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ap pendan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철지비단벌레장식금동투조유물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Steel-Plated Jewel Beetle's Adornment and Gilt-bronze Openwork Remains)

  • 용병주;강정무;김수기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7-42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경주 황오동 100번지 유적에서 출토된 철지비단벌레장식금동투조유물을 대상으로 과학적 조사분석을 통한 비단벌레 날개장식의 제작기법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금동투조판과 철지판의 연결방법은 리벳팅을 사용하였으며, 수은아말감 기법으로 도금한 후 점선조기법으로 문양을 새긴 것으로 판단하였다. 비단벌레 날개 표면에 핀으로 고정한 흔적이 확인되었으나 재활용이나 가공 과정에 생긴 것으로 추정하였다. 단면 분석을 통해 날개 접착제로 옻칠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으며, 행엽 지판에도 부식방지를 위해 옻칠이 도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출토 마구류(馬具類)의 조성 및 원료 산지 추정 (Compositions and Provenience Studies on Horse Armour Excavated from Changnyeong Gyo-dong and Songhyeon-dong Tumuli)

  • 한우림;박지연;김소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1호
    • /
    • pp.4-17
    • /
    • 2021
  • 본 연구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 15호분에서 출토된 마구류인 입주부운주와 행엽 18건 19점을 분석하였다. 입주부운주와 행엽은 마구 장신구로 실용성보다는 신분 과시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는데 가야문화권 내 모든 고분에서 출토되고 있으므로 각 문화권 제작 기법 및 원료 산지를 비교할 수 있는 유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입주부운주와 행엽의 부위에 따른 제작 기법 및 원료 산지를 확인하여 5~6세기로 추정되는 비화가야의 금제 유물 제작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입주부운주는 순구리로 제작되었으며, 표면에 금(Au)·은(Ag)·수은(Hg) 등이 함께 검출되어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하였음이 확인된다. 어린문, 편원어미형 행엽의 분석 결과 바탕층(철)-중간층(구리)-도금층(금·은)이 확인되며, 구리(Cu)와 표면 금(Au)·은(Ag) 도금층은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한 철지금동판장 기법으로 확인된다. 심엽형 행엽은 바탕 금속에서는 철(Fe), 표면층에서는 은(Ag)이 주성분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철지은장 기법으로 제작되었으며, 바탕 금속과 도금층은 원두정을 이용해 고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창녕에서 출토된 마구류 19점의 원료 산지는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와 마부치히사오(馬淵久夫), 중국 납동위원소비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결과 보요(2점) 및 어린문 행엽(1점)은 한반도 남부 태백산분지의 구리 광석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16점은 중국의 구리 광석을 원료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유물에 수착되어진 직물의 재질특성 (Textural Characteristics of Imprinted Textiles in Some Relics Excavated)

  • 김동건;진영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99-303
    • /
    • 2003
  • Some of historical textil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imprinted textures on the metal remains of Haengyeup(a horse strap pendant) and Doja (a knife), which were excavated in the ruins of Hwangsung-dong, Kyungju city in the fifth century and textiles imprinted on the human bones that were excavated in the Pungnae 4th Area, Namyangju county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results analyzed arc as follows ;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inted textures of Haengyeup and Doja are white ramie sinc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ellulosic bast fibers, partially projected long oval cross sections with large lumens and the imprinted textures of human bones are silk fabrics since the triangular cross sections of fibroin is showed. All of the textiles were designed in plain weaves. In the case of weaving yarns, the warp threads were thicker than the weft threads, that is, the imprinted textures of Haengyeup were measured by 1.35 mm for warp and 1.21 mm for weft, and the Doja by 1.16mm for warp and 1.11 mm for weft. In connection with the direction of the yarn twist, the Z-twist were observed in the imprinted textures of human bones, whereas it presented the S-twist in the case of Haengyeup and Doja. The warp yarns were mostly harder twisted than the weft yarns on the amounts of twist, that is, it was observed that the case of Haengyeup were amounted to 0.33 twists per centimeter for warp yarns and 0.25 twists per centimeter for weft yarns. Also it was showed 0.32 twists per centimeter for warp yarns and 0.26 twists per centimeter in the case of the textures of human bones. On the fabric counts, it was showed that the finer the yarns the higher the densities since it were $4.3{\times}5.1$ threads per sqaure centimeters and $7.6{\times}7.1$ threads per sqaure centimeters each in the case of Haengyeup and Doja, whereas it was $18.2{\times}33.7$ threads per sqaure centimeters in the case of the textures of human b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