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y Creation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19초

디지털 서사 창작도구의 CBR 모델 비교 연구 : <민스트럴>과 <스토리헬퍼>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BR Model of Story Creation Program : focusing on the and the )

  • 류철균;윤혜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13-224
    • /
    • 2012
  • 창작과정은 인간의 총체적 경험을 담고 있는 기억으로부터 출발한다. 오늘날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창작과정을 모방한 디지털 서사 창작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CBR 모델을 통해 인간의 장기기억이 창작에 개입하는 과정을 모방하고자 한 두 서사 창작도구인 <민스트럴>과 <스토리헬퍼>를 비교분석하였다. <민스트럴>은 인물의 목표를 사례의 구축과 도출, 재사용의 중심에 두고 개연성 있는 이야기의 생성을 시도하였다. 한편 <스토리헬퍼>는 위반성을 지닌 모티프를 사례의 구축과 도출, 재사용의 중심에 둠으로써 이야기에 잠재해있는 우발성의 부각하고, 이를 통해 작가의 창작 발상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향후에는 다양한 서사물의 창작에 디지털 매체의 활용의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 같은 전망 속에서 본 연구가 앞으로의 서사 창작 지원도구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엔트리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협력적 이야기 생성하기 활동의 교육적 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Collaborative Story Creation Activities Using the Entry Programming Language)

  • 서현석;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51-66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엔트리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협력적 이야기 생성하기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교육대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약 3주간 강의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SW교육 역량과 이야기 생성 능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 소양 능력이나 컴퓨팅 사고력, 학습자 역량 등 학생들의 SW 교육 역량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이야기 생성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학생들은 글쓰기와 함께 엔트리 프로그래밍 언어를 동시에 배워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꼈지만, 점차 이야기 생성하기 활동에 대한 흥미가 생겼으며, 융합 활동 과제가 여러 측면에서 유용했음이 파악되었다. 향후 학생의 교과 역량뿐만 아니라 SW교육 역량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엔트리 교육 활동과 함께 다양한 교과 연계 활동이 필요하다.

문헌설화의 동화로의 재창작 방법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Re-creation method of literature tale to fairy tale)

  • 정희정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6호
    • /
    • pp.181-206
    • /
    • 2008
  • This paper focuses on the re-creation method of historically valuable literatured tale, "Samguk Yusa" to fairy tale as well as the problems and way of improvement shown in its recreation process using five publication samples. In case of the fairy tale based on the tale having original text, the understanding and judgement about that text as well as the focusing and causality of the story are needed to the fairy tale author. Moreover, it needs clear title for the comparison and relationship with original text and also it requires the fitting arrangement of history and fiction to evoke the imagination of child. In addition, to rise more interest of child, the various literary expression showing beauty of language, selection and understanding of original tale, acquirement of formal beauty as a literature and binding of books should be considered effectively. Through the effort of problem solving and new writing approaches for tale re-creation, we will get more interesting and instructive fairy tale, "Samguk Yusa".

객체지향 분석 방법에 의한 Co-Creation 플랫폼 소프트웨어의 분석 및 설계 (Analysis and Design of Co-creation Platform Software by Object-Oriented Analysis Method)

  • 조병호;안희학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5-81
    • /
    • 2016
  • 본 논문에서 제시한 Co-creation 플랫폼 소프트웨어 분석/설계 방법은 제품의 아이디어 단계부터 제품의 디자인 단계, 개발 및 생산, 마케팅 전 과정에 Co-creation 개념을 적용한 Co-creation 플랫폼 구축기술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방법은 Co-creation 플랫폼 구축을 위한 자체 SNS 기능 및 OPEN API 를 통하여 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기업 시스템과 연동하도록 설계 및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아이디어의 수정 및 완성 단계에서 위키 기술을 적용하고 디자인 제작과정에서 스토리보드 프로토타이핑 협업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및 이해관계자가 디자인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견이 반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것들의 설계 과정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Co-creation 분석/설계를 객체지향 분석방법에 의해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자 정의 스토리 기반 콘텐츠 제작 서비스를 위한 오픈 시나리오 언어 구조 설계 (Design of OpenScenario Structure for Content Creation Service Based on User Defined Story)

  • 이혜주;권기룡;이석환;박윤경;문경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70-179
    • /
    • 2016
  • It is a story-based content creation service that provides any user with some proper contents based on a story written by the user in order to utilize a lot of contents accumulated on Internet. For this service, the story has to be described in computer-readable representation. In this paper, analyzing the structure of scenario, as known as screenplay or scripts, a structure of story representation, which is referred to as OpenScenario, is defined. We intend users to produce their own contents by using massive contents on Internet by the proposed method. The proposed method's OpenScenario consists two main parts, OSD (OpenScenario Descriptors) which is a set of descriptors to describe various objects of shots such as visual, aural and textual objects and OSS (OpenScenario Scripts) which is a set of scripts to add some effects such as image, caption, transition between shots, and background music. As an usecase of proposed method, we describe how to create new content using OpenScenario and discuss some required technologies to apply the proposed method effectively.

Green-UX-Story: 온라인-오프라인 자연 체험을 통한 사용자 스토리 창출 및 공유 (Green-UX-Story: User Story Creation and Sharing through the Online and Offline Green Experience)

  • 최민아;권두영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460-466
    • /
    • 2010
  • These days, it is getting important to have more chances to visit natural environment for the wellbeing life.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llows us to get useful information regardless of time and location.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 way of improving user experience in the natural green environment using the digital technologies.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called Green-UX-Story which supports users to create and share their story through the online and offline green experience. The system consists of two main systems: the "Story-Field" and the "Story-Tree". The Story-Field consists of a certain number of the Story-Trees allocated to a certain green site. In the Story-Field, users can see the Story-Trees that are owned by other users and share their stories. The Story-Tree contains the user-story in each branch and green information that are captured by the user on the web. The Story-Tree is generated using the L-system algorithm as the user adds stories. The main purpose of the system is to enable users to write their green stories from the both online and offline experiences. This paper describes the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user scenario of the Green-UX-story.

스토리 검색 서비스의 사용자 기록 분석 및 스토리맵에 의한 새로운 스토리 검색 방법 (An Analysis of Search Log from a Story Database Service and a New Story Search Method based on Story Map)

  • 김명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95-803
    • /
    • 2015
  • 본 논문은 스토리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사용자의 검색에 따라 유사도가 높은 스토리를 보여주는 서비스인 <스토리헬퍼>에서,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창작성향을 데이터베이스 상의 스토리와 비교하여 살펴보고 검색방법의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검색을 위한 질의-답변 정보를 공간적으로 투영한 스토리맵의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질의어를 최소화하는 새로운 검색 UI를 제안한다. 사용자는 스토리맵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스토리 분포를 한눈에 보면서 원하는 성향의 스토리를 탐색함으로써 빠르고 직관적으로 원하는 스토리를 찾을 수 있다.

스토리 검색 서비스의 사용자 기록에 나타난 창작 성향 분석 및 가시화 (An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Creative Tendency appeared in Query Log of a Story Database Service)

  • 김명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609-1618
    • /
    • 2016
  • is a service providing the story synopses that match user's query. This paper analyzes the user log of which is the answers to the queries to find stories from database, and shows the tendency distribution of user creation. Specially, we analyze a joint distribution of the genres and actions of stories to get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endencies that cannot be found in the analysis of independent distribution. Furthermore, we define a correlation factor between genre and action, and investigate what combinations of the genres and actions are highly, less, and negatively correlated. Finally, we investigate how the tendencies of characters are related to genres and actions, and propose a visualization method to show the tend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