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one wall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6초

'옛담장' 등록문화재의 활용 방안 연구 정읍 상학마을 '다무락'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Utilization Plan of 'Old Stone Wall' Registered as a Cultural Property Focused on an Old Stone Wall in Sang-Hak Village)

  • 이민석;정성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50-73
    • /
    • 2009
  • 최근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옛 담장의 사례는 기존의 '점' 단위의 개별 건축물에서 '면' 단위의 마을까지 문화재의 범주를 확대시켰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급속한 사회변동에 따라 주거양식이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농 어촌의 전통적 경관의 훼손과 멸실을 방지하고자 추진된 의미 있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옛 담장이 갖고 있는 문화적 요소를 도출하고 구술조사를 통하여 그 의미와 상징체계를 분석하였다. 전통문화의 문화적 자원을 문화콘텐츠화 하려는 노력이 요즘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너무 미학적인 측면만 강조하거나 건축적인 해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본고의 연구대상인 옛 담장의 경우는 단순히 관광코스로 소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구술조사를 토대로 이야기를 구성하고 관광객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창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문화콘텐츠란 문화의 원형과 문화적 요소를 발굴하고 그 속에 담긴 의미와 가치를 찾아내어 그것의 원형성, 잠재성, 활용성 등을 매체에 결합하는 새로운 문화의 창조 과정이다. 본고에서는 근현대 생활문화 공간복원과 문화콘텐츠의 발굴과 관련하여 상학리 돌담장을 조사하여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고찰하여 보다 독창적인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장산성 집수지의 구조와 변화양상 (Structure and Change Pattern of Gijang Mountain Fortress and its Receiving Reservoir)

  • 황대일;정대봉;박준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22권4호
    • /
    • pp.35-44
    • /
    • 2013
  • This paper looked into the structure of and changes in the building process of Gijang mountain fortress and its receiving reservoir by analyzing data from an excavation investigation.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reservoir may be classified into a flat form, stone sheath, floor facility, wall facility, and entry and exit facility. The flat form of the Gijang mountain fortress and receiving reservoir is round. Concerning the sectional form, the wall was obliquely excavated in the trapezoid. As a stone sheath building method, it was built by undertaking a range work of oblong stone materials in a clockwise direction on a stamped soil floor. Then, it was treated with stamping using double layers of gray clay and yellowish brown clay on the floor and the wall. Also, in a space between the stamped layers on the floor, herbal plants and a straw mat were laid for waterproofing as well as to prevent sinking. As an entry and exit facility, two facilities were confirmed symmetrically in the southeast and in the northwest. It is believed that they were built additionally during rebuilding after the initial construction. The building process was revealed to have been carried out in 8 stages. Given the structure and excavated remains, the building period is estimated to be the early to mid 7th century for the initial building, the later 9th to 11th centuries for the primary rebuilding, and the later 16th to early 17th centuries for the secondary rebuilding.

명승 제15호 '남해 다랑이논' 석축의 훼손 실태 (A Study on the Damage Status of the Stone Retaining Wall in 'Namhae Dharanginon', Scenic Sites No.15)

  • 홍윤순;김오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74-85
    • /
    • 2020
  • 경상남도 남해군의 가천마을 다랑이논은 한국의 산업기반형 역사문화 명승 중 가장 먼저 지정된 환경이며 지금까지도 농업활동을 수반하는 유일한 대상이다. 이곳의 기반환경인 석축은 그 특성상 자연적, 인위적 변형이 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보유하나 이제까지 그 상황을 고찰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5월 말을 기준으로 명승 지정범위의 약 30%에 달하는 조사가능 하부영역의 훼손 실태를 정량적, 정성적 측면에서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 대상환경 내 다랑이논 석축의 물리적 훼손을 드러내는 유실상태는 해안가 주변과 경사가 높은 북쪽 지역, 관광안내소와 주차장 인근 등에서 특히 심각하였다. 반면 석축 훼손의 정성적 측면은 마을 및 주차장 등과 인접한 석축에서 이질적 재료로 보수한 양상이 눈에 띄게 나타났으며, 거주지와 멀리 격리된 환경에서 식물의 피복으로 인한 경관 훼손 양상이 크게 발견되었다. 아울러 경사, 표고, 토양 등 자연환경요소들은 석축의 물리적 훼손 정도와 밀접한 관계성을 보여주는바, 경사가 급할수록, 표고가 높을수록, 토양 배수가 양호할수록 그 영향은 큰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작 활동, 관리 주체 등의 인문환경요소가 석축의 물리적 훼손 및 명승 관리에 중요한 인자를 이룬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다랑이논과 석축의 보존을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확보 및 토양개량 등 농업환경 개선과 함께 지역 거주민과 함께하는 관리방안의 모색이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Alternative approach for reproducing the in-plane behaviour of rubble stone walls

  • Tarque, Nicola;Camata, Guido;Benedetti, Andrea;Spacone, Enrico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3권1호
    • /
    • pp.29-38
    • /
    • 2017
  • Stone masonry is one of the oldest construction types due to the natural and free availability of stones and the relatively easy construction. Since stone masonry is brittle, it is also very vulnerable and in the case of earthquakes damage, collapses and causalities are very likely to occur, as it has been seen during the last Italian earthquake in Amatrice in 2016. In the recent years, some researchers have performed experimental tests to improve the knowledge of the behaviour of stone masonry. Concurrently, there is the need to reproduce the seismic behaviour of these structures by numerical approaches, also in consideration of the high cost of experimental tests. In this work, an alternative simplified procedure to numerically reproduce the diagonal compression and shear compression tests on a rubble stone masonry is proposed within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proposed procedure represents the stone units as rigid bodies and the mortar as a plastic material with compression and tension inelastic behaviour calibrated based on parametric studies. The validation of the proposed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data. The advantage of this simplified methodology is the use of a limited number of degrees of freedom which allows the reduction of the computational time, which leaves the possibility to carry out parametric studies that consider different wall configurations.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 1·2호분 내벽의 과학적 조사를 통한 벽화 존재 유무 연구 (A Study on the Presence of Murals by Scientific Investigation on the Inner Walls of West Ancient Tomb No.1 and 2 Neungsan-ri, Buyeo)

