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 Density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4초

소나무 모수림 시업지의 임분구조 및 치수생육특성 (Stand Structure and Sap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 Stands Regenerated by the Seed Tree Method)

  • 이대성;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678-688
    • /
    • 2021
  • 본 연구는 소나무 모수작업에 따른 천연갱신 조성방안 및 산림시업지침을 마련할 수 있도록 2001년 실시된 소나무 천연하종갱신 시업지를 대상으로 작업 후 18년이 경과한 시기에 표준지조사를 실시하고 임분현황 및 치수생육상태를 분석하여 생장특성 및 임분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내 강원대학교 학술림에 위치하고 있으며, 설치된 모수시험림에서 2018년 11월 조사된 흉고직경, 수고, 수관급, 수간형질, 수령, 수고생장량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시 흉고단면적, 재적, 형상비와 더불어 임분상대밀도, 임목축적도 등의 추가인자를 산출하여 시업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잔존모수는 58본/ha으로 임목축적도 17.7%이었으며, 치수는 2,330본/ha으로 임목축적도 79.0%로 진단되었다. 치수의 수령은 2001~2007년에 발아분포를 보이고 있었는데 대부분은 15~16년생에 속하였다. 치수 생육상태는 흉고직경 10 cm, 수고 8 m로 파악되었다. 수관급이 우세할수록 흉고직경과 수고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분산분석 및 Duncan 다중비교검정에서도 수관급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0001). 형상비는 80~90% 범위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95%이상 대부분 치수의 형질은 수간이 곧고 분지가 없으며, 초두부가 부러지지 않고 병해충의 피해가 없는 양질의 형태로 파악되었다. 치수의 평균 연년수고생장량은 1년생 21.9 cm, 5년생 43.3 cm, 10년생 54.3 cm, 15년생 64.3 cm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수령증가에 따라 생장량이 우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분산분석 결과, 수관급별 연년수고생장량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파라미터 추정치는 수령이 증가하거나 수관급이 우세할수록 연년수고생장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Effects of marine oligomeric polyphenols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ability of elderly individuals with sarcopenia: a pilot study

  • Kwon, Il-Su;Park, Deuk-Su;Shin, Hyeon-Cheol;Seok, Myung-Gyu;Oh, Jae-Keun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
    • /
    • 2021
  • [Purpose] We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arine oligomeric polyphenol (MOP) intake in elderly individuals with sarcopenia. [Methods]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recruited based on the diagnostic criterion for sarcopenia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MOP intake group (n=10) or the placebo (PBO) intake group (n=10). To determine the effect of MOP intake received for four weeks, the pre- and post-intake body composition (weight, skeletal muscle mass, and bone density) and senior fitness tests were assessed.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keletal muscle mass (p=0.039), bone density (p=0.020), fat-free mass index (p=0.026), and 2.4 m up and go test (p=0.001)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and an interaction effect for the one-leg stand test (p=0.010 and p=0.049,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fat percentage, calf circumference, grip strength, or the chair rise test. [Conclusion] Some variable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 and post-assessments, a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for the one-leg stand. However, this was insufficient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MOP intake in improving sarcopenia. Therefore, additional studies are essential to examine the effects of MOP intake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the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of patients over a longer period.

간벌강도 및 주기에 따른 동적 흉고직경 생장예측 모형개발 - 기존 수확표 자료를 기반으로 - (Developing Dynamic DBH Growth Prediction Model by Thinning Intensity and Cycle - Based on Yield Table Data -)

  • 김문일;이우균;박태진;곽한빈;변정연;남기준;이경학;손영모;원형규;이상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66-27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수종을 대상으로 간벌강도 및 주기에 따른 흉고직경생장을 예측할 수 있는 동적생장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동안 산림청에서 구축한 정적생장모형인 임분수확표를 이용하여 총 8개 수종에 대한 동적생장모형을 구축하였다. 간벌종류는 하층간벌을 전제로 하였으며, 간벌강도별로 간벌후의 흉고직경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함수식을 구축하였다. 또한, 임령, 지위지수 이외에도 ha당 본수를 설명변수로 하는 흉고직경여 총함수식을 유도하였다. 이와 같이 구축된수확표를 이여 모형을 이용하여 간벌강도 및 주기별로 확표를 이 다양하이여 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수확표를 용하여 모형을 이용해 숲가꾸기 등의 산림시업이 산림용하 및 임목축분수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이산림의 탄소흡수능력을 평가하는데 본 연구결과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잣나무 임분의 개체목 거리독립생장모델을 이용한 간벌효과 분석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hinning Effect Analysis Model (TEAM) Using Individual-Tree Distance-Independent Growth Model of Pinus koraiensis Stands)

