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inernema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과 Steinernema 속의 검색표 (Entomopathogenic Nematodes(Steinernematidae and Heterohabditidae) from Korea with a Key to Steinernema)

  • 추호렬;김준범;이동운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8-36
    • /
    • 1996
  • A survey for entomopathogenic nematodes was conducted throughout the nine provinvrd and within three city limits during the summer of 1990 and 1991. Six of the nine provinces and one of the three cities were positive for entomopathogenic nematodes. Out of the total 499 soil samples, 23(4.6%) were positive for entomopathogenic nematodes with 19(3.8%) containing Steinernema and 4(0.8%) containing Heterorhabditis. Heterorhabditis bacteriopora and three distinct groups of Steinernema species were idintified. One groups was indentified as S. carpocapsae, another S. glaseri and the other S. monticola based on cross breeding studies. Positive sample sites in each habitat includes 15 of the 415(3.6%) from forests including regrowth areas with shrubs, 1 of the 27(3.7%) from turfgrass including golf courses and parks, 3 of the 24(12.5%) from agricultural fields, 2 of the 16(12.5%) along riparian areas, and of the 17(11.8%) near the seashore. We advocate that more surveys be conducted for entomopathogenic nematodes before commercial sources of nematodes are widely applied which may obscure the naturally-occurring nematodes. A key to Steinernema is provided for the identification.

  • PDF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tidae와 Heterorhabditidae)의 지역농림해충에 대한 병원성 (Pathogenicity of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mematidae and Heterorhabditidae) against Local Agricultural and Forest Insect Pests)

  • 추호렬;이상명;정부근;박영도;김형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4-320
    • /
    • 1995
  •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곤충병원성선충들의 지역농림해충에 대한 병원성은 선충의 종류와 대상해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한림산 Steinemema sp.와 함양산 Heterorhabditis sp.를 배추좀나방유충 한마리당 3, 6, 12, 24마리 처리한 결과, 여과지상에서 각각 51.8%, 77.8%, 96.3%, 100%와 50.0%, 74.1%, 96.3%, 98.1%의 치사율을 얻었고, 케일잎에서는 44.4%, 63.0%, 76.1%, 94.5%와 79.7%, 81.6%, 94.4%, 100%의 치사율을 얻었다. 구당 (13,27$m^2$)300,000마리 농도로 배추밭에 처리한 결과 14일후 한림산 Stemermema sp. 는 72.0%, 함양산 Heterorhabditis sp. 는 84.1%의 방제기를 보였다. 이화명나방유충은 높은 농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50~200마리/ml의 낮은 농도에서는 함양산 Heterorhabditis sp.(47.3~100%)가 한림산 Stelnemema sp.(34.3~83.3%) 보다 효과적이었다. 밤바구미와 복숭아명나방유충에 대하여 유충 한 마리당 10, 20 마리의 산칭산 Stemernema sp. 와 함양산 Heterorhabditis sp. 를 처리하여서는 각각 50.0%와 80.0%와 90.0%, 70.0%와 90.0%, 90.0%와 100%의 치사율을 얻었다. 유충 한 마리당 10, 20 마리의 선충을 처리하였을때 노랑털알락나방유충은 포천산 Steinernema sp.에 대하여 매우 감수적이었으나(96.7%~100%) 동래산 Steinernema sp.에서는 낮은 치사율을 보였다.(63.3%~76.7%)

  • PDF

Steinernema glaseri 곤충병원선충으로부터 공생박테리아의 분리 및 배양특성 (Isolation and Culture Characteristics of a Bacterial Symbiont from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galseri)

  • 박선호;유연수
    • KSBB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98-204
    • /
    • 1999
  • Asymbiotic bacterium with highly effective toxins was isolated from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glaseri which has been widely used against various soil-inhabiting pests. The symbiont of S. glaseri was identified as Xenorhabdus nematophilus sp. by using sever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tests. When this strain was released into the hemolymph of insect larva, it produced highly toxic substances and killed the larva within 2 days. Two colony forms that differed n som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when cultures in vitro. Phase l colonies were mucid and difficult to be dispersed in liquid. Phase II was not mucoid and was easily dispersed in liquid. It did not adsorb neutral red or bromothymol blue. Rod-shaped cell size was highly variable between two phases, ranging 2-10 ${\mu}{\textrm}{m}$. It was also found that only infective-stage nematodes can carry only primary-phase Xenorhabdus in their intestine.