  • 이한형;김동원;이화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2권
    • /
    • pp.41-52
    • /
    • 2019
  •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 1, 2호분의 석실내부 벽화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육안조사와 현장에서의 현미경 관찰, 형광X선분석을 수행하고, 일부 채취 시료에 대한 X선회절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호분은 석벽의 표면 마무리 상태가 거칠고, 현실 천정을 제외한 부위에서는 벽화의 어떠한 흔적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현실 천정에서는 석재와는 다른 색의 흑색 물질이 관찰되는데, 이 부분의 경우에도 표면부와 표면을 살짝 긁어내어 드러난 내부가 동일한 육안적 특징을 보이며, 이 부분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흑운모가 주된 광물로 동정되어 먹 등 인위적 물질을 칠한 것이 아니라 석벽의 구성광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호분의 경우 내부 동, 서, 북의 석벽 표면에서 백색물질이 관찰되며, 이 물질에 대한 분석 결과 석회(Calcite)로 확인되어 벽화의 존재가 의심되었다. 그러나 석회층이 동벽의 현실입구와 연도부분에 집중되어 있으며, 북벽과 서벽의 경우에는 단지 하부에서만 집중적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동벽의 현실입구와 연도부분의 석회물질은 그 분포 형태가 도굴 갱으로 유입된 흙이 쌓인 흔적과 상응하고 있어 2호분 내벽의 석회물질은 외부의 흙과 석회가 유입되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천장과 사면의 석판틈새에서 확인되는 메움 물질은 분석결과 니질의 토양으로 석벽 표면에 존재하는 석회와는 다른 물질로 확인되었다. 만약 벽화를 조성할 목적으로 석벽표면에 석회층을 인위적으로 형성한 것이라면 석판틈새 매움 물질도 석회를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웠을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능산리 2호분의 현실과 연도의 내벽에도 벽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Determination of mortar strength using stone dust as a partially replaced material for cement and sand

  • Muhit, Imrose B.;Raihan, Muhammad T.;Nuruzzaman, Md.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2권4호
    • /
    • pp.249-259
    • /
    • 2014
  • Mortar is a masonry product which is matrix of concrete. It consists of binder and fine aggregate and moreover, it is an essential associate in any reinforced structural construction. The strength of mortar is a special concern to the engineer because mortar is responsible to give protection in the outer part of the structure as well as at a brick joint in masonry wall syste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f mortar, which are important mechanical properties, by replacing the cement and sand by stone dust. Moreover, to minimize the increasing demand of cement and sand, checking of appropriateness of stone dust as a construction material is necessary to ensure both solid waste minimization and recovery by exchanging stone dust with cement and sand. Stone dust passing by No. 200 sieve, is used as cement replacing material and retained by No. 100 sieve is used for sand replacement. Sand was replaced by stone dust of 15%, 20%, 25%, 30%, 35%, 40%, 45% and 50% by weight of sand while cement was replaced by stone dust of 3%, 5%, and 7% by weight of cement. Test result indicates that,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 mix with 35% of sand replacing stone dust and 3% of cement replacing stone dust increases 21.33% and 22.76% respectively than the normal mortar specimen at 7 and 28 days while for tensile it increases up to 13.47%. At the end, optimum dose was selected and crack analysis as well as discussion also included.

커튼월의 단열 향상 및 결로 방지를 위한 통기구조 적용방안 연구 (Application of Ventilated Cavity for Enhancing Insulation and Preventing Condensation of Curtain-wall System)

  • 이선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21-28
    • /
    • 2017
  • Curtain-wall systems have been widely applied to buildings because of their lightweight and constructability characteristics. However, as curtain-wall systems include many building materials, vapor barriers can become damaged and condensation can occur. Due to the material properties of stone curtain-walls, the external appearance and structure of a building could be damaged and the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curtain-wall could be worse. Natural ventilation using an air cavity in a curtain-wall i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condensation in inner walls and for the reduction of building cooling energy use in the summer.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 ventilated cavity on the insulating performance of a curtain-wall and the ventilated cavity depth and ratio of top opening needed to prevent condensation in a curtain-wall.

Assessment of seismic behavior stone bridge using a finite element method and discrete element method

  • Naderi, Melika;Zekavati, Mehdi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4권4호
    • /
    • pp.297-303
    • /
    • 2018
  • Seismic behavior of Osmanli and Senyuva stone bridges was addressed in this study. A combination of FEM and DEM was employed for getting closer to the real behavior of the bridge. One of the unique features of this combinational method is simulation close to reality. Modal numerical analysis was also used to verify the modeling. At the end of earthquake, a part of two lateral walls of Osmanli bridge was broken. The growth of arch cracks also increased during the earthquake. A part of right-hand wall of Senyuva Bridge was destructed during the earthquake. The left-hand side of the bridge wall was damaged during the earthquake but was not destr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