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matal density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58초

벼 품종유형간 잎 기공밀도와 기체확산저항 비교 (Comparative Study of Stomatal Density and Gas Diffusion Resistance in Leaves of Various Types of Rice)

  • ;;;;이주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5-132
    • /
    • 1995
  • 유형이 다른 품종들간에 기공밀도와 기체확산저항의 차이와 광합성 속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비교 검토한 바 일반적으로 Indica 품종의 기공밀도가 Japonica 품종보다 컸으나 기체확산은 작았다. Indica 품종과 Japonica 품종간의 교잡을 통하여 육성한 품종들의 기공밀도와 기체확산 저항은 중간가를 나타냈다. 기공밀도와 기체확산저항 광합성 속도 간에는 현저한 정의 상관을 보였지만 특수엽중과는 현저한 질의 상관을 보였고, 단엽면적과의 상관관계는 현저하지 않았다. Indica 품종과 Japonica품종간의 교잡을 통하여 Indica 품종의 기공밀도가 크고 기체확산저항이 낮은 특성과 Japonica 품종의 특수 엽중이 큰 특성을 결합할 수 있다면 광합성 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리라 추측된다.

  • PDF

낙동강 수변 공원 지역에 서식하는 초본 식물의 기공 형질 분석 (Analysis of Stomatal Traits of Non-woody Plant Species Present in a Riparian Park Area in Nakdong River)

  • 송명근;남기정
    • 생태와환경
    • /
    • 제56권4호
    • /
    • pp.384-392
    • /
    • 2023
  • 식물의 기공은 이산화탄소와 수증기가 대기와 식물 사이를 이동하는 통로로 광합성 및 증산작용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중요한 생리적 기능 형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변에 서식하는 초본 식물종을 대상으로 자생식물과 외래식물 사이에 기공 형질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 분석함으로써 낙동강변 식물 군집 내 기공 형질의 변이 양상을 파악하고, 또한 외래식물이 성공적으로 정착하는 이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같은 신장 모양 기공 형태를 가진 외래식물과 자생식물의 경우 기공밀도, 기공지수, 기공크기에 차이가 없었고, 이는 외래식물의 성공적 정착에 비어있는 생태적 지위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님을 시사하였다. 기공밀도는 잎의 두께와 음의 상관관계를, 잎건조중량(LMDC)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잎면적비(SLA)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신장 모양기공을 가진 식물은 모두 양면기공형 잎을 가지고 있었고, 아령 모양 기공의 밀도 및 크기가 신장 모양 기공보다 작았다.

수종 참나무속 유식물의 건조스트레스에 대한 기공저항의 조절과 전략의 분화 (Stomatal Control and Strategy Segregation to Drought Stress in Young Trees of Several Oak Species)

  • 김종욱;김준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3호
    • /
    • pp.241-249
    • /
    • 1994
  • 참나무속 식물 6종류의 잎의 확산저항, 기공밀도, 공변세포의 길이 및 털의 밀도를 측정하여 건조스트레스에 대한 이 식물들의 전략을 주성분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및 졸참나무의 잎의 확산저항은 다른 3종보다 높은 Ψleaf 또는 낮은 WSD에서 빠르게 상승함으로써 수분 스트레스를 회피하였다. 그러나, 신갈나무와 떡갈나무는 낮은 Ψleaf, 낮은 기공밀도, 작은 기공 크기 및 높은 털밀도로 수분스트레스를 회피하였다. 그러나 신갈나무와 떡갈나무는 낮은 Ψleaf에서 기공 확산저항의 상승을 보였다. 건조스트레스에 대한 조정능과 관련된 15변수의 주성분분석에서 참나무속 식물은 2그룹, 즉 건성생육지종인 굴참나무, 신갈나무 및 떡갈나무와 중성생육지종인 상수리 나무, 갈참나무 및 졸참나무로 구별되었고, 건성생육지종인 굴참나무는 높은 털밀도, 낮은 기공밀도 및 높은 LAR에서 신갈나무 및 떡갈나무와 다시 구별되었다. 이 결과는 자연생육지에서 참나무속 식물의 건조에 대한 전략을 잘 설명하고 있다.

