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tted Deer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9초

Effects of Antler Development Stage on Fatty acid, Vitamin and GAGs Contents of Velvet Antler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 Lee, S.R.;Jeon, B.T.;Kim, S.J.;Kim, M.H.;Lee, S.M.;Moon, S.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0호
    • /
    • pp.1546-1550
    • /
    • 2007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s the foundation for further studies on the assessment of velvet antler quality by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fatty acid, vitamin A and E, minerals and GAGs contents by development stage of antler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Twelve stags (aged 4 to 5 yea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velvet antler harvested 40 days (FDG) and 60 days (SDG) after casting of the buttons from the previous set. Total saturated fatty acid was lower in FDG than SDG (p<0.05). Total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njugated linoleic acid (p<0.05), polyunsaturated fatty acid and ${\omega}$3 fatty acid were higher in FDG than SDG. The vitamin A content of FDG was higher than that of SDG, but the vitamin E content of FDG was lower than that of SDG (p<0.05). SDG had significantly higher calcium and phosphate content than FDG (p<0.05). The magnesium content showed a similar trend to the contents of calcium and phosphat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DG and FDG. Uron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FDG than SD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ntents of GAGs and sialic acid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FDG than SD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nger stage of antler development had lower content of activating components and this lead to a decrease of antler quality.

EMG Telemetry System을 이용한 꽃사슴의 반추행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umination Behaviour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Equipped with EMG Telemetry System)

  • Jeon, B.T.;Moon, S.H.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1-168
    • /
    • 2002
  • 꽃사슴의 효율적인 사양관리를 위한 기초자료의 제시를 위해 근전도(EMG) Telemetry system을 이용한 사슴의 채식행동 조사가 실시되었다. 사슴은 다른 반추가축에 비해 빈번하고 불규칙한 채식행동 양식이 나타났다. 일중 채식과 반추에 소비한 시간은 각각 261분과 291분이었다. 사슴은 반추행동시에 일중 총 647회의 식괴와 1반추기당 평균 21.6회의 식괴를 토출했으며 1식괴당 26.9초의 반추시간을 나타냈다. 반추기간중 총 저작시간은 245.3분이었다. 총 저작수는 20,405회였으며 식괴당 31.5회, 분당 83.4회의 저작회수를 나타냈다. 시간대별 평균 식괴토출수는 09∼15시 사이에 15.3회로 가장 낮았고 15∼21시 사이에 26회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점차 저하되었다. 매 6시간 간격의 1식괴당 평균 저작회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한편 섭취건물 100g당 채식시간과 반추시간은 각각 23.3분과 26.2분이었다. 결과적으로 사슴은 다소 불규칙하고 빈번한 채식과 반추 그리고 적은 식괴크기와 낮은 저작회수 등으로 인해 타 반추가축과는 다른 행동양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사양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꽃사슴과 Holstein 젖소의 장내 혐기성 박테리아의 분리 및 특성 (Studies on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aerobic Bacteria from Gut of Holstein Cows and Korean Male Spotted Deer)

  • 박소현;이기영;안종호;장문백;김창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77-90
    • /
    • 2006
  • 본 연구는 꽃사슴과 Holstein 젖소의 반추위와 대장에 서식하는 미생물중 섬유소 분해력이 강한 혐기성 박테리아를 순수 분리하여 분리된 미생물들을 동정하고 이들 미생물들의 효소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배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젖소에서 분리된 박테리아가 꽃사슴에서 분리된 미생물에 비하여 섬유소 분해효소 활력이 우수하였고 탄소 공급원의 종류에 의해 섬유소 분해 효소의 활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cellulose 단독 공급시 보다 starch, glucose와 cellobiose를 복합한 탄소 공급원을 제공시 일반적으로 높은 효소의 활력을 나타내었다. API kit를 이용한 생화학 및 당발효 시험 결과 알려진 강력한 섬유소 분해 박테리아는 동정되지 않았고 대부분의 박테리아가 Peptostreptococcus spp., Bifidobacterium spp., Prevotela ruminicola/buccae, Clostridium beijer/butyricum 및 Streptococcus intemedis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균들의 다당류 및 단당류를 분해할 수 있는 가수분해 효소인 Avicelase, xylanase, β-D-glucosidase, α-L-arabino- furanosidase 및 β-xylosidase의 효소활력은 이용하는 배지조성 특히 탄소 공급원의 종류에 의하여 효소의 활력에 영향을 미치며 가수분해 효소의 종류에 따라 각 분리된 균주들마다의 다른 분포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분리된 혐기성 박테리아들이 공급되는 탄수화물 기질의 종류에 따라 효소의 활력에 변화를 일으켰고 이것은 기질에 따른 박테리아의 효소생산 특이성과 성장률의 변화에서 기인하였기 때문이다.

