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ved group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5초

찰가자미, Micromus achne 자어의 성장과 발달에 따른 소화효소 활성의 변화 (Changes of Digestive Enzyme Activity in Slime Flounder, Micromus achne Larvae with Growth and Development)

  • 박상언;임한규;한현섭;이종하;임영수;이종관;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3-239
    • /
    • 2003
  • 부화 직후부터 변태를 완료하는 58일째까지 찰가자미 자어에서 소화효소들의 활성과 성장이 조사되었다. 자어들은 먹이를 공급하지 않는 조건과 충분히 공급하는 두 가지 조건에서 사육되었고 일정한 간격으로 성장과 함께 acid phosphatase(ACPase), alkaline phosphatase (ALPase)의 비활성 및 trypsin-like enzyme과 pepsin-like enzyme의 활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절식구에서 전장의 성장은 부화 후 7일까지 빠르게 증가하였으나, 이후부터는 거의 변화가 없었고 먹이 공급구의 경우 부화시 5.13$\pm$0.18mm였던 것이 58일 후 13.43$\pm$1.40mm로 성장하였다. 절식구의 개체 당 건조 체중은 부화 직후부터 기아로 사망이 발생한 12일째까지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먹이 공급구의 경우 난황이 흡수될 때까지는 감소하였지만, 부화 후 20일째부터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ACPase와 ALPase 비활성은 절식구의 경우 실험을 종료할 때까지 증가하였으나, 먹이공급구는 부화 후 20일까지 증가한 후 실험을 마칠 때까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두 실험구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절식구의 trypsin-like enzyme 활성은 부화 후 3일부터 증가하여 6일째에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난황을 완전히 흡수한 이후부터는 활성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먹이 공급구의 경우 부화 후 3일부터 난황을 완전히 흡수할 때까지 빠르게 증가하였고,20일째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rypsin-like enzyme 활성은 부화 후 8일부터 먹이공급구가 절식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epsin-like enzyme 활성은 두 실험구 모두에서 부화 초기에는 증가하였으나, 절식구에서는 실험종료 시까지 감소하였고, 먹이 공급구는 부화 후 10일째 높은 활성을 나타낸 후 일시적으로 감소하지만 부화 후 20일째 다시 높은 활성을 나타낸 후 실험 종료 시까지 서서히 감소하였다. Pepsin-like enzyme 활성은 8일째와 10일째 절식구가 먹이공급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ACPase, ALPase의 비활성 및 trypsin-like enzyme과 pepsin-like enzyme치 활성은 자어의 성장이나 형태 발달과 깊은 연관이 있었다. 그리고 trypsin-like enzyme과 pepsin-like enzyme의 활성은 자어의 발달 단계, 성장 및 먹이 공급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어의 건강이나 성장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간접적인 지표로써 이용 할 수 있겠다.

Effect of Starving and Re-feeding on Appetite-related Gene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Kim, Min Ju;Song, Jin Ah;Choi, Cheol Young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
    • /
    • 2022
  • This investigation aimed to assess the appetite response changes of olive flounder to starving and re-feeding conditions. Three different feeding groups (2 weeks feeding, fed; 2 weeks starving, starved; and 1 week starving and 1 week feeding, re-fed) were established to examine the changes in appetite-related genes for each group. The weight gain of the fish was highest for the fed group and lowest for the starving group. Based on the daily feed intake (DFI) and cumulative feed intake (CFI), overall food intake was found to increase in the re-fed group more than in the fed group from week 1 to week 2 of the experiment. Hypocretin neuropeptide precursor (HCRT) and galanin receptor 1 (GAL-R1) mRNA expression in the brain of olive flounder were decreased in the starved group.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CRH) was decreas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except for the fed group. However, overall leptin concentrations in the plasma did not change across groups.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on starving and feeding, various factors (except the production and expression mechanisms of appetite-related factors in response to starving) are likely acting on the appetite responses of the fish. In this study, a 1-week re-feeding period induced substantial effects on appetite response when compared to a 2-week feeding period. These findings show that even if re-feeding is performed after starving, the unbalance caused by the re-feeding can affect various physiological changes in fish by feed intake efficiency.

메기(Silurus asotus) 기아 시 조직학적 변화 (Effect of starvation on tissues in Far Eastern catfish(Silurus asotus))

  • 구인본;김영수;박인석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315-322
    • /
    • 2020
  • 메기(Silurus asotus)의 기아 시 생존율, 생식소 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 간 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HSI) 및 장 중량지수(intestinosomatic index; ISI)와 신장세포, 장 상피세포 및 간세포의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섭이군이 92.2±0.47%, 기아군이 74.4±2.59%를 보였으며, GSI, HSI 및 ISI는 기아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신장세포 핵의 높이, 장 상피세포 핵의 높이, 간세포 핵의 크기 및 간세포의 크기는 섭이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p<0.05), 신장세포핵의 높이, 장 상피세포 핵의 높이 및 간세포 핵의 크기는 기아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p>0.05). 멜라닌대식세포(melano-macrophages; MMs)는 기아 동안 신장에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신장의 MMs 증가 및 간세포의 수축현상은 메기의 기아 상태를 식별하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메기의 영양 상태 확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넙치의 사료공급과 절식시 성장과 표현형질 특징 (Effect of Feeding and Starvation on Growth and Phenotypic Trait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emminck et Schlegel))