  • PDF

맥류의 기공확산저항의 일중변화와 입위별 기공의 분포 (Diurnal Changes in Stomatal Diffusion Resistance and Distribution of Stomata on Different Leaf Positions in Barley and Wheat)

  • 이호진;윤진일;이광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5-50
    • /
    • 1981
  • Diurnal changes in leaf stomatal resistances were measured on leaf positions and both surfaces to investigate the stomatal response to irradiance in wheat, var. Chokwang and barley, var. Dongbori 1. Stomatal frequency and size were also determined to explain the control mechanism of gas exchanges in two species. The leaf diffusive resistances of two species decreased, as the sun rose, to minimum at 10 to 11 o'clock a.m. and increased gradually in the afternoon, even faster at sunset. As the adaxial irradiance increased, stomatal resistances decreased sensitively in the range of 30uEm$^{-2}$ㆍsec$^{-1}$ to 150uEm$^{-2}$ㆍsec$^{-1}$ quantum flux density. The stomatal opening of the abaxial surface began at lower irradiance and was completed earlier than the adaxial surface. The adaxial irradiances decreased in order of leaf position, flag, the 2nd, the 3rd leaf, and the stomatal resistances increased in the same order. Even under the same irradiance, the stomatal resistance of lower leaves were higher than those of upper leaves. The stomatal frequencies of lower leaves were less, but the stomatal size was greater than those of upper leaves. Consequently, the relative leaf area occupied by stomatal pores were constant among leaf positions in two species.

  • PDF

칡(Pueraria thunbergiana) 조직수분관계의 일변화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Diurnal Changes in the Tissue-Water Relations of Pueraria thunbergiana)

  • 박용목;최창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1호
    • /
    • pp.89-96
    • /
    • 1998
  • The diurnal changes of the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and leaf water potential were measured in order to assess the water relations characteristics of Pueraria thunbergiana in August of 1995 and 1996. The results showed two different responses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rainless days. The microclimatic conditions were highly stressful on 2 August. Daily maximum temperature reached to $39.0{\circ}C$ and vapor pressure deficit was 3.55 KPa. During this time the leaf water potential decreased to -1.02 MPa and a marked reduction of stomatal conductance was shown. However, on 15 August the stomatal conductance increased with increment of photon flux density, and transpiration was highly maintained during the day time. Minimum leaf water potential was only -0.47 MPa in spite of high transpiration rate. Furthermore, on 15 August reduced leaf water potential during the day time was recovered rapidly with decrease of photon flux density, whereas recovery of leaf water potential on 2 August was delayed. However, reduced leaf water potential on 2 August was recovered untile the next dawn. Osmotic potential at turgor loss point of Pueraria thunbergiana on 2, 3 and 15 August was -1.79, -1.70 and -1.60 MPa, respectively. The vapor pressure deficit is more contributive to the regulation of stomatal conductance than leaf water potential.

  • PDF

반사필름 멀칭이 토마토의 기공특성, 증산속도, 광합성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flective Film Mulching on the Stomatal Features, Transpiration Rate and Photosynthetic Rate of Tomato Plants in Greenhouse Cultivation)

  • 조일환;김완순;허노열;권영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2-298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반사필름 멀칭과 북측면의 반사판설치에 의한 보광이 토마토의 광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토양 및 수경재배를 통해 토마토의 엽온변화, 기공특성, 증산.광합성속도 등의 변화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보광 처리에 의해 토마토엽의 기공밀도는 증가하였으나 기공의 크기와 면적은 차이가 얼었다. 근권부의 삼투포텐셜이 낮으면 광반사에 의한 기공저항이 컸고 증산속도는 낮았으며 엽온은 40.62$^{\circ}C$까지 상승했다. 또한 보광에 의해 광합성속도도 저하했으나 엽록소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반사필름 멀칭으로 온실가루이의 기피효과는 있었다 약광기 동절기에 반사필름 멀칭 등의 보광처리에 의한 증수나 품질향상은 엽의 기공밀도의 증가로 활발한 증산 .광합성작용으로 체내의 물질대사나 생장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 간접적으로 무기성분의 흡수나 분배에 영향을 주어 생육 및 수량 둥이 양호했다고 생각된다.

