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ne Culture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5초

몽골과 고려의 변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igtails for the Mongolian and the Koryo Dynasty)

  • 김기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3-124
    • /
    • 2005
  • Information sources about Mongolian pigtail of 13-14C are relatively rich. But it was difficult to estimate the shape of the pigtail in detail with the descriptions in historical writing or travel books only, and paintings were neither enough to observe the beautiful shape of the pigtail closely on the whole because the portrayed characters were always wearing their hats. However, the authors could trace the detailed shape of the pigtail of 13-14C through close investigation into Mongolian stone statue of the period. In conclusion, the authors performed a comparative study by historically comparing the historical writings, archeological materials, ethnological materials and figurative arts featuring medieval Mongolian pigtail. And the authors paid careful attention to the meaning of those materials to the hairdo history. Historically nothern minority races have become assimilated with surrounding races in language, culture and customs through long economical and cultural exchange, and today their national traits gradually fade away by globalization. But each minority race still stands independently and maintain its own traditional culture. only recently began the study by Korean researchers on Mongolian pigtail, and there is still much to be discussed in ethnological issues such as racial pedigree.

  • PDF

캐주얼 브랜드의 청바지 생산 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vey of Production Condition of Jeans in Casual Brands)

  • 어미경;서미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4호
    • /
    • pp.702-71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 with regard to the material of jeans and the making method of jeans pattern and the characteristics of washing processing through the overall production status of jeans in casual brands and to offer the basic data for producing the high efficient jea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urvey of production status of jeans in casual brands, the fabric mixture was highest in the order of non-stretch denim 100% cotton, stretch denim cotton/spandex mix and denim with $1{\sim}2%$ weft direction spandex mix. The most frequently used processing method for denim was in the order of normal finishing, mercerization finishing, soft finishing and pigment finishing.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of washing finishing for jeans was in the order of forming by embossing washing, bio stone washing, normal washing, bio washing, and bio stone bleach washing. The average shrinkage was higher on waist circumference and pants length of warp direction rather than hips circumference, thigh circumference, hem circumference of weft direction.

  • PDF

한국전통수공업의 육성과 방향 (In Search of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Handicraft Industry: Forcused on the Woodenware Handicraft)

  • 한홍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7-292
    • /
    • 2003
  • 본 연구는 목기 수공업을 통해서 전통 수공업의 현황과 육성정책 및 방향을 모색하였다. 인류는 석기문화를 형성하였고 아울러 목기문화도 병용하였다. 목기문화는 보존이 불가능하여 곧 칠기 출현의 계기가 되었다. 옻칠은 방부, 방수의 역할을 함으로써 해서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하게 되었다. 목기는 삼국시대, 고려, 이조시대를 통하여 상용으로 널리 쓰였으나, 1900년대 이후 스테인 그릇, 플라스틱 그릇 등 저가의 상품이 등장하면서 쇠퇴의 길을 걸었으나 전통산업으로서 목기수공업을 고부가가치의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정책과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 PDF

GIS를 활용한 농촌경관 분석 사례연구 - 제주도 돌담경관을 중심으로 - (Case Study for Rural Landscape Analysis Used by GIS Technology - Focused on the Jeiu Stone Wall Landscape -)

  • 최용복;정문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349-361
    • /
    • 2006
  • 국내외적으로 농촌 경관에 대한 관심과 함께 경관에 대한 관리 및 보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천혜의 자연조건과 함께 아름다운 농촌경관을 유지하고 있는 제주도에서도 경관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제주국제자유도시특별법 및 동법 시행조례로서 경관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관관리에 대한 노력에도 무분별한 건축물의 난립 등으로 인하여 경관훼손이 가해져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시급한 처지이다. 이러한 농촌경관 가운데에서도 대표적인 경관을 구성하는 돌담의 훼손이 심각히 진행되어지고 있지만 현재의 경관관리는 조망지역의 가시권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추고 있고 중요한 경관요소에 대해서는 경관평가 항목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돌담 경관의 훼손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제주도 돌담이 경관 요소로서 가지고 있는 중요한 내재적 가치를 정립하였고 또한 기존의 가시권 중심의 조망지점 경관분석에서 훼손 가능성을 경관분석에 적용함으로서 보전측면을 강화한 경관평가를 제안하였다. 또한 GIS를 활용하여 돌담 경관 실태와 훼손정도를 추정하여 GIS 기술의 활용여부도 검토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제주도의 대표성을 지니는 한경, 애월, 신촌 등 여섯 군데의 농촌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정하였으며 이 지역에 대한 경관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Seismic assessment and retrofitting measures of a historic stone masonry bridge

