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ized Dictionary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만화애니메이션 학술용어 표준화 및 용어사전편찬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artoon and Animation Terminology and Publication of a Terminology Dictionary)

  • 김일태;설종훈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0호
    • /
    • pp.17-31
    • /
    • 2006
  • 이 논문은 빠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정보 매체와 산업의 흐름에 대한 학문적 대응이 부족한데서 비롯되는 문제점 지적과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의지에서 시작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만화애니메이션분야와 관련한 기초학문 연구와 교재개발, 체계화 등이 필요한 실정이며 관련된 모든 분야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용어표준화와 용어사전의 마련을 위해 만화애니메이션 주요 선진국인 미주, 유럽, 일본 등의 교육, 산업현장, 학술단체인학회 등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국제용어의 규약을 만들기 위한 업무를 추진하고 있으며 새로운 용어의 발굴과 해설 작업이 부가된 용어의 통일, 규격화된 사전편찬연구를 상당부분 진행하였다. 이 연구결과물로 편찬되는 사전은 국내외 업계, 학계, 현장, 교육기관 등의 수많은 수요자들의 용어사용에서 발생되는 오류와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국방과학기술 전문용어 사전 구축을 위한 프로세스 및 워크벤치 개발 (Science and Technology Terminology Dictionary Building Process and Workbench Development in Defense Area)

  • 최중환;박정호;김경선;김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420-428
    • /
    • 2012
  • 용어 의미 표준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용어가 구축 활용되고 있으며, 국방분야에서도 국방용어 사전 발간을 통해 각 군의 효율적인 업무 연계 및 표준화된 국방 용어 유통체계를 정립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국방기술품질원에서도 3년을 주기로 국방과학기술분야의 전문용어 사전을 발간함으로써 전문용어 구축 표준화 연구는 물론, 전문용어의 활용성 제고에 힘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방기술품질원에서 전문용어 사전을 실제로 구축하는데 필요한 구축 프로세스와 조직, 이를 지원하기 위한 워크벤치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즉, 국방과학기술 전문용어 사전을 구축하기 위한 전문용어 사전구축 프로세스 및 조직의 구성, 표제어 정의, 전문용어 후보 추출을 위한 대상 문서의 선정, 전문용어 후보추출, 전문용어 후보군 생성, 워크벤치 등록, 사전 구축, 사전 검증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전문 용어 사전의 활용성 제고를 위해서 시소러스를 구축 활용하는 내용은 물론, 전문용어 사전 구축을 위해서 개발된 워크벤치의 기능을 중심으로 효율적인 전문용어 사전 구축 지원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스마트그리드 용어 표준화를 위한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집필 시스템 (Writing System of the Open Korean Knowledge Dictionary for Standardization of Smart grid Terminologies)

  • 황유모;김정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10호
    • /
    • pp.1337-1346
    • /
    • 2014
  • Power system technologies in the area of smart grid are being converged with communication system technologies or information technologies(IT). This interdisciplinary action affects on two parts vigorously so that IT has become a essential part of power industry. But terminologies of two parts are confused and it is necessary that these are standardized to develop the industry. The writing system of the Open Korean Knowledge Dictionary for standardization of smart grid terminologies which are IEC TC 57 glossary and non-glossary is proposed. The writing system includes the process of collection, writing guideline and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ies. Writing results of 90,000 terminologies for electricity, communication and computer fields including smart grid terminologies, which are registered in the Open Korean Knowledge Dictionary, are shown. The system provides the capability of collection and delivery of academic society opinions for the selected and interpreted terminologies through the internet for standardization and industry propagation of smart grid terminologies.

디스크립터의 의미기술로서 정의를 통한 애매성 제거 (The Ambiguity Exclusion Using Definitions as Meaning Description of Descriptors)

  • 김지훈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3호
    • /
    • pp.97-126
    • /
    • 2005
  • 지금까지 대부분의 시소러스에서 용어의 의미는 주로 관계나 범위주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시소러스가 양적으로 팽창해짐에 따라, 이들을 통해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점차 어렵게 되었다. 이에 일부 시소러스는 사전의 정의를 함께 수록하기도 하였지만, 그 내용이나 형식이 만족스럽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 연구는 용어의 의미를 제공하는 정의의 필요성을 토대로 표준화된 정의를 시소러스에 통합해 봄으로써, 시소러스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협업적 소프트웨어 개발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llaborative Software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 한관희;송희석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9-92
    • /
    • 2006
  • Since software development team members have been more geographically spread due to the globalization of business and Internet technologies, the management of deliverables and communication efforts for developing high-quality software products on time is becoming more complicated. Among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collaborative software development management, the manipulation of shared information objects is essential for the collaborative work among distributed development team members. This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information object management framework comprised of a so-called BOC (Bill Of Class) scheme and a standardized software part dictionary for managing shared information objects efficiently among distributed co-workers. In order to manage these complex information objects, the proposed framework adopt product structures represented by Bills Of Materials (BOM) as stems for integrating the various information objects. Based on the proposed framework, a collaborative software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CSDMS) is implemented, and the functionalities and the structure of the system are also describ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sufficient functionalities for the change management of information objects and the management of their relationship to other objects rather than existing system.

A Study on the Standardized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Various Railway Information Systems

  • Choi, Yong-Ho;An, Tae-Ki;Kim, Hyoung-G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85-90
    • /
    • 2018
  • The new information service has been demanded due to the recent mobile internet activation, and the government is promoting the activation of the private use of the public data by putting up the Government 3.0.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y, many public sectors provide public data, but the railway sector is inferior to other public sector. In the case of national railway corporation, urban railway is now operated by 14 corporations such as Seoul Metro through the nation and high-speed railway is now operated by Korea Railroad Corporation and Supreme Railways. It is very difficult to standardize and integrate data due to mutual interests of national railway corporation. This paper describes a way to standardize and integrate rail passengers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research project.