꽃사슴에 있어서 사료의 단백질 수준이 녹용 생산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 on Produc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Velvet Antler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 전병태;이상무;김명화;문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805-812
    • /
    • 2005
  • 본 연구는 꽃사슴에 있어서 사료내 단백질 수준이 녹용 생산성과 조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녹용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꽃사슴 18두를 3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각각 사료내 단백질 수준을 10%(T1), 15%(T2) 및 20%(T3)로 하여 녹용 성장기에 사양실험을 실시했다. 건물섭취량 및 조단백질 섭취량 그리고 일당 증체량은 사료의 단백질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져 처리간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생산된 녹용의 주간 길이 및 둘레의 경우도 사료의 단백질 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차이에 대한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녹용 생산성은 역시 사료의 단백질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P<0.05) T1구에서 가장 낮은 생산량을 나타냈고 T3에서 가장 높은 생산량을 기록했다. 녹용의 조단백질은 T1구에 비해 T3구에서 다소 낮았으며 조회분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녹용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사료내 단백질 수준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해 줄 필요가 있으나 녹용 품질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셀레늄 급여가 꽃사슴의 혈액과 녹용내 셀레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enium Feeding on Selenium Concentration of Blood and Velvet Antler in Sika deer(Cervus nippon))

  • 김부연;김명화;전병태;문상호;이홍구;이상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209-216
    • /
    • 2008
  • 본 연구는 꽃사슴에게 고농도의 셀레늄을 급여하였을 때 꽃사슴의 혈액, 녹용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3두의 꽃사슴에게 고농도 셀레늄을 급여하였을 때의 혈액 내의 셀레늄 농도와 셀레늄 흡수율 및 축적률을 조사하고, 혈액 내 스트레스 관련호르몬 및 biochemical parameters를 조사하였다. 8두의 수컷 꽃사슴을 공시하여 셀레늄을 첨가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한 구와 셀레늄을 사료 kg당 6mg을 첨가한 사료를 20일간 급여한 구로 나누어 생산한 녹용의 셀레늄 함량을 조사하였다. 꽃사슴에게 고농도 셀레늄 급여는 급여 30일 이후에 혈액 중의 셀레늄 농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고(p<0.05), 축적률은 59.15%를 나타내었다.전 실험 기간 동안 고농도 셀레늄의 급여로 인한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 및 biochemical parameters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녹용 내 셀레늄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상대 0.11ppm, 중대 0.08ppm, 하대에 0.08ppm을 셀레늄 급여구에서는 상대 0.45ppm(p<0.001), 중대 0.21ppm(p<0.01), 하대에 0.15ppm(p<0.05)으로 셀레늄 급여로 인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상대에서의 셀레늄 함량이 가장 높았다(p< 0.05).이상의 결과로부터 꽃사슴에게 고농도의 셀레늄을 급여할 경우 녹용내로 다량의 셀레늄을 전이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40일까지 고농도의 셀레늄 6mg/kg 농도 급여에 있어 생리적 중독 증상은 없었으나 혈중 소실정도를 감안해 볼 때 20일간 급여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향후 셀레늄 강화 녹용 생산을 위해 급여하는 셀레늄의 최적 농도와 급여 기간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n the Seasonal Comparison of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and Feeding Behavior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s Silage and Corn Silage

  • Moon, S.H.;Jeon, B.T.;Kang, S.K.;Sung, S.H.;Hudson, R.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80-8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assess seasonal variation of feed utilization by feed sources an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use of feed resources by comparing seasonal changes of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and feeding behavior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 silage (FBS) and corn silage (CS). Dry matter intake (DMI) of FBS was higher than that of CS in both winter and summer. While DMI of both diets was higher in summer, this was not significant at the 5% level. In contrast to DMI, digestible dry matter intake (DDMI) was higher for CS than for FBS in both season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for CS than for FBS, whereas digestibility of crude fiber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for FBS than for CS in both seasons. Seasonal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nd crude fiber for FBS was significantly greater (p<0.01) in summer than in winter: In summer, seasonal digestibility was 57.2% for dry matter and 55.5% for crude fiber, and in winter, 50.8% for dry matter and 30.7% for crude fiber. On the other hand, seasonal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was higher (p<0.01) in winter (42.1%) than in summer (32.3%).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as found between the two seasons and diets for nitrogen intake (NI), 18.7 g/d in summer and 19.4 g/d in winter for FBS, 17.7 g/d in summer and 17.7 g/d in winter for CS. Fecal nitrogen was higher (p<0.01) for FBS than for CS and varied little season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1) between two seasons in urinary nitrogen, which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diets. Retained nitrogen (RN) was different significantly (p<0.01) between two diets in both seasons,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seasons. Deer usually spent longer time on eating FBS than eating CS. Eating FBS took 221 min in summer and 187 min in winter, whereas eating CS took 113 min in summer and 109 min in winter. Deer spent less time on eating food in winter than in summer. Time spent on rumination was longer for FBS than for CS: for FBS, 504 min in summer and 456 min in winter, for CS, 423 min in summer and 279 min in winter. Time varied seasonally with both diets.