  • Rovithis, Emmanouil N.;Pitilakis, Kyriazis D.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0권3호
    • /
    • pp.645-667
    • /
    • 2016
  • The 750 m long "De Bosset" bridge in the Cephalonia Island of Western Greece, being the area with the highest seismicity in Europe, was constructed in 1830 by successive stone arches and stiff block-type piers. The bridge suffered extensive damages during past earthquakes, such as the strong M7.2 earthquake of 1953, followed by poorly-designed reconstruction schemes with reinforced concrete. In 2005, a multidisciplinary project for the seismic assessment and restoration of the "De Bosset" bridge was undertaken under the auspices of the Greek Ministry of Culture. The proposed retrofitting scheme combining soil improvement, structural strengthening and reconstruction of the deteriorated masonry sections was recently applied on site. Design of the rehabilitation measures and assessment of the pre- and post-interventions seismic response of the bridge were based on detailed in-situ and laboratory tests, providing foundation soil and structural material properties. In-situ inspection of the rehabilitated bridge following the strong M6.1 and M6.0 Cephalonia earthquakes of January 26th and February 3rd 2014, respectively, revealed no damages or visible defects. The efficiency of the bridge retrofitting is also proved by a preliminary performance analysis of the bridge under the recorded ground motion induced by the above earthquakes.

공주 숙종대왕 태실의 양식과 구조에 대한 연구 (The style and structure of the King Sukjong's Placenta Chamber in Gongju)

  • 김병완;김회정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4호
    • /
    • pp.57-70
    • /
    • 2022
  • The Joseon royal family considered the act of burying the placenta very important for various reasons. Accordingly, they developed their own ritual culture of burying the placenta based on the geomancy(Pungsu). In 1661, The King Sukjong's placenta chamber was built in Gong-ju, and later stone objects were added in 1683. Since its establishment, the King Sukjong's placenta chamer have been continuously managed by the Joseon royal family, bu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lacenta chamber was partially destroyed, and now only some stone objects remain in the original site.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original style and structure of King Sukjong's placenta chamber by focusing on the stone objects which were discovered through recent field surveys. In addition to that, the stylistic review of Joseon Dynasty's royal placenta chamber was conducted to secure a literary data basis and acquired data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s a result, Some of the original style and structure of King Sukjong's placenta chamber could be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restore the authenticity of the royal placenta chamber damag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re expected to be a good example in the research methodology of historical evidence of other damaged royal placenta chambers.

신라 전기 적석목곽분의 출현과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묘제 전개 (The Emergence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and the Changing Nature of Tombs at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of Gyeongju in the Early Silla Phase)