  • 박인석;우선랑;김은미;조성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3-187
    • /
    • 2006
  •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Temminck et Schlegel)에서 급이와 절식이 생존과 성장 및 표현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2주에 걸친 급이와 절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기간중 절식군의 생존율은 급이군에 비해 낮았다. 기아는 비만도, 일일성장률, 체중 성장률 및 실험 종료시 체중에서의 감소를 보이는 성장 저해를 나타낸 반면, 급이군은 지속적이고 양호한 성장을 보였다. 절식군은 급이군에 비하여 유사한 dressing비와 내장괴지수를 보였으며, 낮은 내장괴제거 체중을 보였다(P<0.05). 본 연구 결과, 급이와 절식 파악에 사용된 표현형질은 본 종의 영양 상태 확인의 지표로 유용하며, 넙치 표본시의 성장 시기 평가 결정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기아시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의 일부 영양 조건에서의 효과 1. 생화학적, 조직학적 변화 (Effect of Starvation on Some Nutritional Parameters in Rhynchocypris oxycephalus 1. Characteristics of the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changes)

  • 이근광;김용호;박인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3-41
    • /
    • 1999
  • 기아에 따른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의 생화학적, 조직학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간의 간중량지수, 단백질 함량, RNA 량 및 DNA 량 조사와 더불어 간세포 및 중장 상피 세포의 조직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아군은 포식군에 비해 간의 단백질 함량, RNA 량 및 DNA 량에서 높은 값을 보였지만, 먹이 공급 중단은 간 중량지수, 간 세포 핵 크기 및 중장 상피 세포 핵 높이에 있어서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조사된 RNA-DNA 비는 버들치의 영양 상태 파악 지수로 유용하였으며 또한, 버들치 표본 시기에서의 높은 성장 단계인지 혹은 낮은 성장 단계인지의 성장 활성 파악을 가능케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자료를 구체적으로 해석하였으며, 아울러 다수의 생물학적 중요 연관 사항들을 고찰하였다.

  • PDF

Long non-coding RNAs in Sus scrofa ileum under starvation stress

  • Wang, Shu;Ma, Yi Jia;Li, Yong Shi;Ge, Xu Sheng;Lu, Chang;Cai, Chun Bo;Yang, Yang;Zhao, Yan;Liang, Guo Ming;Guo, Xiao Hong;Cao, Guo Qing;Li, Bu Gao;Gao, Peng Fei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7호
    • /
    • pp.975-988
    • /
    • 2022
  • Objective: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long non-coding RNAs (lncRNAs) that play important roles in starvation stress, analyze their functions, and discover potential molecular targets to alleviate starvation stress to provide a theoretical reference for subsequent in-depth research. Methods: We generated a piglet starvation stress animal model. Nine Yorkshire weaned pigle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long-term starvation stress group (starved for 72 h), short-term starvation stress group (starved for 48 h), and the control group. LncRNA libraries were constructed using high-throughput sequencing of piglet ileums. Results: We obtained 11,792 lncRNAs, among which, 2,500 lncRNAs were novel. In total, 509 differentially expressed (DE)lncRNA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Target genes of DElncRNAs were predicted via cis and trans interactions, and functional and pathway analyses were performed. Gene ontology functions and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analysis revealed that lncRNA-targeted genes mainly participated in metabolic pathways, cellular processes, immune system processes, digestive systems, and transport activities. To reveal the mechanism underlying starvation stress, the interaction network between lncRNAs and their targets was constructed based on 26 DElncRNAs and 72 DEmRNAs. We performed an interaction network analysis of 121 DElncRNA-DEmRNA pairs with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greater than 0.99. Conclusion: We found that MSTRG.19894.13, MSTRG.16726.3, and MSTRG.12176.1 might play important roles in starvation stress. This study not only generated a library of enriched lncRNAs in piglets, but its outcomes also provide a strong foundation to screen key lncRNAs involved in starvation stress and a reference for subsequent in-depth research.

