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metabolism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5초

보리순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 함량과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oung Barley Leaf on Lipid Contents and Hepatic Lipid-Regulating Enzyme Activities in Mice Fed High-Fat Diet)

  • 양은주;조영숙;최명숙;우명남;김명주;손미예;이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1호
    • /
    • pp.14-22
    • /
    • 2009
  • 본 연구는 고지방 (열량의 37%를 지방으로 대체)을 급여한 마우스의 체중과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보리순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ICR 마우스 (n = 32)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대조군, 고지방-보리순분말군과 고지방-보리순열수추출물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보리순은 사람이 하루에 3잔의 차를 마시는 양을 고려하여 보리순 1%수준이 섭취되도록 분말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식이에 첨가 조제하여 8주간 급여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보리순분말군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보리순열수추출물은 식이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마우스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특히, 내장지방무게의 대표적 지표인 부고환지방조직 무게를 유적으로 낮추었다. 이는 보리순이 식이섭취 억제에 의존적으로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제시한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각각 25%와 20%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중성지질 함량은 보리순분말군과 열수추출물군 모두 28%와 43%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혈장 중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HTR)를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였다.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각각 1.3배, 1.2배의 증가를 보였으나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모두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신장에서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고지방식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심장에서는 1.4배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보리순열수추출군에서만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볼 수 있었다. 간조직과 신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심장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대조군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리순열수추출물의 경우 심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변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낮은 반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약 6배 높았다. 한편, 보리순말과 열수추출물 급여는 고지방 대조군에 비하여 변으로의 트리글리세리드 배설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조직 중 FAS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에서 1.7배 높아진 반면, ${\beta}$-oxidation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지방산 합성효소의 활성을 정상군 수준으로 개선하였으나 지방산 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련하는 HMG-CoA reductase와 ACAT 활성은 각각 정상군보다 고지방대조군에서 각각 2.1배, 1.5배씩 높았으나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와 같이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의 간조직에서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지질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보건 환경평가를 위한 모발의 중성자방사화분석 (Neutron Activation Analysis of Human Hair for Human Health Assessment)

  • 정용삼;강상훈;문종화;강영환;조승연
    • 분석과학
    • /
    • 제14권2호
    • /
    • pp.131-139
    • /
    • 2001
  • 인체모발중의 각종 미량원소의 함량에는 개인차가 있으며, 개인의 성장환경, 음식물의 섭취, 혈통, 성별, 나이, 직업 등에 의해 함량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생활환경으로부터의 외부오염과 음식섭취 및 대사작용을 통한 모발조직내 축적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인체 모발시료를 채취하여 IAEA의 추천 방법을 이용하여 세척 전후로 나눠 중성자방사화분석법을 이용하여 비파괴 분석하였다. 분석정도관리는 인증표준시료를 이용하였고 Cu, Cr, Na, Co, Mg, As, Se, Zn 등의 상대오차는 ${\pm}5%$ 이내, Mn, Ca, Fe, Sr 등의 원소들은 ${\pm}10%$ 이내였으며, 상대표준편차는 대부분 ${\pm}10%$ 이내였다. 일반인 그룹의 모발을 전두부, 후두부, 좌우두부, 정두부 등 5개 부위에서 채취, 분석하여 개인편차와 부위편차를 추정하였다. 측정원소의 개인편차가 부위편차보다 컸으며, 최대 7배 까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해진 분석조건에서 사무원과 공장근로자 그룹을 대상으로 두 그룹간의 함량 편차, 생활환경과 모발내 우소의 함량수준간의 연관성을 비교하여 인체 보건환경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담배세포 (Nicotiana tabacum) 의 액체배양에 관한 연구 (Effects of Nutritional Conditions on Tobacco (Nicotianatcbfeum L) Cell Suspension Culture)

