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obolomyces ruberrimu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Fatty Acid and Carotenoid Production by Sporobolomyces ruberrimus when Using Technical Glycerol and Ammonium Sulfate

  • Razavi, Seyed Hadi;Mousavi, Seyed Mohammad;Yeganeh, Hassan Mehrabani;Marc, Iv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0호
    • /
    • pp.1591-1597
    • /
    • 2007
  • The production of carotenoids,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all studied in a strain of Sporobolomyces ruberrimus when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echnical glycerol as the carbon source and ammonium sulfate as the nitrogen source. The total lipids represented an average of 13% of the dry weight, and the maximum lipids were obtained when using 65.5 g/l technical glycerol (133.63 mg/g). The optimal conditions for fatty acid production were at $27^{\circ}C$ using 20 g of ammonium sulfate and a pH range from 6 to 7, which produced a fatty acid yield of $32.5{\pm}1\;mg/g$, including $1.27{\pm}0.15\;mg$ of linolenic acid (LNA), $7.50{\pm}0.45\;mg$ of linoleic acid (LLA), $5.50{\pm}0.35\;mg$ of palmitic acid (PA), $0.60{\pm}0.03\;mg$ of palmitoleic acid (PAL), $1.28{\pm}0.11\;mg$ of stearic acid (SA), $9.09{\pm}0.22\;mg$ of oleic acid, $2.50{\pm}0.10\;mg$ of erucic acid (EA), and $4.25{\pm}0.20\;mg$ of lignoceric acid (LCA), where the palmitic, oleic, and linoleic acids combined formed about 37% of the total fatty acids. The concentration of total carotenoids was 2.80 mg/g when using 20 g of ammonium sulfate, and consisted of torularhodin (2.70 mg/g) and $\beta$-carotene (0.10 mg/g), at $23^{\circ}C$ and pH 6. However, the highest amount with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was obtained (${\mu}_{max}=0.096\;h^{-1}$) with an ammonium sulfate concentration of 30 g/l.

우리나라 야생화에서 분리한 효모의 항산화 활성과 Xanthine Oxidase 및 Tyrosinase 저해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Xanthine Oxidase and Tyrosinase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Korea)

  • 한상민;현세희;김나미;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9-103
    • /
    • 2015
  • 제주도, 울릉도, 욕지도 등 우리나라 섬들과 계족산, 오서산, 백암산 등의 산에서 서식하는 야생화들에서 분리한 207 효모 균주들을 YPD 배지에 24시간 배양하여 각각의 무세포추출물과 배양상등액을 제조한 후 이들의 항산화활성과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섬 지역 야생화들에서 분리한 Kuraishia capsulata UL40-2와 산 지역 야생화에서 분리한 Sporobolomyces ruberrimus 121-Z-3의 무세포추출물이 각각 46.4%와 48.3%의 비교적 높은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Starmerella bombicola 80-J-1의 무세포추출물 역시 36.2%의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그 밖의 항산화활성과 tyrosinase 저해활성은 모든 분리효모들에서 없거나 30% 미만으로 미약하였다. 이들 가운데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이 우수하였던 Kuraishia capsulate UL40-2와 Sporobolomyces ruberrimus 121-Z-3의 xanthine oxidase 저해제의 최적 생산 조건을 검토한 결과 두 효모 각각을 YPD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얻은 무세포추출물이 47.2%와 49.5%의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대전 계족산과 충남 오서산 및 전북 백암산 주위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ejoksan, Oseosan and Beakamsan of Korea)

  • 민진홍;류진주;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7-51
    • /
    • 2013
  • 국내 자연환경의 효모 균총을 확인함으로써 유용한 효모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전 계족산, 충남 오서산 그리고 전북 백암산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화들을 채집하여 이들로부터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대전의 계족산에서 수집한 야생화로부터는 10종에 속하는 12균주의 효모들을 분리하였고, 충남의 오서산에서 수집한 야생화로부터는 10종의 효모들 17균주를 분리하였다. 또한 전북 백암산의 야생화로부터 모두 24종에 속하는 38균주의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계족산, 오서산, 그리고 백암산에서 모두 발견된 효모는 Cryptococcus 속, Pseudozygoma 속, Rhodotorula 속, Sporobolomyces 속에 속하는 9종의 효모들이었다. 특히 3개 지역에서 수집한 야생화들로부터 Cryptococcus 속에 속하는 Cryptococcus aureus만이 모두 분리되었는데, 이 결과는 각 지역마다 독특한 효모 다양성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경기도와 제주도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동정 및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물질의 생산 (Isol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onggi-do Province and Jeju Island in Korea and the Production of Anti-gout Xanthine Oxidase Inhibitor)

  • 현세희;문혜연;이향범;김하근;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83-390
    • /
    • 2013
  • 국내 야생화들로부터 효모를 분리하여 이들을 고부가가치의 의약이나 건강 식품산업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경기도와 제주도 일부 지역의 야생화들을 채집하여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고 이들 가운데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물질 생산 균주를 선발한 후 생산 조건을 검토하였다. 서울 구로동과 일부 경기도 지역 야생화 31점에서 26종, 54균주의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 Pseudozyma sp.가 13종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제주도 송악산과 성산 일출봉 지역의 야생화 21점에서 모두 14종, 32균주의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균 중에서 Sporobolomyces ruberrimus가 6종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86효모 균주들을 YEPD 배지에서 2일간 배양하여 각각의 배양 상등액과 무세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Pseudozyma hubeiensis 228-S-1의 무세포 추출물이 19.5%의 가장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Pseudozyma hubeiensis 228-S-1을 YEPD 배지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36시간 배양하였을 때, 세포내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물질을 가장 많이 생산하였다.