  • PDF

Steinernematid와 Heterorhabditid 선충의 쥐며느리에 대한 비효용적결과 (Noneffective Results of Steinernematid and Hoterorhabditid Nematodes Agains Pill bug, Armadillidium vulgare (Isopoda : Armadillidae))

  • 추호렬;이동운;허은영;김준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1-93
    • /
    • 1996
  • Steinernematid와 heterorhabditid 선충은 쥐며느리에 침입하여 치사시킬수는 있었지만 효과는 없었다.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strain과 S. glaseri 동래 strain이 S. carpocapse All strain과 Heterorohabditis bacteriophora보다 효과가 있었으며, 병원성 발현에서 선충의 접종농도가 기주의 밀도보다 중요한 요인이었다.

  • PDF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의 최적보관을 위한 환경요인 (Optimal Storage Conditions of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 박영진;김용균;이영근;한상천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16
    • /
    • 1998
  • Effects of temperature, pH, and salt concentration on the preservation of the infective juvenile entol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carpocapsae, were analyzed. The effects of acclimation to sublethal low temperature and glycerol concentrations on rapid cold hardening of the nematodes were also evaluated to set up the conditions for their cryopreservation. All tested environmental factors could change the storage effectiveness of the nematodes. These analyses indicated that the optinal storage condition for the nematodes consisted of $15^{\circ}C$, pH 8.5, and 0.5-1.0% salt concentration. The nematodes showed a rapid could hardening in response to $5^{\circ}C$ for 2h. Glycerol induced the nematodes to increase the cold hardiness. Its high concentration over 10%, however, gave a harmful effect on the nematode survival.

  • PDF

Steinernema 속 곤충병원선충을 이용한 사과원 병해충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Apple Pests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spp.)

  • 유연수;박선호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106-111
    • /
    • 2000
  • 복숭아심식나방, 사고애모무늬잎말이나방 그리고 왕풍뎅이 는 전국에 퍼져있는 주요 사과원 해충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분리된 고충병원성 성충인 Steinernema carpocapsae 와 Steunernema glaseri종을 이용하여 이들 사과원 병해충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복숭아심식나방의 경우 S.carpocapsae를 유충 한 마리당 80마리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24시간 후에 100%의 치사율을 보였으나 S. glaseri의 경우 유충 한 마리당 50마리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48시간 후에도 $83.3\pm5.8$%의 치사율을 보였다.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경우 50마리/mL 선충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48시간 후에 S.carpocapsae와 S.glaseri의 처리구는 각각 100%와 43.3$\pm$5.8%의 치사율을 보였다. 그러나 왕풍뎅이 5~6령충의 경우 유츙 한 마리당 200~800마리까지 S.carpocapsae와 S.glaseri를 처리하였으나 병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충의 토양 침투력은 유충 한 마리당 선충 접종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되어 $25^{\circ}C$, 50마리/mL 처리구에서 S.carpocapsae가 10cm 깊이까지는 100%의 치사율을, 16~15cm깊이에서는 56.7$\pm$5.8%의 치사율을 보였다.

  • PDF

시설재배지에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tid와 Heterorhabditid를 이용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Lepidoptera: Noctuidae)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s(Steinernematid and Heterorhabditid) in Greenhouse)

