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ies of Female Marriag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4초

用 '心學'再解 '三言'女性婚戀故事之矛盾性 (Research on Contradictoriness in Female marriage stories of San Yan: via Xin Xue Theories)

  • LIU CHANG
    • 중국문학
    • /
    • 제94권
    • /
    • pp.19-30
    • /
    • 2018
  • 다수의 연구자들은 풍몽룡(馮夢龍)이 편찬한 '삼언(三言)' 중에 여주인공들의 형상에서 명확한 모순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즉, 흠모하는 남성에게 적극적으로 구애하는 경향을 보이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정절에 대해 강요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 문제에 대해서 다른 각도에서의 재해석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심학(心學)'으로부터의 영향을 중점으로 하여 '심학'이 풍몽룡에게 준 영향과 이러한 영향이 '삼언'에서 등장하는 여성인물 형상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필자는 '삼언' 중 여성들의 연애상과 결혼상에 나타난 모순은 바로 심학의 영향이라 본다. 이를 고찰하기 위하여2장에서는 우선적으로 '삼언'에서 등장하는 여성들의 연애와 결혼이야기에 나타난 구체적인모순양상을 분류하여 정리하고, 3장에서는 '심학'의 이론면에서의 계승과 실행방식면에서의계승과정에 대해 고찰 하고, 이를 통해 2장에서 정리한 모순양상의 원인을 검토하였다. 결론은 이러한 모순이 발생한 결정적인 원인은 바로 '심학'에 있다고 생각한다. '삼언'에서 등장한여성의 연애와 결혼에 관한 이야기에서의 모순의 원인은 바로 '심학'이 문학 속으로 스며들었기 때문이며, 이러한 모순은 실제로 '심학'자체가 지니는 모순이기도 한다.

연안(延安)의 문화운동론(文化運動論)과 지식인(知識人) 연구 - 연안(延安) 전기(前期)의 문예계(文藝界)를 중심으로 (Cultural movement and Intellectuals in Yan'an: focused on the Literary world of the former period of Yan'an)

  • 김은희
    • 중국문학
    • /
    • 제94권
    • /
    • pp.123-151
    • /
    • 2018
  • 이 글에서는 광의의 시기구분에 따른 延安時期를 문화운동론의 차이에 근거하여 '延安 前 期(1935.10-1941년)'와 '延安 後期(1942년-1948.3)'로 구분하였다. 이 글에서는 延安 前期의 사회현상으로서 지식인의 대거 유입, 이들의 문예 및 문화 관련 기구와 단체로의 조직화, 공산당중앙의 문화정책과 문화운동론, 그리고 延安 지식인의 토론 및 논쟁 등의 양상을 폭넓게 살펴보았다. 이 글은 특별히 延安 前期의 문화지형과 문화심리에 드러난 다양성과 개방성에 주목하였으며, 延安의 지식인집단과 문예계가 자율성과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고찰하였다.

19세기 영국 여성의 "성장"과 성장소설의 역동성 (Female Development in Nineteenth-Century England and Dynamics of the Bildungsroman)

  • 오정화
    • 여성학논집
    • /
    • 제29권2호
    • /
    • pp.3-35
    • /
    • 2012
  • 본 논문은 19세기 영국 여성의 "성장"에 관한 소설들이 성장소설이라는 장르와 맺고 있는 복합적 관계를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성장소설이 가지고 있는 역동성을 잘 구현하고 있는 작품들이 여성의 "성장"에 관한 소설임을 밝히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18세기 말 독일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는 성장소설은 자아의 발전을 통해 사회와 화해해가는 과정을 그린 것으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성장소설을 자아의 무한한 가능성을 이상화하면서 동시에 사회와의 통합이라는 제한적인 목표를 제시하는 데에서 오는 자아와 사회 사이의 갈등을 표현하는 서술 형식으로 파악하고, 그 갈등을 정치적 사회적 구조에 대한 비판과 연결시키면서 그 사이의 모순과 긴장을 드러낼 때 성장소설이라는 장르가 지닌 잠재적 전복성을 구현하는 역동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본다. 성장소설이 지닌 이러한 잠재적 전복성을 잘 구현하고 있는 작품들이 19세기 여성 작가들이 그린 여주인공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분리영역 이데올로기로 인하여 결혼 외에는 경제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여성의 독립성이나 자율성을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게 하는 사회로부터의 소외를 절실히 체험하였다. 젠더라는 요소로 인해 자아의 발전과 사회와의 통합 사이의 갈등이 배가 되었던 여주인공의 한 예로 제인 에어를 들 수 있다. 『제인 에어』는 여성 성장을 이야기하되 모순적이고 반의적인 의미들을 다양하게 삽입시키는 수법을 통해 균열을 냄으로써 여성 "성장"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고 자아의 발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구조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성장소설이 가진 역동성을 발휘한 대표적인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