  • 윤경은;김용철;민태기;손세호;강서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
    • /
    • 1979
  • 담배 (Va 115) 細胞의 液 培養에서 담배細胞의 多量生産을 할 수 있는 Tank 培養에 關한 基礎調査로 培地造成의 果를 調査하였으며 細胞增殖率에 큰 影響을 미쳤던 2,4-D와 無機燐酸의 果에 關하여 調査하였다. 1. 培地造成에서 細胞增殖率에 많은 影響을 미쳤던 要素는 무糖, 無機燐酸의 濃度,窒素源의 形態 및 植物홀몬,特히 2, 4-D의 有無였다. 2. 무糖의 最適濃度는 3%였으며 3%以上의 濃度에서는 多少 細胞增殖率이 좋은 듯 하였으나 그 差異는 크지 않아 3% 程度로 足하였다. 無機燐酸濃度는 LS 培地內의 無機燐酸의 約 2.5 培인 0.30mg/ml 일 때 細胞增殖率이 가장 좋았다. 3. 液 培地의 窒素源은 암모니아態窒素와 硝酸態窒素가 1 : 2 일 때가 가장 좋았고 窒素源이 암모니아태 만으로 使用하였을 때 細胞增殖率이 가장 낮았으며 硝酸態만 使用되었을 때는 암모니아태만 쓰였을 때 보다는 좋았으나 암모니아태와 硝酸態의 比가 1 : 2 일 때 보다는 떨어졌다. 4. 液 培地에 2,4-D 添加와 無機燐酸濃度를 높이면 細胞增殖率이 增加되는 機作을 調査하기 爲하여 呼吸率과 14C - glucose 吸收利用을 調査하였다. 細胞의 吸收率은 2, 4-D를 添加하면 增加되며 14C-glucose의 吸收는 培地內에 2, 4-D가 包含되거나 (0.2 ppm) 燐酸濃度가 높아지면(對照의 2.5培) 더욱 많았고, 吸收된 14C-glucose는 糖 상태보다 다른 形態,特히 amino 酸이나 有機酸으로 많이 变하였다.

  • PDF

Konjac Glucomannan 가수분해 올리고당의 중합도별 Bifidobacterium spp.에 대한 대사활성 (Metabolism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p. by D.Ps of Konjac Glucomannan Hydrolysates)

  • 최준영;박귀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86-1191
    • /
    • 2004
  • DEAE-sephadex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Bacillus sp. 유래 h-mannan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은 21.57 units/mg, 정제배율은 93.78배를 나타내었다. 최적 온도는 5$0^{\circ}C$, 최적 pH는 6.0이며, 온도 안정성에서는 30∼5$0^{\circ}C$에서는 90%이상의 잔존활성을 나타내었고,70∼8$0^{\circ}C$에서는 30%이하의 잔존활성을 나타내었다. pH 안정성에서는 pH 5.5∼7.0에서 100%의 잔존활성을 나타낸 반면 pH 2.0∼4.0에서는 40%이하로 감소되 었다. 정제효소에 의해 konjac gluc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1차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와 2차 sephadex G-25 gel filtration 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및 FACE에 의해 주요 당가수분해물은 중합도 5와 7로 확인되었다. B. iongum, B. btfidum, B. infantis, E. adolescentis, B. animalis, B. breve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5와7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배지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5와 7을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의 경우 특징적으로 각각 4.67, 5.33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B. breve에 대해서는 중합도 5 glucomannooligosaccharide를 처리시 2.42배의 생육활성을 나타내었으나 B. infantis와 B. adolescentis에 대해서는 중합도 5와 7의 올리고당을 탄소원으로 대체시 오히려 생육활성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일부 대학생들의 타우린 섭취가 생화학적 및 혈액학적 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urine Intak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Serum Biochemistry and Blood Hematology)