  • 권순덕;김선영;정주상;김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742-74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거리독립생장모델을 이용한 잣나무 임분의 간벌효과 분석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모델은 간벌시업계획의 주요 인자로 간벌의 횟수와 시기, 강도 그리고 간벌방법을 고려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개발된 모델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간벌시업계획에 따른 7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임분생장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간벌시업 형태에 따른 개체목의 직경급별 본수, 수고, 재적과 임분의 평균흉고직경, 평균수고, ha당 본수 및 재적변화에 관한 생장을 예측할 수 있었다. 1개소의 잣나무 현실임분을 대상으로한 모델의 적용성 검토에 있어서, 간벌시나리오별 임분생장량을 비교한 결과, 간벌시업에 의한 임분밀도조절로 주벌시점의 재적량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벌량과 주벌량을 포함하는 총수확량은 무간벌의 경우보다 간벌시업을 한 경우에 ha당 약 $40{\sim}75m^3$의 증가효과를, 그리고 임분의 평균흉고직경에서는 5 cm이내, 평균 수고에서는 1 m이내의 증가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은 현실임분의 구성여건에 따라 간별의 실시 여부 및 간벌시업체계의 선택문제를 결정하는 의사결정지원도구로서 활용가능 할 것이다.

한반도 온대중부 낙엽활엽수림 장기생태조사지에서 15년간 하층식생 군집의 시계열적 변화 (Sequential Changes in Understory Vegetation Community for 15 Years in the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in Central Temperate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of Korea)

  • 김민수;윤순진;박찬우;최원일;천정화;임종환;배관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3-236
    • /
    • 2021
  • 본 연구는 온대 낙엽활엽수림의 하층식생 변화를 구명하여 산림생태계의 체계적 보전과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3년 경기도 포천 광릉 숲에 1ha 크기의 영구조사구를 설치하였으며, 영구조사구는 10×10m 크기의 부조사구 100개로 구성되었다. 영구조사구의 임분동태 및 하층식생은 2003년부터 2018년까지 5년 간격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구에 출현하는 관속식물은 56과 128속 176종 18변종 4품종 1아종으로 총 199분류군 이었다. 관목층과 초본층의 종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RPP-test 분석 결과 관목층의 종조성은 2008년-2013년을 제외한 모든 연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본층의 경우 모든 연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중요치에서 관목층은 참회나무(18.23%), 당단풍나무(16.48%), 작살나무(13.85%)가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초본층에서는 단풍취(23.41%), 애기나리(9.45%), 주름조개풀(5.62%)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층은 상층 임분의 흉고단면적과 임분밀도가 높을수록 청미래덩굴, 청괴불나무, 고광나무의 풍부도가 높았으며, 흉고단면적과 임분밀도가 낮을수록 당단풍나무, 물참대, 산뽕나무, 산딸나무의 풍부도가 높았다. 시간이 경과할수록 흉고단면적과 임분밀도는 초본층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반면, 관목층의 참회나무와 당단풍나무의 피도는 초본층종 구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광릉 장기생태조사지의 하층은 종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이 과정은 상층 임분의 종다양성과 흉고단면적, 임분밀도가 하층식생 종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Forest Tending Works on Carbon Storage in a Pinus densiflora Stand

  • Kim, Choon-Sig;Son, Yo-Hwan;Lee, Woo-Kyun;Ha, Yeong-Cheol;Jeong, Jae-Yeob;Noh, Nam-Ji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4호
    • /
    • pp.281-285
    • /
    • 2007
  • We conducted research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orest tending works (FTW) on forest carbon (C) storage in Korean red pine forests by estimating changes in the quantity and distribution of stored organic C in an approximately 40-year-old red pine stand after FTW. We measured organic C storage (above- and belowground biomass C, forest floor C, and soil C at 50 cm depth) in the Hwangmaesan Soopkakkugi model forest i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before and after the forest was thinned from a density of 908 trees/ha to 367 trees/ha. The total C stored in tree biomass was 69.5 Mg C/ha before FTW and 38.6 Mg C/ha after FTW. The change in total C storage in tree biomass primarily resulted from the loss of 19.9 Mg C/ha stored in stem biomass after FTW. The total C pool in this red pine stand was 276 Mg C/ha before FTW and 245.1 Mg C/ha after FTW. Prior to FTW, 71.5% of the total C pool was stored in mineral soil, 25.2% in tree biomass, and 3.3% in the forest floor, where as after FTW 80.5% of the total C pool was stored in mineral soil, 15.7% in tree biomass and 3.7% in the forest flo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site-specific tending techniques may be required to minimize the loss of tree biomass C storage capacity in red pine stands from FTW.

The Spatial Distribution of Quercus mongolica and Its Association with Other Tree Species in Two Quercus mongolica Stands in Mt. Jiri, Korea