육림부산물 발효사료 급여 꽃사슴에 있어서 채식기호성, 소화율 및 채식행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alatability, Digestibility and Feeding Behavior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 Silage)

  • 전병태;문상호;이상무;권영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7-186
    • /
    • 2002
  • 본 실험은 꽃사슴에 있어서 육림부산물 발효 사료 급여에 따른 체내 이용성과 행동양식을 시판 완전혼합사료와의 비교를 통해 육림부산물에 대한 사슴사료로서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물채식량은 숫성록의 경우 CMR구와 FPS구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육성록의 경우 FPS구가 약간 낮았다. 2. 소화율은 CMR구의 경우 개체별로 평균 76.7%의 높은 건물 소화율을 나타냈으며 FPS구의 경우에도 CMR구에 비해서는 낮은 소화율을 나타냈으나 평균 65.5%의 건물소화율로서 비교적 높은 체내이용성을 보였다. 3. 질소출납 실험에서 섭취질소에 대한 축적질소의 비율은 FPS구가 48.3%, CMR구가 41.3%로 FPS구가 더 높은 효율을 나타냈다. 4. 채식시간은 하루 중 CMR구가 127분이었고 FPS구가 216분, 반추시간은 CMR구가 154분과 FPS구가 197분을 소비하여 FPS를 급여한 사슴들이 채식시간과 반추시간이 더 길었다. 5. 사슴의 24시간동안 채식 및 반추 휴식 등의 행동에서는 CMR구와 FPS구 모두 짧고 잦은 빈도의 전형적인 사슴의 행동양식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육림부산물 발효사료는 사슴에 있어서 높은 체내이용성을 나타내어 사슴용 사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다.

꽃사슴 녹용의 물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about velvet antler of the korean spotted deer)

  • 성시흥;김영민;한진희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5-130
    • /
    • 2003
  • 우리나라 양록업의 역사는 길지 않지만, 양록 생산물의 하나인 녹용은 전 세계 유통 물량의 80%정도를 차지하는 최대 소비국이며, 양록 생산액도 약 2,000억원 상당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녹용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 시기는 대략 1970년대 중반 이후로 알려졌으나, 그 동안의 연구는 녹용의 약리적 효과만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략)

  • PDF

꽃사슴에 있어서 육림부산물 사일리지, 칡 사일리지 및 갈잎건초 급여에 따른 건물채식량, 소화율 및 질소출납의 비교 (Comparison of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 Silage, Arrowroot (Pueraria thunvegiana) Silage and Oak Browse (Quercus aliena) Hay)

  • 전병태;김언현;이상무;김경훈;문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87-94
    • /
    • 2002
  • 본 실험은 육림부산물 발효사료의 사슴용 사료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꽃사슴에게 육림부산물 사일리지(FBS), 칡 사일리지(ARS) 및 수입 갈잎건초(OLH)를 급여하여 건물채식량, 소화율 및 질소출납을 상호 비교하였다. 건물소화율은 ARS가 가장 높았고 OLH가 가장 낮아 처리구간에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조단백질 소화율의 경우는 OLH구가 FBS와 ARS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P$<$0.05) 소화율을 나타냈다. 조섬유 소화율의 경우는 FBS가 가장 높고 OLH가 가장 낮았다. 건물채식량은 OLH가 가장 높아 ARS와의 사이에는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으나 FBS와의 사이에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체내에서 이용 가능한 가소화 건물채식량으로 환산했을 경우 차이가 거의 없었다. 체내에 축적된 질소와 섭취질소에 대한 축적질소의 비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FBS가 가장 높아 체내 질소의 이용효율이 가장 좋았던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육림부산물 사일리지는 다양한 사료자원으로 구성되어 사슴의 기호성이 양호하고 높은 소화율과 건물채식량 및 영양소의 체내 이용성을 나타내고 있어 사슴용 사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갖고 있는 사료자원으로 평가되었다.

Effect of Cellulose Degrading Bacteria Isolated from Wild and Domestic Ruminants o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Feed and Enzyme Production

  • Sahu, N.P.;Kamra, D.N.;Paul, S.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99-202
    • /
    • 2004
  • Cellulolytic bacterial strains have been isolated from the faeces of wild (blackbuck, Antilope cervicapra; nilgai, Baselophus tragocamelus chinkara, Gazella gazella spotted deer, Axis axis and hog deer, Cervus porcinus) and rumen liquor of domestic (sheep, Ovis aries) ruminants. Five best cellulose degrading bacterial isolates (Ruminococcus sp.) were used as microbial feed additive along with buffalo rumen liquor as inoculum to study their effect on digestibility of feed and enzyme production in in vitro conditions. The bacterial isolate from chinkara (CHI-2) showed the highest per cent apparent dry matter (DM) digestibility ($35.40{\pm}0.60$), true dry matter digestibility ($40.80{\pm}0.69$) and NDF ($26.38{\pm}0.83$) digestibility (p<0.05) compared to control ($32.73{\pm}0.56$, $36.64{\pm}0.71$ and $21.16{\pm}0.89$, respectively) and other isolates at 24 h of incubation with lignocellulosic feeds (wheat straw and wheat bran, 80:20). The same isolate also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ies of fibre degrading enzymes like carboxymethylcellulase, xylanase, ${\beta}$-glucosidase and acetyl esterase. The bacterial isolate from chinkara (Gazella gazella) appears to have a potential to be used as feed additive in the diet of ruminants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nutrients from lignocellulosic f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