  • PDF

몇 조경수목(造景樹木)의 기공형질(氣孔形質)에 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Stomatal Characteristics of Several Ornamental Woody Species)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1호
    • /
    • pp.27-32
    • /
    • 1987
  • 강원도(江原道) 원주시(原州市) 우산동(牛山洞)에 소재(所在)한 상지대학(尙志大學) 구내(構內)에 생육중(生育中)인 8종(種)의 조경수목(造景樹木)을 대상(對象)으로 기공형질(氣孔形質)(기공형(氣孔型), 밀도(密度) 및 기공장(氣孔長))을 조사(調査)하였다. 개나리, 수수꽃다리, 느티나무 및 모과나무의 기공(氣孔)은 irregular-celled type(anomocytic)이며, 백당나무, 튜울립나무 및 목련의 기공(氣孔)은 parallel-celled type(paracytic)이었다. 개나리의 경우, 엽신장(葉伸長)에 따른 기공장(氣孔長)의 변화(變化)는 거의 없었고, 단위엽면적당(單位葉面積當) 기공수(氣孔數)는 크게 감소(減少)했으며, 개체엽당(個體葉當) 기공수(氣孔數)는 증가(增加)하였다. 주목의 경우, 침엽신장(針葉伸長)에 따라 기공장(氣孔長)은 계속 증가(增加)했으며, 단위엽면적당(單位葉面積當) 기공수(氣孔數)는 감소(減少)하였다.

  • PDF

참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기공형질변이(氣孔形質變異) (Variation of Stomatal Traits of Natural Population of Quercus spp.)

  • 김지문;권기원;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82-94
    • /
    • 1984
  • 집단간(集團間), 집단내(集團內) 개체목간(個體木間)에 보이는 기공밀도(氣孔密度)와 기공(氣孔)길이의 차이(差異)를 밟히기 위하여 그 변이(變異)를 4가지 참나무 수종(樹種)에서 조사(調査)하였다. 전국(全國)에 분포(分布)된 참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에서 신갈나무 9개집단(個集團), 졸참나무, 굴참나무 각각 4개집단(個集團), 상수리나무 3개집단(個集團)을 조사하였다. 집단별(集團別) 20주(株)의 개체목(個體木) 각각(各各)에서 12개(個)의 잎을 채취(採取)하여 collodion replica의 현미경(顯微鏡) 검경(檢鏡)에 의(依)해 각(各) 채취엽(採取葉)에서 기공(氣孔)길이는 20반복(反復), 기공밀도(氣孔密度)는 10반복(反復)을 측정(測定)하였다. 조사(調査)된 모든 수종(樹種)에서 평균(平均) 기공밀도(氣孔密度)는 $600{\sim}1,000/mm^2$, 길이는 $19{\sim}26{\mu}m$에 분포(分布)하고 있었다. 기공밀도(氣孔密度)와 길이는 모든 수종(樹種)에서 집단간(集團間), 집단내(集團內) 개체목간(個體木間)에 1% 또는 5% 수준(水準)에서 통계학적(統計學的)으로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를 보였다. 신갈나무는 다른 수종(樹種)에 비(比)해서 특히 집단간(集團間)에 심한 차이(差異)를 보였고 굴참나무는 그 반대(反對)였다. 기공밀도(氣孔密度)와 길이의 집단내(集團內) 개체목간(個體木間) 변이계수(變異係數)는 모든 집단(集團)에서 각각(各各) 3.7~12%와 1~5%의 작은 값을 보였다. 신갈나무의 평균기공밀도(平均氣孔密度)는 조사(調査)된 임분(林分)의 생육기(生育期) 일평균온도합계(日平均溫度合計) 및 습도합계(濕度合計)와 중상관계수(重相關係數), $R_{df{\cdot}2.6}=0.868^*$$Y=0.041X_1(G.M.T.S.)+0.489X_2(G.M.H.S.)+22.37$의 중회귀식(重回歸式)을 보이며 통계적(統計的)으로 유의적(有意的)인 상관(相關)을 보였다. 그러나 기공밀도(氣孔密度)의 경우(境遇)와는 달리 평균(平均) 기공(氣孔)길이는 상기(上記) 기후인자(氣候因子)들과 상관(相關)을 보이지 않았다. 엽측정치(葉測定値) 또는 개체목(個體木)의 평균치(平均値)를 단위(單位)로 하는 빈도분포도(頻度分布圖)는 일부 집단(集團)에서 정규분포곡선(正規分布曲線)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분산분석(分散分析)의 결과(結果)와 같이 그 곡선(曲線)은 집단간(集團間) 차이(差異)를 정확(正確)하게 나타낼 수 있었다.