소 체내포 핵이식에 의한 핵-세포질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Nucleo-Cytoplasmic Interaction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in Bovine)

  • 정희태;최종엽;박춘근;김정익;민동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3-31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quiescent treatment of donor cells and activation treatment time of recipient cytoplasm on nuclear remodeling and in vitro development of somatic cell-cloned bovine embryos. Serum starved, confluent and nonquiescent cycling adult skin cells were teansferred into enucleated oocytes. Nuclear transfer oocytes were activated at 30 min, 1 and 2 hrs after electrofusion. Some nuclear transfer embryos(23% to 35%) extruded a polar body, which was not affected by quiescent treatment of donor cells and activiation time of recipient cytoplasm. About 68% of nuclear transfer embryos fused with a serum starved cells has a chromatin clump, but which was not different from embryos fused with confluent(51%) and nonquiescent(47%) cells. The proportion of embryos with a single chromatin clump was sightly increased when nuclear transfer embryos were activated within 30 min after fusion(69%) compared to those were activated at 1 and 2 hrs after fusion,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velopment rates to the blastocyst stage were 8.6% and 15.9% when serum starved and confluent cells were transferred, which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Developmental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was higher in embryos were activated within 30 min after fusion (17.3%) compared to those of embryos were activated at 1 and 2 hrs after fusion (P<0.05). From the present result, it is suggested that quiescent treatment of donor cells and activation time of recipient cytoplasm can affect the in vitro development. Quiescent plasm activation within 30 min after fusion could increase the number of embryos with a normal chromation structure, which results in increased in vitro development.

  • PDF

기아에 따른 양식 메기, Silurus asotus의 성장 및 생리적 반응 (Effects of Starvation on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Cultured Catfish, Silurus asotus)

  • 이정열;허준욱;김선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1-89
    • /
    • 2008
  • 메기, Silurus asotus에서 포식과 기아가 생존과 성장, 내장괴지수, 간중량지수, 생식소중량지수, 외형계측형질 변화 및 혈액 parameter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80일동안 기아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아군의 생존과 성장은 포식군의 생존과 성장에 비해 낮았다(P<0.05). 기아는 체중성장률, 일간성장률과 비만도에서 성장 정지 효과를 나타낸 반면, 포식군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다. 외형 계측형질 중복강 부위 횡단길이 관련에서 포식군은 실험 시작시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기아군은 차이를 나타냈다 (P<0.05). 실험 기간 중 혈액성상(cortisol, glucose, AST, ALT, RBC 및 hemoglobin)에서 포식군과 기아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포식과 기아 파악에 사용된 모든 parameter들은 본 종의 영양 상태 확인의 지표로 유용하며, 양식 메기의 성장 시기 평가 결정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Optimization of Procedure for Efficient Gene Transfer into Porcine Somatic Cells with Lipofection

  • Kim, D.Y.;McElroy, S.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5호
    • /
    • pp.648-656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conditions for transfection of a foreign gene into somatic cells using cationic lipid reagent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ransfection on in vitro development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embryos.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gene was used as a foreign gene and a non-transfected somatic cell was utilized as a control karyoplast. Monolayers of porcine cells were established and subsequently transfected with a GFP-expressing gene (pEGFP-N1) using three types of transfection reagents (LipofectAMINE PLUS, FuGENE 6 or ExGen500). Donor cells used for SCNT included transfected fetal or adult fibroblasts and oviduct epithelial cells, either serum-fed or serum-starved. Oocytes matured in vitro for 42 h were reconstructed with either transfected or non-transfected porcine somatic cells by electric fusion and activation using a single DC pulse of 1.8 kV/cm for $30{\mu}s$ in $Ca^{2+}$ and $Mg^{2+}-containing$ 0.26 M mannitol solution. Reconstructed oocytes were subsequently cultured in NCSU-23 medium for 168 h and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and cell number in blastocyst were compar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fusion, cleavage rates or development to the blastocyst stage between non-transfected, transfected, serum-fed and serum-starved cells. However, the rates of GFP-expressing blastocysts were higher in the FuGENE 6 group (71.4%) among transfection reagents and in the fetal fibroblasts group (70.4%) for donor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etal fibroblasts transfected with FuGENE 6 can be used as donor cells for porcine SCNT and that GFP gene can be safely used as a marker of foreign genes in porcine transgenesis.

해수 저염분 순치과정에서 먹이섭취가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유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on Postlarvae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during the Acclimation Process to Low Salinities in Seawater)

  • 김수경;심나영;조지현;김종현;김수경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377-384
    • /
    • 2018
  • 저염분 순치기간에 먹이를 섭취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초기 유생의 생리적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하루 동안의 순치기간에 염분농도에 따른 유생의 생존율은 차이를 보였지만 각 염분구간별 먹이섭취 유무에 따른 생존효과는 유사하였다. 그러나 먹이섭취 시 유생이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cholesterol, triglyceride의 증가가 있었으며 삼투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glucose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저염분 순치기간 동안에 스트레스, 조직손상 및 대사작용의 지표가 되는 BUN과 creatine의 감소가 있었다. 먹이섭취로 인한 소화효소의 활성이 먹이를 섭취한 실험구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유생발달과 함께 중요한 소화, 순환, 생식기관이 형성되며 탈피 성장을 위한 신진대사가 빠르게 진행되는 유생시기에 저염분 순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향후 지속적인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먹이를 섭취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