(100m), 대류권(10km), 하부 성층권(20km), 중부 성층권(30km)을 대표 고도로 설정하여 오존농도의 시 ${\cdot}$ 공간적 분포특성에 대한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지상(100m) 오존의 경우, 포항제철이 인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청정지역에서와 유사한 농도분포를 유지하였다. 봄과 여름에 높고 가을과 겨울에 낮은 농도분포는 기상인자들과의 상관성을 고려할 때, 대체로 광화학 반응에 의한 결과로 보여진다. 대류권(10km) 및 하부 성층권(20km)의 경우 춘고하저(春高夏低)의 전형적인 북반구 대류권 오존의 시간적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고도별 오존농도간의 분석결과 성층권 오존의 대류권 이동 및 광화학 반응과 역전층 형성에 의한 결과로 추정된다. 중부 성층권(30km) 오존의 경우 지상 오존의 농도분포 경향과 매우 유사한 월주기 및 계절주기를 취하였다. Brewer 분광광도계에 의한 오존전량은 성층권 오존량 (Umkehr 법)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오존전량은 유해자외선 (UV-B)과의 상관성은 미미하나, 운량과는 음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지상권뿐만 아니라 대류권 및 성층권 오존의 시간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포항이 해안도시라는 지리학적인 요인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