  • PDF

도입(導入)고추의 내건성(耐乾性) 평가(評價) (Evaluation of Drought Resistance of Introduced Peppers)

  • 이우승;이하윤;조은형;신성련;박규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43-47
    • /
    • 1988
  • 고추의 16개(個) 도입계통(導入系統)에 대(對)해서 내건성(耐乾性)을 알기 위(爲)하여 발식(鉢植)한 고추를 단수처리(斷水處理)하고 일정기간후(一定期間後)에 엽(葉)의 WSD치(値)를 측정(測定)해서 내건성(耐乾性)을 평가(評價)하였으며 성숙엽(成熟葉)의 기공밀도(氣孔密度)를 조사(調査)하여 WSD치(値)와의 상관(相關)을 구(求)하였다. WSD치(値)로부터 내건성(耐乾性)이 강한 계통(系統)의 순위(順位)는 No.3446, C. chaconce, Gogoshari, 팔방(八房)이였다. 성숙엽(成熟葉)의 기공밀도(氣孔密度)와 WSD치(値)와의 상관(相關)(r=0.581)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Overexpression of OsNAC17 enhances drought tolerance in rice

  • Kim, Tae Hwan;Kim, Ju-K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68-168
    • /
    • 2017
  • Drought conditions during cultivation reduce agricultural production yield less than a theoretical maximum yield under normal condition. Plant specific NAC transcription factors in rice are known to play an essential roles in stress resistance transcriptional regulation. In this study, we report the rice (Oryza sativa L japonica) NAM, AFTF and CUC transcription factor OsNAC17, which is predominantly induced by abiotic stress in leaf, was contribute to the drought tolerance mediat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ransgenic rice plants. Constitutive (PGD1) promoter was introduced to overexpress OsNAC17 and produced the transgenic PDG1:OsNAC17. Overexpression of OsNAC17 throughout the whole plant improved drought resistance phenotype at the vegetative stag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grain yield, grain filling rate, and total grain weight improved by 22~64% over wild type plants under drought conditions during the reproductive stage. The improved drought tolerance in transgenic rice was involved in reducing stomatal density up to 15% than in wild type plants and in increasing reactive oxygen species-scavenging enzyme. DEG profiling experiment identified 119 up-regulated genes by more than twofold (P<0.01). These genes included UDP-glycosyltransferase family protein, similar to 2-alkenal reductase (NADPH-dependent oxireductase), similar to retinol dehydrogenase 12, Lipoxygenase, and NB-ARC domain containing protein related in cell death. Furthermore, OsNAC17 was act as a transcriptional activator, which has an activation domain in C-terminal region. These result demonstrate that the overexpression of OsNAC17 improve drought tolerance by regulating ROS scavenging enzymes and by reducing stomatal dens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