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ol-regulatory-elementbinding protein-1c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High glucose induces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porcine muscle satellite cells via mTOR

  • Yue, Tao;Yin, Jingdong;Li, Fengna;Li, Defa;Du, Min
    • BMB Reports
    • /
    • 제43권2호
    • /
    • pp.140-145
    • /
    • 201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signal pathway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high glucose-induced intramuscular adipogenesis in porcine muscle satellite cells. High glucose (25 mM) dramatically increased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 cells during the 10-day adipogenic differentiation period. The expressions of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 (C/EBP-$\alpha$) and fatty acid synthase (FAS) protein were gradually enhanced during the 10-day duration while mTOR phosphorylation and sterol-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SREBP)-1c protein were induced on day 4. Moreover, inhibition of mTOR activity by rapamycin resulted in a reduction of SREBP-1c protein expression and adipogenesis in cells. Collectivel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porcine muscle satellite cells and a succeeding extensive adipogenesis, which is triggered by high glucose, is initiated by the mTOR signal pathway through the activation of SREBP-1c protein. This process is previously uncharacterized and suggests a cellular mechanism may be involved in ectopic lipid deposition in skeletal muscle during type 2 diabetes.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AMPK signaling pathway를 통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adipogenesis 억제에 관한 연구 (Ethanol Extracts of Citrus Peel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AMPK Signaling Pathway in 3T3-L1 Preadipocytes)

  • 조현균;한민호;홍수현;최영현;박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5-2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진피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s of citrus peel, EECP)이 유발하는 항비만 효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3T3-L1 세포의 생존율 및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의 EECP를 처리하였을 경우 지방세포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lipid droplet의 형성과 triglyceride의 생성도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EECP가 유발하는 지방세포로의 분화억제에는 PPARγ, C/EBPα, C/EBPβ 및 SREBP-1c 등과 같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의 발현억제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로 aP2 및 Leptin과 같은 adipocyte expressed genes의 발현도 억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EECP는 AMPK 및 ACC의 인산화를 유발하였으며, AMPK 억제제인 Compound C를 이용하여 AMPK의 활성을 억제하였을 경우 EECP에 의한 AMPK의 인산화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의 억제현상이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EECP는 AMPK signaling pathway를 통하여 항비만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비만 예방 및 억제와 관련된 기능성 소재로서의 진피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