  • Jang, Woong-Soon;Park, Pil-Sun;Han, Ah-Reum;Kim, Kyung-Youn;Kim, Myung-Pil;Park, Hak-K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1호
    • /
    • pp.67-77
    • /
    • 2010
  • Stand structure and spatial associations of the dominant tree species in Quercus mongolica stand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and the persistent dominance of Q. mongolica. We examined the species composition,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distribu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rees (${\geq}\;2.5\;cm$ DBH) in two permanent $100\;m\;{\times}\;100\;m$ plots in Q. mongolica-dominant stands on the western part of Mt. Jiri. Ripley's K-function was used to characterize the spatial patterns and associations of dominant tree species. Q. mongolica showed a continuous and reverse-J shaped DBH distribution with clumped spatial distribution in both study sites. Q. mongolica and Abies koreana exhibited a negative association implying potential interspecific competition. The positive spatial association between Q. mongolica and Alnus hirsuta var. sibirica and Fraxinus sieboldiana were affected by site characteristics: limited habitat conditions with a large proportion of rock surface. Our results suggest that interactions among species were complex and ranged from positive to negative. Differences in stand and site characteristics and regeneration mechanisms among the spec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i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while competition between individuals also contributes to spatial patterning of these communities. The high density and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 of spatial distribu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Q. mongolica and the relatively low importance values of other species in the stands imply that Q. mongolica will remain dominant in the study sites in the near future.

서울근교 자연생 소나무림에 대한 Ordination 방법의 적용 (An Application of Ordination to semi-Natural Pine (Pinus densiflora) Stands nearby Seoul Area)

  • Cho, Yoon Shin;Kye Chil O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2호
    • /
    • pp.63-80
    • /
    • 1987
  •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 and two 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TWINSPAN) were applied to Pinus densiflora stands nearby Seoul area in order to classify them into several groups based on herbaceous species and environmental relationships. The eighteen Pinus densiflora stands were perferenially selected, In each stand, 30 to 60 quadrats, (20X20)cm, were randomly estabilished. In each quadrat, all stems for herbaceous plants were recorded by species and their covers were measured. In additi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il depth, thickness of litter layer, soil compressibility, tree density, basal area, elevation, slope and exposure were detemined for each stand. Four to twelve soil cores were collected and physical and KDIC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m 15, July, 1985 to 22, September, 1985. Analysis of the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data were performed with DECORANA and TWINSPAN. Stand ordination (DECORANA) and classification (TWINSPAN) based on herbaceous species suggest that the stand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in terms of herbaceous species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relationships. Type I, Type II, Type III, Type IV and Type V were classified to SUBMESIC-CLO-SED-CANOPY (Artemisia keiskeana, Carex nanella), MESIC-CLOSED CANOPY (Spodiopogon sibiricus, Miscanthus sinensis, Carex nanella, Pteridum aquilinum, Melampyrum rosium), SUBMESIC-OPEN CANOPY (Carex nanella, Spodiopogon sibiricus, Miscanthus sinensis), XERIC-CLOSED CANOPY (Carex nanella, Spodiopogon sibiricus, Carex nanella), and XERIC-OPEN CANOPY (Arundinella hirts, Spodiopogon sibiricus, Carex nanella),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consitent with environmental trends on stan ordination. Application of the ordination and classifiaction to Pinus densiflora stands were effective as a approach on obtaining perliminary ecological information.

  • PDF

Effect of Processing Parameters and Powder Size on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Y2O3 Coatings Fabricated by Suspension Plasma Spray

  • Kim, Sun-Joo;Lee, Jung-Ki;Oh, Yoon-Suk;Kim, Seongwon;Lee, Sung-Mi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395-402
    • /
    • 2015
  • The suspension plasma spray (SPS) technique has been used to obtain dense $Y_2O_3$ coatings and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conventional air plasma spray (APS). SPS uses suspensions containing micrometer or sub-micrometer sized powders dispersed in liquid media. In this study, microstructure developments and mechanical properties have been investigated as functions of particle size of source material and plasma processing parameters such as plasma power and stand-off distance. The microstructure of the coating was found to be highly related to the particle size and the plasma processing parameters, and it was directly reflected in the hardness and the adhesion strength. When fine powder (BET $16.4m^2/g$) was used as a raw material in the suspension, there was, with increasing stand-off distance, a change from a dense structure with a slightly bumpy surface to a porous structure with a cauliflower-like surface. On the other hand, when a coarse powder (BET $2.8m^2/g$) was used, the coating density was lower, with microscopic splats on the surface. Using fine $Y_2O_3$ powders, the coating layer with an optimum short stand-off distance showed a high hardness of approximately 90% of that of sintered $Y_2O_3$ and an adhesion strength several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ating by conventional APS.

남부지역 구실잣밤나무의 임분특성 및 지역별 물리·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ccording to Stand Characteristic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 원경록;홍남의;정수영;유병오;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14-720
    • /
    • 2015
  • 목재의 물리, 역학적 특성은 토양, 기후변화 등의 환경적 인자뿐만 아니라 임분특성에 의해서도 바뀌게 되므로 남부 세 지역의 임분특성이 목재의 재질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별 물리, 역학적 특성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전남, 제주도의 구실잣밤나무 임지에 대하여 임분특성과 목재재질특성을 평가 분석하였는데 이들 간에는 대부분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구실잣밤나무의 기건밀도의 물리적 특성과 휨, 압축, 전단강도의 역학적 특성은 임분 특성에서 흉고직경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표고, 배수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모든 부분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또한 물리 역학적 특성에서도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재 재질특성 분석결과, 남부지역의 구실잣밤나무는 난대 지역의 유용한 산림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