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s for Korean librarie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4초

미국 학교도서관 발전에 있어서 연방 법률과 학교도서관 기준 (The Federal Legislations and School Library Standards in the School Library Development of the U. S.)

  • 곽철완;최재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9-124
    • /
    • 2008
  • 본 연구는 미국 연방정부의 학교도서관 지원 법률과 학교도서관 기준이 학교도서관 발전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 학교도서관 관련 기준, 학교도서관 지원 연방 법률과 학교도서관 통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의 학교도서관 지원 연방 법률이 학교도서관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연방법률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 법률 목적에 부합하는 학교도서관 기준이 만들어져 학교도서관 발전을 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도서관 지원 연방 법률은 일회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제정되어 지속적으로 학교도서관에 예산을 지원을 하고 있었다. 미국 사례를 통해 본다면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역시 국가적 차원에서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며 반복적인 지원이 있어야 학교도서관이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우리나라 16개 시.도 공공도서관의 인력 현황 분석 (An Analysis on the Status of the Public Library Staff in 16 Metropolitan Governments in Korea)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23-342
    • /
    • 2013
  • 적정 규모의 인력은 공공도서관 운영에서 절대적으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16개 시도가 공공도서관 인력을 얼마나 확보하고 있는지 객관적 기준을 바탕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766개 공립 공공도서관의 인력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세 가지 기준, 즉 도서관법시행령, 한국도서관기준, 국제기준인 IFLA/UNESCO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법정 사서수의 46%만을 충족하고 있고, 한국도서관기준에서는 전체 직원의 경우 78%를 충족하고 있고, 사서직원의 경우는 44.5%만 충족하고 있다. IFLA/UNESCO기준에는 35.7%만 충족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사서직원 충원율이 낮고, 특히 전체 직원수는 국제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학교도서관기준에 나타난 SLMP의 교육적 이념 (The Educational Idea Presenting In the SLMP's Standards)

  • 김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121-147
    • /
    • 1985
  • In the modern communicative age, the standards of the school libraries are the qualitative guarantee on the services of school libraries 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as the guidline, the active guide, the policy documentation and criteria for the professional excellence. The standards of SLMP were revised the sixth time by the school library profession(ALA) with the members or agency of NEA in the U.S. There are the first standard was a quantitative; 'the Certain Report'(by A.L.A., 1920) appearing that the school library is the heart of the school, 2nd 1925; turning up the teaching material source and personel, 'School Libraries for today and tomorrow' (by AASL, 1945) incluse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 7th educational ideas in the quantitative feature, 'Standards for School Library Programs' (by AASL, 1960) express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 center, communicative environment,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Standards for school media programs' (by DAVI & AASL, 1969) implicating the instructional resource,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the condition precedent of qualitative education for excellence, 'Standards for media programs; District/school (by AASL & AECT, 1975) containing the improving user's educational experience and personal freedom on the use of SLMP's services. Through changing the standards of SLMP in the US, We have known that the main educational idea in the standards are; (1) SLMP is the instructional force and resource for qualitative, excellence education by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instructional resource, communicative environment (2) SLMP is the actualizing force and resource for user's self-realization by intellectual and personal excellence, individualizing, humanizing and personalizing education.

  • PDF

학교도서관 교구·설비기준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Standards for School Libraries Instructional Media and Equipments)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57-84
    • /
    • 2005
  • 교구$\cdot$ 설비기준은 학교 교육과정을 위한 기본 요소를 의미한다.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도서관은 교육과정을 지원하고 정보활용과 독서지도를 위한 기본적인 교육환경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교구 설비기준은 학교도서관의 사명을 담아야 하며, 교육적 역할에 적합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행 기준은 양적 질적 측면에서 불충분하다. 따라서 학교교구·설비기준 개정 시, 학교도서관 교구 ·설비기준은 특히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시설 지침; 2. 기본 설비 방안; 3. 교육적 역할에 적합한 교구 기준; 4. 기본 공간별 설비 종목; 5. 보다 상세한 정보기기 종목; 6. 특수학교도서관 기준 개선

도서관에서의 유비쿼터스 요소의 디자인 특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Ubiquitous Element in the Library)

  • 황지은;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137-145
    • /
    • 2015
  • Ubiquitous technology is currently being introduced to libraries at the fastest speed as compared to other space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ubiquitous technology to the existing analog space is causing problems despite such intelligence of libraries as the design standards for ubiquitous spaces have not been arranged yet. This researcher analyzed and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from the ubiquitous aspect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oriented libraries that are still at their initial stag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Myongji University Bangmok Library, and Yonsei University Library.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 libraries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standards for design analysis were deriv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Case analys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design elements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libraries based on the field observation, photographing, and interviews with managers. As a result, functionality, safety, cognition and convenience were deriv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nformativeness, playfulness, security, and simplicity which are the design characteristics were found. As a result of the case studies, while functionality and safety are met in most of the standards for design analysis, universality was very low. Care for minorities is need in a library as it is a space used by many unspecified individuals.

