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Schema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9초

XML 데이타 갱신에 대한 효율적인 유효 검증 기법 (An Efficient Validation Method for XML Data Updates)

  • 이지현;박명제;정진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4권2호
    • /
    • pp.153-165
    • /
    • 2007
  • XML은 웹 데이타 표현 및 교환을 위한 표준으로 많은 응용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XML Schema는 표준 XML 스키마로, 정의된 XML Schema에 의거하여 작성된 XML 문서를 ‘유효한 XML 문서’라고 하며 이러한 XML 문서는 갱신이 된 후에도 XML Schema에 대해 유효함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갱신 이전에 갱신과 관련된 부분에 대한 유효 검증을 수행하여 불필요한 유효 검증을 제거한 XML Schema 유효 검증 메커니즘인 ‘예상 갱신 부분 유효 검증 기법’과 갱신 별 유효 검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XML 데이타와 XML Schema 간의 매핑 방법과 XML Schema 유효 검증을 지원하기 위해 효율적인 스키마 정보 추출을 제공하는 XML Schema 저장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스키마 저장 방법에 따른 갱신 별 유효 검증 성능을 비교한다.

컴퓨팅 리소스 관리를 위한 표준 메타데이터 스키마 설계 (Design of Standard Metadata Schema for Computing Resource Management)

  • 이미경;조민희;송사광;임형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3-43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국가연구데이터커먼즈에서 연구데이터 분석·활용에 사용되는 컴퓨팅 리소스를 등록, 검색, 관리하기 위한 컴퓨팅 리소스 표준 메타데이터 스키마 설계 방안에 대해 소개한다. 국가연구데이터커먼즈는 연구데이터 공유·활용 극대화를 위한 연구데이터와 컴퓨팅 리소스 연합 활용 체계이다. 컴퓨팅 리소스는 연구 전 과정에서 사용하는 연구데이터를 분석·활용하는데 필요한 분석 인프라, 분석 소프트웨어 등 컴퓨팅 환경의 모든 리소스들을 말한다. KRDC 컴퓨팅 리소스 관리를 위한 표준 메타데이터 스키마는 컴퓨팅 리소스 관리를 위한 공통 필수 속성과 각 컴퓨팅 리소스 특징에 따른 속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컴퓨팅 리소스 관리를 위한 표준 메타데이터 스키마는 컴퓨팅 리소스 메타데이터 스키마와 컴퓨팅 리소스 제공자 메타데이터 스키마로 구성된다. 또한, 컴퓨팅 리소스와 제공자의 메타데이터 스키마는 성격에 따라 서비스 스키마와 시스템 스키마 그룹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다. 표준 메타데이터 스키마는 KRDC 프레임워크를 통해 컴퓨팅 리소스 제공자와 컴퓨팅 리소스 사용자를 위한 컴퓨팅 리소스 등록, 카탈로그 검색, 컴퓨팅 리소스 관리, 워크플로우 서비스에 사용되며, 다양한 컴퓨팅 리소스 연계를 위해 확장 가능한 형태로 설계되었다.

  • PDF

A Study for the Message Exchange of the EVSE Communication Controller using XML Schema Transformation

  • Un, Koaunghi;Jang, Hyuksoo;Kim, Myongsoo;Kim, Hwimin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1호
    • /
    • pp.71-81
    • /
    • 2016
  • An EVSE and the EV exchange XML formatted communication messages with each other, whose structure is described by the V2G CI schema in the ISO/IEC 15118 international standard, and the EVSE and the power grid exchange messages based on SCL file with each other, whose structure is described by SCL schema in the IEC 61850 international standard. Because XML files can be restructured by XSLT, V2G messages can be transformed to/from SCL files using XSLT. In this study, the two schemas are analyzed and compared in order for the restructuring of the two differently structured XML instances. As a result, two XSL scripts can be produced for the transformation between XML files conforming ISO/IEC 15118 V2G CI schema and IEC 61850 SCL schema respectively to avoid manual data mapping which can happen in every application development cases.

항만 IFC Viewing을 위한 형상 및 속성 정보 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Extracting Shape and Attribute Information for Port IFC Viewing)

  • 김근호;박남규;주철범;김성훈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67-74
    • /
    • 2021
  • An IFC file is dependent on the IFC schema. Because of this relationship, most IFC-using software reads and interprets the IFC File by employing an early binding method, which uses a standard IFC schema. In the case of most open sources, early binding methods using standard IFC schema have a problem that they cannot express extra information of IFC File out of extended IFC schema. Also, in the case of previous studies, they suggested schema extension, such as adding attribute information to the schema, rather than the interpretation of IFC File. This study research on method of extracting shape and attribute information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IFC File produced through the Port schema, which is an extended IFC schema. Three objects were created using the refer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 schema definition and the IFC entity, and, at the end, the three objects were combined into one objec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hape and property data were express properly while delivering the combined object to the viewer. The process is possible because of the method of matching IFC schema and IFC File, which is dependent on IFC schema but not early binding method. However, this method has some drawbacks, such that contemporaneously generated many objects consume many memory spaces. Future research to investigate that issue further is needed.