국어학 연구의 성격과 태도에 대한 반성 (Reflections on the Study of national Language in Korea)

  • 임용기
    • 인문언어
    • /
    • 제5권
    • /
    • pp.55-74
    • /
    • 2003
  • The issues concerning the nature of the attitude toward the study of national language may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depending on the national or racial characteristics. The problem domains and the methodologies dealing with them may vary accordingly. Ever since the Korean language was equipped with a writing system in the year of 1443 through King Sejong's long-cherished desire, investigations have been constantly made into the real nature of the language itself in pursuit of a better method for representing the spoken language in written form. This is how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began to take shape. Among such investigations are Hunmin-jeong-eum(the Korean script: 1446) compiled by Jiphyon-jon, the royal office of schloarly researches, Doongguk-jeonghun-yokhun (the orthodox script of Korean: 1448), Hongmu-jeonghun-yeokhun(interlinear gloss for the Chinese script of the Ming Dynasty: 1455), An Orthodox Approach to Written Korean (1909) by the institute of the National Script, Re Standardized Spelling System (1933) by Chosun Language Society, An Authorized Dictionary of Standard Korean (1936), How to Write Borrowed Words(1940), and A Grand dictionary of Korea (1947-57). Chu Shi-Gyung's Phonetics of the Korean Script(1908), Korean Grammar(1910), and Sound Patterns of Korean(1914) were all written in this vein; so was Choi Hyun-Bae's Uri-mal-bon (the rudiments of Korean Grammar: 1929/1937). All these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are the end-products of the constant endeavor to solve the issues related to the spoken and written farms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is is how the uniqueness and autonomy of the language study in korea have been established. It should be borne in mind, however, that, in seeking solutions to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Korean linguistic studies of foreign countries. On the contrary, they have been very active in accommodating such results. While they have set up their problem domains on the basis of the korean language, they been progressively open-minded in looking for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at hand.

  • PDF

MPEG-21 기반의 REL/RDD 연동 시스템 (A Integration Systems of REL/RDD based on MPEG-21)

  • 연동희;김윤기;송종철;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21-424
    • /
    • 2005
  • 최근 급증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위한 전송 및 소비방식에 관한 관리기술이 각각의 기업마다 호환성을 염두 하지 않은 채 개발됨에 따라 상호간의 공유가 불가능해 체계적인 저작권 기술개발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를 위해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산하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위원회에서는 MPEG-21 프레임워크를 제정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저작권 처리 언어로 REL(Right Expression Language)을 제안하고 표준화하였다. 그러나 REL 문서의 작성을 위해서는 XML과 REL 구조를 정의한 스키마(Schema)등의 전문 지식이 필요한 것과 REL 문서의 권한과 소비 측 권한의 명칭이 다를 때 생기는 모호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편리하게 REL 문서를 저작하고 검증하기 위한 REL 저작 및 소비 시스템과 REL의 모호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한 RDD(Right Data Dictionary) 연동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XMDR을 이용한 데이터웨어하우스 실시간 데이터 정제 시스템 설계 (Design of DatawareHouse Real-Time Cleansing System using XMDR)

  • 송홍율;정계동;최영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861-1867
    • /
    • 2010
  • 데이터웨어하우스는 기업에서 의사결정이나 기업의 정책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분산 환경에서 새로운 시스템이 추가되면 데이터 통합 측면에서 시스템간의 여러 가지 이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질적인 특성을 해결하기 위해 첫째, 데이터 구조의 이질성은 표준기관에서 제정한 표준스키마와 XMDR(eXtended Master Data Registry)를 이용하여 추상화된 쿼리를 생성하고, XMDR에 맞게 쿼리를 분리함으로써 구조적인 이질성을 해결한다. 둘째, 데이터 정의 및 표현의 이질성은 메타데이터에 대한 유사어와 데이터 값의 표현 방식을 정의한 메타데이터 사전을 이용함으로써 해결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XMDR을 이용하여 분산 시스템 통합시 로컬시스템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기 위해 분산된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을 위한 표준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DRAZ : 이기종 메타 데이터 소스를 위한 SPARQL 쿼리 엔진 (DRAZ: SPARQL Query Engine for heterogeneous metadata sources)

  • 우메이르 쿠두스;엠디 이브라힘 호세인;이창주;키파야트 울아 칸;원희선;이영구
    • 데이타베이스연구회지:데이타베이스연구
    • /
    • 제34권3호
    • /
    • pp.69-85
    • /
    • 2018
  • 최근 DCAT, CKAN 같은 동종 데이터 집합에 대해 질의를 동시에 수행하여 쿼리 결과의 품질을 크게 향상하는 페더레이션 쿼리 엔진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비표준 쿼리를 사용하며 정적 바인딩을 적용한 몇 가지 이기종 데이터 집합 또는 동종 데이터 집합에 대해서만 질의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SPARQL을 사용하여 여러 데이터 소스에 질의하는 페더레이티드 엔진 (DRAZ)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주어진 SPARQL 쿼리의 모든 트리플 패턴을 API 호출로 변환하여 해당 데이터셋에 접근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API 호출 결과를 N-트리플로 변환하고 모든 트리플 패턴을 고려한 최종 결과를 요약한다. 우리는 제안하는 DRAZ를 DCAT 및 DOI와 같은 이기종 메타 데이터 표준을 고려하여 수정된 Fedbench 벤치 마크 질의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인 DRAZ가 JOIN 작업을 사용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의 70-100 % 정확도를 달성 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