  • 김형환;조성래;이동운;이상명;추호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35-343
    • /
    • 2006
  • 엽채류 재배지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파밤나방을 환경친화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토양에서 분리한 steinemematid 선충과 heterorhabditid 선충 5계통(Steinernama carpocapsae GSN1, Steinernema sp. GSNUS-10, Steinernema sp. GSNUS-14,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Heterorhabditis sp. GSNUH-1)을 이용하여 petri dish와 pot 및 엽채류 재배 온실에서 병원성과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곤충병원성 선충 5계통의 파밤나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를 조사한 결과, 선충의 계통과 파밤나방의 령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LC_{50}$은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GSN1) 계통이 파밤나방 $2{\sim}4$령충에서 $3.8{\sim}5.1$마리로 가장 낮았다. 파밤나방에 대한 pot와 시설재배지에서의 병원성 실험결과도 선충 계통, 처리농도, 처리횟수 및 엽채류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Steinernema 계통 선충들이 Heterorhabditis 계통 선충들보다 병원성이 높았다. 선충의 처리회수에 따른 파밤나방 유충 치사율은 선충의 계통과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1회 처리보다 2회와 3회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다. 파밤나방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방제효과는 양배추나 케일보다 배추에서 높았다. 시설 재배지에서 GSN1이 파밤나방에 대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고, 처리농도에서는 $m^2$당 100,000마리(720,000마리 $7.2m^{-2}=1{\times}10^9$마리 $ha^{-1}$)가 다른 두 농도처리보다 높았다.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spp.의 산소 요구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Oxygen Uptake Rate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spp.)

  • 김도완;박선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3-128
    • /
    • 1999
  • 최근 곤충병원성 선충은 생물학적 살충제로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in vitro배양, 저장, 수송 과정에서는 낮은 용해도와 물질전달 문제 때문에 적절한 산소 공급이 매우 중요하다. 4종의 서로 다른 Steinernema 곤충병원선충에 대하여 5L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산소요구도(OUR)들을 측정하였다. 13~17$^{\circ}C$범위에서는 모든 Steinernema종의 산소 요구도는 0.5$\times$${10}^{-3}$ mmolO$_2$/L.min 이하였다. S. glaseri Dongrae와 S. carpocapsae Pocheon의 경우 산소요구도(mmolO$_2$/L.min)는 21$^{\circ}C$에서는 각각 0.4$\times$${10}^{-2}$와 0.75$\times$${10}^{-2}$, $25^{\circ}C$에서는 $1.5\times$${10}^{-2}$와 3.2$\times$${10}^{-2}$, 29$^{\circ}C$에서는 2.8$\times$${10}^{-2}$와 5.8$\times$${10}^{-2}$였다. 그러나 50~150rpm의 교반속도에서는 산소 요구도의 변화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 S. glaseri NC, S. glaseri Dongrae, S. glaseri Mungyeong 그리고 S. carpocapsae Pocheon종의 비산소 요구도(${qo}_{2}$)는 $25^{\circ}C$에서 각각 0.3$\times$${10}^{-8}$, 0.5$\times$${10}^{-9}$, 0.3$\times$${10}^{-9}$, 그리고 0.2$\times$${10}^{-9}$mmolO$_2$/cell.min였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크기와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qo}_{2}$ 또한 증가하였다.

  • PDF

곤충병원성 선충이 당근뿌리혹선충의 난낭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on Egg Mass Formation by the Nor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ia)

  • 김형환;추호렬;조명래;전흥용;임명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5-231
    • /
    • 2002
  • 곤충병원성 선충인 Steinernema carpocapsae All (ScA)과 포천(ScP) 계통, S.glaseri NC (SgN)와 동래(SgD) 계통,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NC 1 계통(HbN)이 당근뿌리혹선충 (Meloidogyne hapla)의 난낭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토마토를 이용한 pot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50마리의 당근뿌리혹선충이 있는 100g 토양에 곤충병원성 선충을 2.5$\times$$10^{5}$ 마리 농도로 처리한 결과 ScA처리에서 9.4-36.5개, SgN처리에서 5.7-24.7개, HbN처리에서 11.2-16.0개로서 당근뿌리혹선충 단독 처리에서의 62.5개보다 난낭수가 매우 적었다. Steinernema선충을 100㎤당 100마리, 200마리의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해 2,020마리/토양 350g와 1.6$\times$$10^{5}$ 마리 농도로 처리한 결과 Steinernema 선충의 종간, 계통별 또는 처리농도 간에는 난낭수의 차이가 없었으나, 당근뿌리혹선충 단독 처리와 비교하면 난낭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곤충병원성 선충을 당근뿌리혹선충 처리 3일 전에 처리한 것이 3일 후에 처리한 것보다 난낭 형성 억제에 더 효과적이었다. 한편, 곤충병원성 선충은 토마토의 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