  • 최우순;이재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36-244
    • /
    • 2018
  • 타우린은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간 기능 개선 및 당뇨병 및 혈소판 기능을 향상시키는 여러 작용을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타우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결과가 많지 않다. 이에 기본 용량을 복용 후 혈당질환과 간질환, 지질 질환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타우린 복용군 15명과 대조군 15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타우린은 기본 용량인 1,000 mg을 식후에 2주 동안 복용 후 변화를 확인하였다. 대상자 모두 기숙사에서 제공하는 식사 외에 약이나 기타 음식을 절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타우린 복용군에서 간 기능 검사인 GGT는 섭취 전 $23.53{\pm}25.73IU/L$, 섭취 후 $15.15{\pm}4.91IU/L$로 감소하였다(P=0.186). 지질 대사인 TG는 섭취 전 $100.4{\pm}28.33mg/dL$, 섭취 후 $80.22{\pm}17.08mg/dL$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T-cho, LDL-C이 감소를 보였고, HDL-C이 약간 증가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간 기능과 지질대사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segmented neutrophil 백분율이 감소하고, lymphocyte 백분율이 증가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면역학적 기능과 관계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Phylogenetic Analysis of 16S rDNA Sequences Manifest Rumen Bacterial Diversity in Gayals (Bos frontalis) Fed Fresh Bamboo Leaves and Twigs (Sinarumdinaria)

  • Deng, Weidong;Wanapat, Metha;Ma, Songcheng;Chen, Jing;Xi, Dongmei;He, Tianbao;Yang, Zhifang;Mao, Huam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7호
    • /
    • pp.1057-1066
    • /
    • 2007
  • Six male Gayal (Bos frontalis), approximately two years of age and with a mean live weight of $203{\pm}17$ kg ($mean{\pm}standard\;deviation$), were housed indoors in metabolism cages and fed bamboo (Sinarundinaria) leaves and twigs. After an adjustment period of 24 days of feeding the diet, samples of rumen liquor were obtained for analyses of bacteria in the liquor. The diversity of rumen bacteria was investigated by constructing a 16S rDNA clone library. A total of 147 clones, comprising nearly full length sequences (with a mean length of 1.5 kb) were sequenced and submitted to an on-line similarity search and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he criterion of 97% or greater similarity with the sequences of known bacteria, 17 clones were identified as Ruminococcus albus, Butyrivibrio fibrosolvens, Quinella ovalis, Clostridium symbiosium, Succiniclasticum ruminis, Selenomonas ruminantium and Allisonella histaminiformans, respectively. A further 22 clones shared similarity ranging from 90-97% with known bacteria but the similarity in sequences for the remaining 109 clones was less than 90% of those of known bacteria. Using a phylogeneti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clones identified (57.1%) were located in the low G+C subdivision, with most of the remainder (42.2% of clones) located in the Cytophage-Flexibacter-Bacteroides (CFB) phylum and one clone (0.7%) was identified as a Spirochaete. It was apparent that Gayal have a large and diverse range of bacteria in the rumen liquor which differ from those of cattle and other ruminants. This may explain the greater live weights of Gayal, compared to cattle, grazing in the harsh natural environments in which Gayal are located naturally.

암컷 hGHTg 비만 쥐에서 경신해지환(輕身解脂丸) (GGT1)에 의한 비만관련 유전자 mRNA 발현의 변화 (Changes in mRNA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by GyeongshinhaeGihwan 1 (GGT1) in hGHTg (human growth hormone transgenic) obese Female Rats)