  • 최병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3호
    • /
    • pp.154-201
    • /
    • 2016
  • 고대국가 신라가 성립하고 발전한 신라 조기와 전기에 경주 월성북고분군은 경주지역의 중심고분군이었을 뿐만 아니라 신라 전체의 중앙의 중심고분군으로 기능하였다. 경주 월성북고분군은 신라 고분문화 변동의 진원이었으며, 따라서 신라 고분문화 전개과정의 이해는 월성북고분군에서 조영된 고분과 묘제들에 대한 실상의 파악이 그 출발점이다. 이글은 월성북고분군을 비롯하여 경주지역에서 전개된 신라 전기 고분문화의 전개과정을 살피려는 작업의 시작으로 작성되었다. 사로국 후기부터 목곽묘가 축조되어 경주지역의 중심고분군이 된 월성북고분군에서는 신라 조기 석재충전목곽묘의 발생에 이어 신라 전기에는 적석목곽분이 출현하여 그 중심 묘제가 되었다. 적석목곽분은 매장주체부인 목곽, 목곽 주위의 사방적석에 더해 목곽의 뚜껑 위에 가해진 상부적석과 호석으로 보호된 고총 봉토가 묘광 내 목곽과 사방적석, 그 위의 저봉토로 이루어진 석재충전목곽묘와 차별화 된 것이다. 신라 전기 월성북고분군에서는 적석목곽분이 지상적석식과 상부적석식의 두 유형으로 나뉘어 전개되었으며, 신라 조기 이래의 석재충전목곽묘와 점토충전목곽묘, 토광묘도 공존하였고, 신라 전기에 새로 발생한 수혈식석곽분도 축조되었다. 그러나 그 중 고총으로 조영된 것은 적석목곽분 뿐이었으며, 묘제들 사이에는 그 외 고분의 입지, 묘곽 형식의 분포, 구조 각부의 축조기법과 규모에서도 차등이 있었다. 월성북고분군에서는 신라 조기부터 진행된 묘제 사이의 위계화가 신라 전기에는 한층 더 강화되었던 것이다.

장승의 기원과 옹중석 (The Origin of Changseung and Ongjung Stone)

  • 정승모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1호
    • /
    • pp.160-175
    • /
    • 2013
  • 우리가 '장승'이라고 부르는 조형물들은 그 기원이나 역사, 또는 기능이 서로 달라 엄밀한 구별이 필요하다. 이 글은 장승의 기원과 함께 역사적인 변화과정을 더듬어 이 구조물이 갖는 두 가지 다른 측면을 구분하고 이에 기초하여 소위 '석장승'의 다양한 기원과 기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고려시기에 사찰에서는 장생, 또는 관련 석물을 세웠는데, 이 중 '통도사국장생석표'는 석표(石標)라기보다는 석비(石碑)의 기능을 갖는다. 석비에 음각된 명문을 보면 이전의 판아(判兒)처럼 다시 세우라고 하였는데, 판아란 역귀(疫鬼)를 쫓는다는 종규(鍾郡)를 말한다. 명문 내용은 통도사의 영역을 장생으로 표시하였다는 것이다. 허목의 "월악기(月嶽記)"에 실려 있는 한준겸(韓浚謙)의 기사를 보면 도갑사 국장생의 규모가 매우 커서 이러한 추정을 가능케 하며 '국장생'이나 '황장생'이라고 새긴 입석은 장생이 아니라 표석, 즉 장생표(長生標)임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이정(里程) 기능을 하는 후를 장생으로 부르게 되었는데 이는 사찰 장생과는 달리 나무로 만들어 사찰 장생의 생(生) 자에 나무 목(木) 변을 붙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요즈음과는 달리 조선시기에는 비보 성격을 갖는 사찰 석상이나 읍성풍수물을 장승이라고 부른 경우는 찾을 수 없다. 예를 들면 제주도 '돌하르방'을 두고 장승이라고도 불렀다는 역사적 근거는 없다. "탐라기년(耽羅紀年)"에 의하면 제주목사 김몽규(金夢奎)가 성문 밖에 옹중석(翁仲石)을 세웠다고 했는데, 옹중석은 대개 고대 제왕(帝王)이나 대신(大臣)의 능묘 앞에 세운 석인상(石人像)을 지칭하는 말이다. 옹중석은 엽승[壓勝]을 위한 풍수물로도 나온다. "광주읍지(光州邑誌)"(1899년간)에는 수구(水口)를 만들고 석옹중 2기를 마주 세워 그 기를 진압하였다는 기사가 나온다. 전라북도 부안읍치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2기씩 세워진 석물에는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과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이라는 명문이 있는데, 읍성풍수물인 이것 역시 석장생이나 장승, 또는 당산으로 불릴 이유는 없다. 도교적인 개념인 상원(上元)과 하원(下元)이 붙은 주장군이나 당장군은 이후 사찰 석상의 명문으로 자주 등장하고, 이후에는 이표 장승에도 붙는다. 사모를 쓴 북한산성 옹중석을 지금은 볼 수 없는 것처럼 많던 옹중석들은 어딘가에 묻혔을 것이다. 그 와중에도 제주의 옹중석과 부안 읍성의 석상은 위치 이동이 적어 옹중석의 기능을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이 시기에 설립된 석상들은 고려시기에 조성된 장생(長生)과 기능상 가장 관련이 깊은 듯하다. 즉, 과거의 장생처럼 18세기 초중반의 석상들은 읍성, 또는 사찰의 비보물이면서 동시에 경계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사찰 석상의 설립시기는 양전사업이 전국적으로 실시된 때이기도 하지만 속세에서는 산송(山訟)이 활발해지는 때라 사찰에서는 비보와 함께 영역 표시를 위해 석상들을 세웠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장승으로 통칭되는 목인과 석상들은 각자가 서로 다른 시대에 서로 다른 이유로 세워진 것들이다. 그 출발은 고려시기 사찰의 장생(長生)으로 비보물이면서 동시에 사찰의 영역을 표시하는 석물, 또는 석상이었다.