미국의 대학평가인정기준에 나타나는 대학도서관 평가기준의 최근 경향 (Recent Trends of the Assess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in the Context of American Regional Accreditation Standards)

  • 서혜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55-270
    • /
    • 2004
  • 미국의 대학평가인정제를 개관하였다. 그리고 2000년을 전후하여 대폭적으로 개정된 여섯 개 지역별 대학평가 인정기준을 대학도서관에 대한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섯 가지 특징적 변화 경향을 파악 하였다. 즉 목적 기반의 평가, 성과 중심의 정성적 평가, 학생의 학습성과 강조, 도서관의 가르치는 역할 강조, 원격교육 서비스 강화, 그리고 규범성과 구체성의 후퇴가 그것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최신 경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대학평가기준 중 도서관 관련 평가항목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전북지역 공공도서관의 발전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libraries in the "Chun-Buk" province in Korea)

  • 김포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5권
    • /
    • pp.25-77
    • /
    • 1988
  • A Library is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culture in a country and it is also a barometer of culture in its community. Every cultural reality, however, can hardly come to fruition in a short time and so, it will be effected through a long time and tradition. This study aims at catching up how the above-mentioned public libraries have an influence on culture of its community people. For this purpos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ublic libraries have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as a result of it, the problems have been reilluminated from the nation-wide point of view. And in the new changes, developing improvement measures have been tried to find. How to study was on the basis of the actual materials of the on the-spot survey, the interviews with the working officials and the response by way of questionnaire. Summing up the investigated and analyzed contents are as followings. In the above mentioned province, therefore, number of the public libraries are very limited compared with number of the people. And so, it is very essential to increase the public libraries in the province. In terms of the actual conditions, the public libraries lags far behind the other provinces in Korea from this library field. The present chronic conditions are the budgetary deficit, the collections insufficient to the legal minimal standards, the lack of professional librarians ignorance of the people and library managements by unprofessionals, etc.. This hinders the progress of the public libraries and to seculate them from the people. The improvements and the solutions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e as follows. 1. To recruit the personnel sufficient to the legal standards and to reorganize the offices and to turn upward the highest class of librarian's position above the 4th class. 2. To secure collections sufficient to the legal standards and to strang then the extension services. 3. To organize the council composed of the chief librarians of the public libraries including the working chiefs in the province and to develop the works-in-hand of the libraries from the level of decision-making. 4. To organize the librarian training group and to study the working problems and to seek the qualified improvement of librarians. 5. The management of the public libraries in the province are, at present, 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takes the financial power. So both should be shortly unified. 6. To do regularly the course of how to use library materials for the community people and to seek the inducement measures for the people through the various cultural events. 7. The public libraries organize the mutual cooperation networks and to seek the system automatized plans of free use of library materials and every library works. 8. To enlarge book mobile system actively and to infiltrate into the daily living of people deeply. Finally, what the present writer would like to speak to the chief librarians of the public libraries the human aspects of librarians should not be ignored no mater how excellent a library organization may be. In addition to this, the present writter is sure that the far-reached future of our library organization will depend on the librarians.

  • PDF

장애인도서관 지원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Support System for Libraries for the Disabled)

  • 윤소희;김유승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7-58
    • /
    • 2023
  • 본 연구는 장애인도서관 지원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논하여, 장애인도서관 운영과 서비스 개선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연혁적으로 분석하고, 장애인도서관의 법률적 정의와 관련 법령들을 논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도서관법」이 장애인도서관 지원 관련 규정을 뒷받침하는 시행령과 시행규칙의 하위규정을 갖추지 못한 채, 「장애인복지법」등이 이를 대신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애인도서관의 설립 연혁, 지역 및 주체, 등록 유형, 예산, 시설, 장서, 인력 등을 분석한 현황조사와 장애인도서관의 역할, 예산 지원, 등록제도 등에 관한 현장 실무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논한 면담연구를 통해, 관련 법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첫째, 「도서관법」을 통한 장애인도서관에 대한 정의와 기능 및 역할 명시, 둘째, 「도서관법 시행령」을 통한 장애인도서관 서비스 지원과 책무 수행 규정 마련, 셋째, 「도서관법」과 「도서관법 시행령」을 통한, 장애인도서관의 시설, 장서, 인력 기준 제시 등 장애인도서관 지원을 위한 세 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운영현황과 발전과제 (Current Status and Strategies for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윤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69-9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24개 공공도서관의 일반현황과 행정체계를 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의 시설, 인력, 장서, 예산 현황을 살펴보고, "제3차 도서관발전 종합계획(2019-2023)", "도서관법"과 "한국도서관기준"에서 제시하는 기준과 비교하였다. 둘째, 공공도서관 행정조직의 체계와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의 발전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지속적 확충, 사서직원 충원, 장서 확충, 노인 대상 서비스 강화, 예산 증액, 정책담당 전담부서 신설을 제안하였다.

캐나다의 도서관 행정 및 법제 분석 (Analysis of the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s and Legislations in Canada)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75-94
    • /
    • 2004
  • 이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논급되지 않은 캐나다의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그 행정체계와 법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캐나다는 10개의 주와 3개의 준주로 구성된 연방제 국가이며, 법률시스템은 불문법과 성문법을 혼용하고 있다. 현재 공공도서관은 약 1,045개이며, 이들의 관할 및 법제의 권한은 주 정부에 귀속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연방정부 차원의 공공도서관법은 없으며, 각각의 주정부가 제정한 도서관법령에서 그들의 설립 운영$\cdot$관리의 권한을 규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