  • 윤기현;윤미정;김훈;신순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83-387
    • /
    • 2006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yeongshinhaeGihwan 1(GGT1) frequently used as an anti-obesity herbal medicine in oriental medicine on the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we measured the changes in mRNA levels of these genes by GGT1 in human growth hormone transgenic (hGHTg) obese female rats, and these effects by GGT1 were compared with those of reductil (RD), an anti-obesity drug approved by FDA. Rats received once daily oral administrations of autoclaved water, RD, or GGT1 for 8 weeks. At the end of study, rats were sacrificed and tissues were harvested. Total RNA from adipose tissue, liver and kidney was prepared and the mRNA levels for LPL (lipoprotein lipase), $PPAR{\gamm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gamma), $PPAR{\delt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delta), leptin, $TNF{\alpha}$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nal standard G3PDH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were analyzed by RT-PCR.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PAR{\gamma}$ mRNA levels of liver and kidney were decreased in both RD and GGT1 groups, and the effects were more prominent in GGT1 group than in RD group, suggesting that GGT1 is effective in the inhibition of lipid storage by decreasing the $PPAR{\gamma}$ expression. $PPAR{\delta}$ mRNA levels of adipose tissue were increased by RD and GGT1 compared with DW, and the magnitude of increase were higher in GGT1 group than in RD group, indicating that GGT1 stimulates fatty acid oxidation and energy metabolism by activating $PPAR{\delta}$ expression. GGT1 group had higher concentrations of serum leptin, a well-known inhibitor of appetite, than control and RD groups. However, The mRNA levels of leptin, LPL, and $TNF{\alpha}$ were not changed by GGT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GT1 can prevent obesity in hGHTg obese female rats by down-regulating and up-regulating the mRNA expression of $PPAR{\gamma}$ and $PPAR{\delta}$, respectively, and that this anti-obesity effects were more pronounced in GGT1 group compared with RD group. In addition, GGT1 seems to inhibit obesity by increasing the circulating leptin levels.

Effects of Feeding Barley Naturally Contaminated with Fusarium Mycotoxin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emistry of Gilts and Growth Recoveries by Feeding a Non-contaminated Diet

  • Kong, C.;Shin, S.Y.;Park, C.S.;Kim, B.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5호
    • /
    • pp.662-670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barley naturally contaminated with Fusarium mycotoxins on growth performance, vulva swelling, and digestibility of dry matter, organic matter, and crude protein of gilts and the recovery of gilts fed normal diets immediately after the exposure to contaminated diets by measuring growth performance and vulva swelling. In Exp. 1, four diets were prepared to contain 0%, 15%, 30%, or 45% contaminated barley containing 25.7 mg/kg deoxynivalenol and $26.0{\mu}g/kg$ zearalenone. Sixteen gilt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BW) of 33.3 kg (standard deviation = 3.0) were individually housed in a metabolism crate and assigned to 4 diets with 4 replicate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based on BW. During the 14-d feeding trial, individual BW and feed consumption were measured weekly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engths of vulva were measured every 3 d. From d 10, feces were collected by the maker-to-marker method for 4 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on d 14. During the overall period, the average daily gain, average daily feed intake, and gain:feed of pigs linearly decreased (p<0.01) as the dietary concentration of contaminated barley increased. However, the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was linearly increased (p = 0.011) with the increasing amounts of contaminated barley. Increasing dietary Fusarium mycotoxin concentrations did not influence vulva size, blood characteristic as well as immunoglobulin level of pigs. In the Exp. 2, a corn-soybean meal-based diet was formulated as a recovery diet. Pigs were fed the recovery diet immediately after completion of the Exp. 1. During the 14-d of recovery period, the individual BW and feed consumption were measured weekly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ength of vulva were measured every 3 d from d 0. On d 7, the feed intake of pigs previously fed contaminated diets already reached that of pigs fed a diet with 0% contaminated barley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performance among treatments was observed during d 7 to 14 of the recovery period. In conclusion, increasing levels of mycotoxins in diets linearly decreased the growth performance of pigs, and these damages can be recovered in 7 d after the diet was replaced with a normal diet. The vulva size, blood characteristic, immune responses were not affected by increasing level of contaminated barley in the diets fed to pigs.