韓國 통시(뒷간) 文化의 地域的 硏究 (A Regional Study on the Korean Toilet Culture)

  • 장보웅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5-268
    • /
    • 1995
  • 뒷간에 관한 호칭으로서 한반도에서 가장 넓게 분포되었던 용어는 통시이나, 이 통 시라는 표현은 현재 많이 사용하는 용어가 아니다. 그러나 과거에는 한반도 어느 지역에서 나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 용어임을 답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돼지울과 뒷 간이 함께 만들어진 경우에 통시라고 호칭하는 경향이 있었다. 제주도에서의 통시는 돌로 울을 만들어 돼지울을 만들고, 돼지울의 한쪽에 높게 고상의 형태로 뒷간을 만든다. 즉 돼지 울과 뒷간이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졌다. 지리산을 중심으로 고상의 통시가 분포되어 있다. 통시에 돼지를 사육하는 마을도 있고, 고상의 통시이지만 현재는 돼지를 사육하지 않는 마 을도 있다. 선암사와 송광사의 뒷간도 고상의 구조이나 돼지의 사육과는 관계가 없다. 사찰 에서 고상의 뒷간을 만든 이유는 인분을 고화시키면 악취도 안 나고 처내기에 편리하기 때 문이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단순한 구조를 갖는 뒷간은 디딤돌 뒷간이다. 이 경우는 지면에 디딤들을 2개 놓고 그 위에서 뒤를 보게 되어 있으며, 돼지의 사육과는 관련이 없다. 가장 단순한 구조의 뒷간이다. 서해안 도서 지방의 뒷간을 보면 돼지울과 뒷간이 나란히 배치되 어 있는 경우가 많다. 낙동강 상류 지방에는 남녀 유별의 통시가 많다. 과거 강원도 화전민 의 통시는 안채에 붙어 있다. 다설 지역인 울릉도 나리 분지에 있는 통시는 겨울의 적설기 에 대비한 통시의 구조이다.

  • PDF

평탄화 분석방법을 이용한 금석문판독 향상 방법 (A Study on Improving Readability Using Flattening Analysis)

  • 최원호;고선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56-464
    • /
    • 2017
  • The epigraphy is a text on metal or a text on stone. The value of epigraphy can be used to identify historical facts of the past. It is a good record to understand the past life and culture. But it is difficult to decode the character of the epigraphy which has been exposed to the outdoor for a long time. In this study, the proposed techniques are consisted of 3 parts: (1)The surface division into information area, non- information area, and undifferentiated area. And then, (2) The selection of points in the non-information area and finding a reference plane with the minimum error. (3) Flattening the points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plane and decoding characters on information area.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narrow the scope of a particular letter and to read the controversial letters on the Pohang Jungsoengri Silla Stone Monument(Korea's national treasure number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