모바일 증강현실을 위한 영상 메타데이터 설계 (Design of Image Metadata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 이용환;박제호;윤경로;김정길;김영섭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63-27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현실세계 영상과 가상세계 객체를 하나의 프레임에 융합하는 증강현실 기술에서 효과적인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메타데이터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설계 구조는 영상검색 표준인 JPSearch 핵심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기반으로, 산업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분석하고 실제적인 증강현실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제안 스키마는 이기종 시스템 간의 정보 교환이 가능한 체계화된 스키마 구조이다. 프로토타입 시스템 개발을 통해, 제안 스키마 구조를 ISO/IEC SC29 WG1 영상 기반 증강현실 표준 메타데이터 포맷으로 제안할 예정이다.

Mobile Cloud System based on EMRA for Inbody Data

  • Lee, Jong-Sub;Moon, Seok-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327-333
    • /
    • 2021
  • Inbody is a tool for measuring health information with high reliability and accuracy to analyze body composition. Unlike the existing method of storing/processing and outputting data on the server side, the health information generated by InBody requires accurate support for health sharing and data analysis services using mobile devices. However,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information to a mobile service, a problem may occur in data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ing.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ince the network network in the cloud environment is used, if the connection is cut off or the connection is chang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global service, not a temporary area, focusing on the mobility of InBody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InBod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mobile devices, a standard schema should be defined in the mobile cloud environment to enable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standardized InBody data and mobile devices. We propose a mobile cloud system using EMRA(Extended Metadata Registry Access) in which a mobile device processes and transmits body data generated in the inbody and manages the data of each local organization with a standard schema. The proposed system processes the data generated in InBody and converts it into a standard schema using EMRA so that standardized data can be transmitted. In addition, even when the mobile device moves through the area, the coordinator subsystem is in charge of providing access services. In addition, EMRA is applied to the collision problem due to schema heterogeneity occurring in the process of accessing data generated in InBody.

XDR 스키마를 위한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 (UML Class Diagram for XDR Schema)

  • 유문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35-44
    • /
    • 2003
  • XML이 웹에서 사용하는 문서와 데이터의 표준이 되고 있다. XML의 문서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스키마다. 이 중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중심이 되어 개발하고 있는 스키마인 XDR은 스키마 중에서 실제적인 활용을 주도하고 있다. UML은 객체지향 개발 방법론에서 나온 표기법으로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데 유용한 도구이다. 본 논문은 XDR의 스키마의 구조를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 변환하는 방법과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변환으로 XML의 문서구조를 시각화하여 XML문서의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고 재사용성과 유연성을 높여 XML문서 개발을 효율적으로 하게 하였다.

  • PDF

스마트축사 센서데이터에 대한 GS1 EPCIS 이벤트 스키마설계 및 정보 운용방법 (GS1 EPCIS Event Schema Design and Information operation method for Smart Livestock Barn Sensor Data)

  • 우성필;변재욱;김현섭;김대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08-411
    • /
    • 2017
  • 이 논문은 스마트축사 환경에서의 센서 데이터를 GS1 표준 기반의 EPCIS 이벤트 스키마 설계를 통해 운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스마트축사 환경에서 사용되는 센서들의 종류를 정의하고, 이러한 센서 정보를 운용하기 위한 GS1 표준 식별자, 표준 이벤트/마스터데이터 구조, 표준 인터페이스로 정보를 설명하며, 스마트축사의 다양한 센서 정보를 저장/공유하는 스키마의 구조를 정의한다.

  • PDF

XML 응용 프로그램 프레임워크와 CASE 도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XML Application Framework and CASE Tool)

  • 박철만;박상원;김형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7권6호
    • /
    • pp.569-581
    • /
    • 2001
  • XML의 등장으로 인터넷의 제2의 혁명을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는 XML 스키마 정의 언어가 표준화됨으로써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하게 되었다. XML 스키마를 설계하는 것은 DTD를 설계하는 것보다 더 복잡하며 더 많은 정보가 제공되게 된다. 이에 XML 스키마를 모델링하는 도구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 도구는 일반적인 모델링 도구와는 다른 기능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 후 즉시 개발\"이라는 XML 응용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을 제안하고, 이를 XSD4j에서 구현하였다. XSD4j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쉽고 개념적인 수준의 스키마를 모델링할 수 있다. 또한, XML 문서를 위한 XML 저장매체 스키마의 생성 및 XML 문서와 응용 프로그램간의 표준적인 인터페이스인 DOM API를 얻을 수 있어 XML 응용 프로그램의 작성을 쉽게 할 수 있다.쉽게 할 수 있다.

  • PDF

관계형 DBMS를 이용한 XML 스키마 기반에 XML DBMS 설계 (Design a XML DBMS using RDBMS Based on XML Schema)

  • 이상태;임종선;주경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9-26
    • /
    • 2004
  • XML DTD는 XML문서에 대한 단순한 형태의 표현을 정의하고 있어서 XML 문서의 구조를 정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XML DTD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W3C에서는 2001년 XML 스키마를 표준안으로 채택하여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XML DTD를 이용한 XML DBMS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W3C의 표준으로 채택된 XML 스키마를 기반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XML DBMS를 설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