식이 지방산 종류가 운동 시 조직 내 Pro-및 Macro-Glycogen의 동원 및 재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on Pro- and Macro-Glycogen Utilization and Resynthesis in Rat Skeletal Muscle)

  • 이종삼;김재철;권영우;이장규;이정필;윤정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3호
    • /
    • pp.211-22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effect of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on pro- and macro-glycogen utilization and resynthesis. The analyses were further extended for different muscle fibers (type I, type II, & type IIb) as well as tissues (i.e., liver & heart). Total one hundred sixty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and ra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animals fed standard chow diet (n=40), animals fed saturated fatty acid diet (n=40), animals fed monounsaturated fatty acid (n=40), and animals fed polyunsaturated fatty acid (n=40). Animals in each groups were further divided into five subgroups: sacrificed at REST (n=8), sacrificed at immediately after 3 hr swim exercise (P-0HR, n=8), sacrificed at one hour after 3 hr swim exercise (P-1HR, n=8), sacrificed at four hour after 3 hr swim exercise (P-4HR, n=8), and sacrificed at twenty-four hour after 3 hr swim exercise (P-24HR, n=8). Soleus (type I), red gastrocnemius (type IIa), white gastrocnemius (type IIb), liver, and heart were dissected out at appropriated time point from all animals, and were used for analyses of pro- & macro-glycogen concentrations. After 8 weeks of dietary interven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mass in any of dietary conditions (p>.05). After 3 hr swim exercise, blood lactate level was higher compared to resting conditions in all groups, but it was returned to resting value after 1 hr rest (p<.05). Free fatty acid concentration was higher in all high fat fed groups(regardless of fatty acid composition) than CHOW consumed group. At rest, pro- & macro-glycogen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from any of experimental groups (p>.05). Regardless of forms of glycogen, the highest level was observed in liver (p<.01), and most cases of supercompensation after 3hr exercise observed in this study were occurred in CHOW fed tissues. Except heart muscle, all tissues used in this study showed that pro- and macro-glycoge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3 hr exercise. Based on these results, two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re is no different level of glycogen content in various tissues regardless of types of fatty acids consumed and second, the highest mobilization rate would be demonstrated from CHOW fed animals compare to animals that consumed any kinds of fatty acid diet if prolonged exercise is applied.

지방 함량에 따르는 흰쥐의 체내 대사 연구 (A study of metabolic effect in high and low fat diet on Albino Rat)

  • 김숙희;조명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권4호
    • /
    • pp.169-176
    • /
    • 1972
  • male female 80 마리의 흰쥐를 저지방식, 고지방식, 무지방식, 표준식이를 주어 16주간 동안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물의 체중증가율 질소의 이용율, 간과 serum 내의 성분의 변화를 분석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연 다음과 같다 지방의 식이내 함량에 따라서 체내 질소 대사에 미치는 영향으로 총 질소 보유율과 serum 내의 총단백질 albumin, globulin 의 함량, 각 장기 내의 질소 함유량들을 보았으나 대체적으로 현저한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각 장기에 있어서 총 질소 함유량을 보면 liver 와 spleen 이 식이 성분에 대해서 예민한 반응을 보였으며, brain 이 가장 적은 변화를 나타내었다. 한편 serum 내 glucose함량에는 식이 함유된 지방 함량에 따라서 큰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산발적으로 나타났지만 저지방군과 표준군을 male female에서 비교해 보면 다 같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 이로 미루어 보면 2% 저지방군이 serum 내의 glucsoe 양에는 영향을 크게 미치지는 않는다고 볼 수 있다. serum 내 lipid 와 cholesterol 의 함량은 식이내 함유된 지방량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 고지방군인 30% 지방 첨가로 serum 내의 lipid 와 cholesterol 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저지방군인 2% 의 식이내 지방 첨가는 표준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보아 2%의 저지방군이 지방질 체내 축척에 있어서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 한국 영양 섭취 실정으로 미루어 보면 지방의 섭취량을 우선 일정량으로 올리는 것이 중요한 일이라고 보는데 본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식사내 2% 지방 첨가가 표준군과 모든 면에서 유사하였다. 반면 대부분의 구미 각국에서는 총열량에 대한 지방량의 비율이 $30{\sim}40%^{7)}$로서 상당히 많은 량의 지방을 섭취하고 있으나, 이들 각국은 지방 섭취량을 저하시키는 경향이므로 지방 섭취량의 대한 권장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